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가정폭력 피해여성이 지각하는 폭력에 대한 분석 - 성역할고정관념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박근양 ( Park Keun Yang ),김익균 ( Kim Ik Gyun ) 한국사회복지경영학회 2016 사회복지경영연구 Vol.3 No.2

        본 연구는 가정폭력 피해여성이 지각하고 있는 폭력에 대한 수준을 알아보고, 성역할고정관념에 다른 요인을 다차원적인 측면에서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우선 가정폭력의 문제에 대한 여성주의적 접근을 통해 가정폭력 피해자 보호정책의 변화를 통해 보다 근본적인 실효성을 극대화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조사대상자는 서울시 소재 가정폭력상담소, 여성쉼터에 거주하고 있는 여성들을 대상으로 설문지조사방법을 통해 실시하였고, 2016년 4월 15일부터 7월 22일까지 설문지를 통해 자료수집을 하였다. 연구결과에 대한 요약 및 논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가정폭력 경험은 평균 1.71점으로 나타났다. 하위영역별로 살펴보면, `협상` 2.87점, `심리적 폭력` 1.75점, `신체적 폭력` 1.29점, `상해` 1.29점인 것으로 나타났다. 하위영역 간의 평균의 차이가 크지 않았다는 것은 가정폭력 가정 내에서는 한 가지 유형의 폭력에 한정되지 않고, 두 가지 유형 이상의 가정폭력이 이루어지는 경우가 많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둘째, 독립변수간 관계에서 사회인구학적 변인과 가정폭력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학력과 가정폭력 경험의 관계의 경우 학력은 폭력 경험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력이 낮을수록 폭력 경험이 높게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에 근거하여 가정폭력 예방 및 근절을 위해서는 다음과 같이 제언하고자 한다. 첫째, 성역할고정관념과 가정폭력 간의 관계에 대한 연구는 계속되어야 할 것이다. 둘째, 가정폭력 사전교육의 효과를 위한 객관적이고 체계적인 평가체계가 구축되어야 하며, 이러한 연구결과가 가정폭력의 개선이 이루어지도록 보완하여 재검증이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This study is to determine the levels of violence perceived by female victims of domestic violence and to explore the factors other than gender stereotype in multilateral aspects. To achieve this, a more fundamental means which maximizes the effectiveness through feminist approach to domestic violence and the changes to the domestic violence victim protection policies. For this study, women residing in domestic violence centers and women`s shelters in Seoul were surveyed for information and data from Apr. 15 to Jul. 22, 2016. Summary and discussions to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 First, the experience in domestic violence, in average, was 1.71 points. By subcategories, `negotiation` was 2.87, `psychological violence` was 1.75, `physical violence` was 1.29 and `injury` was 1.29. The minor differences in the average values between subcategories indicate that domestic violence usually exhibit in two or more forms. Second, when analyzed the difference between sociodemographic variables and domestic violence, level of education had significant difference with domestic violence. In other words, the lower the level of education, the more experience they had in domestic violence. Based on result of this study, the following can be suggested to prevent and eliminate domestic violence : 1. Studie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gender stereotype and domestic violence must carry on; and 2. An objective and systematic evaluation system must be built for a more effective education on domestic violence and these research results must be verified to stop domestic violence.

      • KCI등재

        유산소운동과 복합운동이 비만 여고생의 혈중지질과 적혈구 침강속도에 미치는 영향

        박근양 ( Keun Yang Park ),김정수 ( Jung Soo Kim ),이미영 ( Mi Young Lee ),오광훈 ( Kwang Hoon Oh ),김일형 ( Il Hyung Kim ),인치석 ( Chi Seok In ),김종원 ( Jong Won Kim ) 한국운동생리학회(구 한국운동과학회) 2011 운동과학 Vol.20 No.4

        박근양 · 김정수 · 이미영 · 오광훈 · 김일형 · 인치석 · 김종원. 유산소운동과 복합운동이 비만 여고생의 혈중지질과 적혈구침강속도에 미치는 영향. 운동과학, 제20권, 제4호, 441-448. 2011. 본 연구의 목적은 비만 여고생을 대상으로 12주간의 운동프로그램 유형별적용에 따른 혈중지질과 적혈구침강속도에 미치는 영향을 고찰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 대상자는 BMI가 25 kg/㎡이상인 비만 여고생 16명을 대상으로 유산소운동군과 복합운동군에 12주간 참가하게 하였다. 신장(p<.001)과 체질량지수(p<.05)에서 유산소운동군과 복합운동군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증가를 나타냈다. 체중과 체지방률에서는 유산소운동군과 복합운동군 모두 감소하였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유산소운동군에서 HDL-C(p<.05)은 유의하게 증가하였고, LDL-C(p<.01)은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복합운동군은 LDL-C(p<.01)에서만 유의하게 감소하였고, TC, TG에서는 두 운동군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적혈구침강속도에서 유산소운동군(p<.001)과 복합운동군(p<.01)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나 복합운동군에서 유산소운동군 보다 더 높은 감소율을 나타냈다. 이상의 결과를 살펴볼 때 신체조성과 혈중지질에서 유산소운동군과 복합운동군 모두 유사한 결과를 나타냈으나, 적혈구침강속도에서는 복합운동군이 유산소운동군보다 높은 감소율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신체조성과 혈중지질에서는 유산소 운동과 복합운동 모두 유의한 운동효과를 나타냈지만, 적혈구침강속도에서는 복합운동이 유산소운동 보다 감소율이 높게 나타난 것으로 볼 때 복합운동이 혈관 내 염증상태 변화에 더욱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Park, K. Y., Kim, J. S., Lee, M. Y., Oh, K. H., Kim, I. H., In, C. S., Kim, J. W. Effects of Aerobic Exercise and Combined Exercise on Serum Lipid and Erythrocyte Sedimentation Rate in Obese High school Girls. Exercise Science, 20(4), 441-448. 201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 of the application of exercise program types on serum lipid and erythrocyte sedimentation rate in obese high school girls for 12 weeks. 16 obese female students with BMI over 25 kg/m2 took part in either the aerobic exercise or combined exercise group. Each group has reached statistical significant increase in height (p<.001) and BMI (p<.05). Both groups have reduced weight and the fat percentage but do not show significant decrease statistically. The aerobic exercise group has increased HDL-C (p<.05), but simultaneously decreased LDL-C (p<.01), which are read as a statistical significant change. The combined exercise group has only present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ecrease of LDL-C (p<.01). Both TC and TG has presented little statistical significant difference. Both the aerobic and combined exercise groups demonstrated the decrease of erythrocyte sedimentation rate. but the combined exercise group showed steeper decline. both groups have presented positive outcome on the body composition and blood level of HDL-C, LDL-C. When we consider that the positive decrease of erythrocyte sedimentation rate through combined exercise group came out to be higher than the aerobic one, combined exercise group had a more positive impact on the condition of blood inflammation.

      • Analysis of Nuclear Factor 1-A mRNA Levels During Rat Liver Regeneration

        Park, Keun Yang,Rho, Hyune Mo,Kim, Jiyoung 경희대학교 생명자원과학연구원 1997 遺傳工學論文集 Vol.9 No.-

        Nuclear Factor 1 (NF1) is a family of site-specific DNA binding proteins that play roles in adenovirus DNA replication and transcription of many eukaryotic genes including a number of liver-specific genes. It has been suggested that transcription of certain genes may be regulated by NF1 in growth-dependent manner. We have analyzed the levels of NF1-A mRNA, one of NF1 mRNA species, during rat liver regeneration in order to monitor any changes in growth-stimulated liver. Our results show that the NF1-A mRNA remains almost same or slightly decreases during rat liver regeneration, indicating that cellular genes under the control of NF1-A might be modulated primarily by posttranscriptional modification of the factor in response to growth stimul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