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초등학교 영어전담교사로서 경험하는 영어 수업 속 식민주의

        민성은 ( Sungeun Min ),홍영기 ( Youngki Hong ) 한국통합교육과정학회 2015 통합교육과정연구 Vol.9 No.2

        이 글은 초등학교 영어전담교사의 개인적인 경험을 자문화기술지를 통해 학교 영어 교육에 포함된 식민성을 이해하고, 대안적 관점과 접근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학생들에게 영어를 가르쳤던 일련의 시간을 통해, 영어 전담교사로서 학생들의 영어 실력을 높이는 것이 아닌 영어를 둘러싼 서구의 지배 이데올로기를 자연스럽게 학생들에게 내면화 시키고 있었던게 아닌가 하는 자성에서 연구를 시작하였다. 이를 위하여 학생과의 생활 속 다양한 장면들의 이야기, 기억자료, 심층 면담 등을 통해 영어 식민성에 관한 요소들을 추출하여 주제화 시켰다. 이러한 연구 과정들을 통한 구체적인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영어 수업을 진행하고 문화를 전달하는 교사 연구자의 사고 속에 영어를 우월한 언어로 여기는 식민성을 가지고 있었다. 이러한 사고는 교사의 의식적, 무의식적 발언, 행동 등을 통해 학생들에게 영어에 대한 식민성을 재생산 시키고 있었다. 둘째, 학생들의 사고 체계 속에도 영어에 대한 식민성을 가지고 있었다. 초등학생들은 영어를 잘하는 것을 다른 학생들과 차별되는 특별한 존재로 여기고 있었다. 또한 영어를 사용하는 영어권 국가의 사람이 여타 다른 동양권 언어를 사용하는 사람보다 더욱 높게 평가되고 있었다. 셋째, 현재 초등학교 영어 교육과정에도 식민성이 포함되어 있었다. 현재 초등학교 영어 교과서의 주된 학문적 토대를 제공하는 의사소통 중심 교수법(Communicative Language Teaching: CLT)은 서구의 교육학 이론을 우리나라 교육의 상황을 고려하지 않고 여과없이 가져온 식민성을 가지고 있었다. This paper explores colonialism incorporated into an elementary school``s English language classes as observed through the personal teaching experiences of an English language specialist while seeking to find alternative perspectives and approaches. From a series of teaching time with elementary students, I realize that I``ve emphasized a dominant ideology of the West, especially that of America, within our English classes rather than highlight the improvement of the students`` English language skills. So I began this work as an English teacher to move past that kind of methodology. In order to do so, I extracted certain elements of colonialism from various stories, in-depth interviews, and more, present in our English classes. The summarized results of the research by that process are as follows. First, as an English teacher, I realize that I reproduce colonialism in our English classes. I intentionally give higher status to English speakers over speakers of our mother tongue, those using the Korean language, by means of conscious and unconscious remarks to students. I empathize English as a superior language and culture. Second, the students may already have a colonialist mind-set. Students regard having English language skills as a unique ability and recognize students with good English competence as those more specialized among all students. Students also give higher status to an English-speaking country``s culture. Third, there is colonialism within the English curriculum. CLT (Communicative Language Teaching) methodology has been imported from the west without taking a deep consideration of the adaptation process. CLT which is proper for English as a Second Language environment has been adapted to Korea``s English classes which has an English as a Foreign Language atmosphere.

      • KCI등재

        생애사 연구의 개념적 모형에 대한 이론적 탐색

        민성은 ( Min Sungeun ),최성호 ( Choi Sungho ),김영천 ( Kim Youngchun )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17 교육문화연구 Vol.23 No.1

        본 연구에서는 최근 학문적 활용이 더욱 확산되고 있는 생애사 연구 방법의 전체적 과정을 하나의 개념적 모형으로 제시하고 한다. 이를 위해 기존의 생애사에 대한 이론적 논의들과 구체적이고 모범적 적용 사례들에 대한 문헌 분석을 통해 도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 번째, 생애사 연구 문제 진술의 형태는 `삶의 전체 여정 묘사`, `개인적 변화의 구체적 양상과 원인`, `특정경험의 개인적 의미 형성 이해`, `특정 단체나 인물의 특징 개념화` 등 4가지로 영역화 할 수 있다. 두 번째, 생애사 연구의 주된 방법으로 생애사 면담, 보조적 방법으로 참여 관찰과 문서 분석을 활용할 수 있다. 세 번째, 생애사 자료 분석은 `연대기적 시간 순서로 분석하기`, `인간관계형식 중심으로 분석하기`, `공간 및 소속집단 중심으로 분석하기`, `가치관과 비전 중심으로 분석하기`, `삶의 대응 방식 중심으로 분석하기`, `사회적/역사적 맥락 중심으로 분석하기` 등 6가지관점 중심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네 번째, 생애사 연구의 결과 표현 및 글쓰기 방법에는 연대기적 글쓰기, 중요한 사건 혹은 일화 중심 글쓰기, 시각적 이미지를 이용한 글쓰기, 호소적 언어사용을 통한 글쓰기, 표를 활용한 글쓰기 등이 있다. 이러한 생애사 연구 과정에 대한 개념적 모형에 대한 논의는 생애사 연구를 활용하고자 하는 연구자들에게 하나의 지침과 안내자로서 역할 할 수 있을 것이다. In this research, we would like to theoretically explore the conceptual model of life history research in overall way. The concrete procedures are as follows. First, the forms of research problem are divided into four categories, `the description of overall life journey`, `the concrete aspects and causes of individual changes`, `the formation of individual meanings on specific experience`, `the conceptualization of traits of specific organization or personality`. Second, life history interview acts as a main research method, and participation observation and document analysis act as subsidiary research method. Moreover, developing a interview guide would be necessary for effective life history interview. Third, the frames of data analysis are divided into six categories, including `to analyze chronologically`, `to analyze based on modes of human relations`, `configurations of interaction`, `to analyze based on place and affiliated groups`, `to analyze based on personal sense of values and vision`, `to analyze based on changing life attitudes`, and `to analyze based on social/historical context`. Fourth, there are manifold writing methods in life history research including `to write chronologically`, `to write based on critical event of anecdote`, `to write utilizing visual images`, `to write through emotional appealing languages`, `to write utilizing the tables`. These overall outline on life history research can be beneficial to especially life history novice as a guidance to research.

      • KCI우수등재

        인천지역 기후변화에 따른 미세먼지의 건강 취약성 평가

        유희종(Heejong Yoo),김정곤(Jongkon Kim),신재원(Jaewon Shin),김영주(Youngju Kim),민성은(Sungeun Min),제갈대성(Daesung Jegal),방기인(Kiin Bang),이성모(Sungmo Lee) 한국환경보건학회 2017 한국환경보건학회지 Vol.43 No.3

        Objective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vulnerability of the human health sector to PM 10 due to climate change in Incheon over the period of 2005-2014. Methods: Vulnerability to PM 10 consists of the three categories of climate exposure, sensitivity, and adaptive capacity. The indexes for climate exposure and sensitivity indicate positive effects, while adaptive capacity shows a negative effect on vulnerability to PM 10 . The variables in each category were standardized by the rescaling method, and respective relative regional vulnerability was analyzed through the vulnerability index calculation formula of the 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 Results: Regions with a high exposure index were the western and northern urban areas with industrial complexes adjacent to a highway, including Bupyong-gu and Seo-gu. Major factors determining the climate exposure index were the PM 10 concentration, days of PM 10 3 , and PM 10 emissions. The regions showing a high sensitivity index were urban regions with high populations; these commonly had a high mortality rate for related diseases and vulnerable populations. Conclusions: This study is able to support regionally adjusted adaptation policies and the quantitative background of policy priority since it provides information on the regional health vulnerability to PM 10 due to climate change in Inche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