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INVESTIGATION OF CAI IN BUSINESS EDUCATION

        민선향 이화여자대학교 법정대학 비서학과 1991 비서학연구 Vol.- No.11

        본 연구의 목적은 여러 교육 분야 중 특히 사무교육에서 그 사용과 관심이 날로 증대되고 있는 컴퓨터 보조학습을 개인 학습 측면에서, 현재 사용되고 있는 소프트웨어 패키지, 컴퓨터 보조학습의 효과, 한계점 및 전망등을 문헌조사를 통해 연구하는 데 있다. 사무교육에 있어서, 학생들이 직장에 나가 효과적으로 일을 할 수 있는 기초를 제공할 수 있는 교육방법들이 끊임없이 연구되고 있는데 그 중 컴퓨터 보조학습의 사용은 학생들간의 사기증진, 고용인들의 요구를 만족시켜주고, 학습을 향상시키는데 도움을 주고 있다는 측면에서 그 중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컴퓨터 보조학습의 교육적 잇점에 대해서는 전통적인 수업방식과 비교되어 여러측면에서 연구결과들이 나타났다. 학습자들은 각자의 학습속도에 따라 학습할 수 있고, 알맞은 피드백을 주며. 학습결과에 대한 즉각적인 피드백은 매우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고 특히 학습의욕을 고취시키는 데 많은 기여를 한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지적되는 한계점은 프로그램을 만드는데 있어서의 비용과 시간이 들 뿐 아니라, 영문편지 작성과 같은 특정 과목은 컴퓨터로써 학습하기 어려운 점과 같은 과목설정의 한계성등이 지적되고 있다. 또한 사회화측면에서의 비 인간화등은 컴퓨터 보조학습의 주요한 결점으로 지적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한계점에도 불구하고 사무교육의 여러 교과목 (타이핑, 파일링, 워드프로세서, 회계학 등)의 소프트웨어가 연습 및 훈련형, 개인지도형, 모의실험용 등으로 개발되고 있고, 중요한 보조학습으로서 사용되고 있다. 컴퓨터 보조학습은 교실에서 교사의 대치품이 아닌 학습의 보조기구로서 사용될 때 그 가치를 더할 것이며, 교육방법을 개선시키는 중요한 보조의 역할을 할 것이다. 아울러 컴퓨터 보조학습을 위한 프로그램 연구등 많은 노력이 뒷받침 되어야 하겠다.

      • KCI등재

        NCS 기반 비서 교육과정 개발 사례연구

        민선향 한국직업교육학회 2015 職業 敎育 硏究 Vol.34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framework for the NCS-based curriculum development in the field of secretary at the junior college-level. NCS is National Standards Curriculum in professions to achieve competencies that define the specific knowledge, attitudes, and skills that students should obtain as a result of participating in the education or training. Based on the review of literature, case study of curriculum development of A Junior College, Department of Secretarial Office Administration was conducted from a perspective of NCS. The field of secretary and office administration related competency unit groups, competency units, and competency elements were reviewed and selected followed by the process of developing the curriculum: The examination of NCS, competency unit related to secretary and office administration area, needs analysis including job trend, characteristic of College and Department etc., Mapping between competency unit and coursework, course profile, road map of course. It solves a gap between a demand of field in industry and educational training. The focus of the study is to redesign curriculum of the field of secretary for college students from a perspective of NCS. As a result, the utilization of the NCS for the college curriculum should be to complement the existing curriculum. In addition, the active involvement and supports of the school are required in terms of conducting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NCS-based curriculum, providing the incentives or linking the utilization of NCS with the government's various funding-projects for the colleges. To alleviate the psychological and financial burdens of colleges, the active participation of the industry is also essential in the whole process of developing and applying the NCS at the colleges. Further study is needed operation of NCS-based curriculum including subject-materials, syllabus, evaluation in teaching & learning. NCS 기반 교육과정은 일과 수행 중심의 교육과정으로 직무 중심의 모듈로 개편하는 것을 의미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비서・사무행정 분야의 NCS 기반 교육과정 개발을 위한 기초적인 자료를 제시하는 데 있다. 연구목적을 효과적으로 달성하기 위해 먼저 문헌분석을 통해 NCS의 기본개념과 분류체계 및 구성, 그리고 NCS기반의 타 분야의 교육과정 관련 선행연구를 살펴본 후 A대학 비서행정과의 NCS 기반 교육과정개발을 사례연구로 진행하였다. 연구절차는 A 전문대학 비서행정과의 교육과정을 NCS에서 제시된 능력단위를 적용하여 기존 교육과정과 연계하여 개발 절차를 단계별로 실제 적용하여 제시하였다. 해당 NCS 분류체계 및 구성 검토-요구분석-NCS 분류 체계 기반 학과 인력 양성 방향과 교육목표 설정- 관련 직무 능력단위와 능력단위요소 검토- NCS능력단위 직무 모형 설정- NCS능력단위와 교과목 연관성 검토- NCS 적용 교과목, 비적용 교과목 도출-NCS 적용 교육과정 총괄표의 8단계별로 NCS에서 제시된 2개의 세분류를 활용하여 교육과정개발이 이루어졌다. 연구결과 NCS를 기반으로 한 교육과정 개발 시 전문대학 교육 현장에서 수반되는 현실적 문제와 이를 토대로 제언이 논의되었다. NCS기반 교육과정은 현재 국가가 지향하는 일-교육 및 훈련- 자격과 연계된 순환형 직업교육 체제 구축을 위해 현장적합성이 높은 능력중심의 교육과정 모델을 지향하고 있다. NCS 기반의 교육과정개발이 실효성을 거두기 위해서는 교육과정 개발과 활용에 따라 불가피하게 수반되는 이해 관계자들의 변화 수용 자세 및 학교 정책 차원에서의 행・재정적 지원이 관건이다. 교육과정개발 이후 교육과정을 현장에서 운영하고 평가하는 방법 등은 지속적으로 논의되어야 할 향후 과제가 될 것이다.

      • 전문대학생의 기초직업능력 강화에 대한 탐색적 연구

        민선향 연세대학교 교육연구소 2004 연세 교육연구 Vol.17 No.1

        최근 전문대학들이 직면하고 있는 내부적·외부적 환경요인들은 단기직업교육기관으로서의 전문대학 정체성을 위협하고 있다. 이 중 학령인구 감소에 따른 전문대학의 다양한 입학정책으로 야기되는 학생들의 기초능력 저하 문제는 가장 큰 문제로 인식되고 있다. 빠른 직업세계의 변화에 보다 유연하고 능동적인 대처를 하기 위해서는 그 어느 때보다도 기초직업능력이 절실히 요구된다. 전문대학생의 기초직업능력의 결손은 결국 평생직업능력으로 이어지지 못하며 이는 전문대학 교육의 실패를 의미한다. 그러므로 기초직업능력 강화는 전문대학의 질 관리 측면에서 반드시 고민해야하는 과제다. 이러한 문제의식을 갖고 본 연구는 전문대학생의 기초직업능력 강화를 위한 총체적인 틀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기초직업능력, 기초학습능력의 개념, 그리고 기초능력과 직무와의 관련 등 문헌연구를 통해 기본적 개념과 관련 논의들을 살펴보았고 이를 토대로 전문대학생을 위한 기초직업능력 강화 방안 모색 직업교육의 총체적 학습 시스템 안에서 탐색해 보았다. 앞으로 우리나라 전문대학과 전문대학생의 현실을 반영한 기초직업능력 강화 관련 실증 연구 및 프로그램 개발 등 실제 사례들을 통해서 그 효과성을 입증하는 다양한 연구들이 향후 과제가 될 것이다. Recently, junior colleges have faced many difficulties in the internal and external environments. Especially, low academic level of students is one of the big problems. For the competition of junior college, the importance of basic workplace literacy should be emphasized.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provide framework for the development of basic workplace literacy of the junior college students. In this study, prior studies and reports were reviewed to establish the conceptual and theoretical foundations of basic workplace literacy. Then the following contents were examined: the need of workplace literacy for the junior college, conceptualization of workplace literacy and related perspectives, the direction of vocational education for the development of basic skills, and the effective program frame for the development of workplace literacy. This framework derived from interpretative perspective. A number of strategies are suggested. The direction of vocational education is the integration of vocational and academic education, work-based learning, school-based learning, and connecting activities. The program frame was fccused on integrations of academic and vocational area; contextual 1- which enhances student learning and engagement; teachers who provide high expectations and positive feedback. For further research and development, an empirical study related in basic workplace literacy will be needed.

      • 비서직 생산성 향상을 위한 문서 관리 시스템 개선에 관한 연구

        閔仙香 배화여자대학 1995 培花論叢 Vol.14 No.-

        Because of business expansion and growing amounts of paperwork, filing & records management has become central part in the business for the increasing office productivity. Recently, in the office environment, great emphasis has been placed on the improvement of the filing system. Therefore, in the information society as executives have to deal with a wide variety of information, the role of secretary is emphasized in respect of records managemen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secretarial productivity with reference to improving records management system. To this aim data were gathered through reviewing literature and case study currently introduced new filing & records management system by business corporation. Domestic companies as a whole pointed out a number of difficulties such as a lack of systematic filing systems and procedures, equipment, ignorance of the basic knowledge of practices, propensity to hoard and not to destroy invalid records, shortage of filing cabinets, narrow space in the office room, etc. In conclusion, as an information manager secretaries should have a thorough knowledge of records management to assist their boss. Also through case study because records management system would incur additional expenses and be a tedious, time consuming task, long-term investment should be taken into account.

      • 직업교육으로서의 비서학의 학습전략에 관한 연구 : 문서관리의 파일링 수업 설계를 중심으로 Focusing on Instructional Design of Filling in Records Management

        閔仙香 배화여자대학 1993 培花論叢 Vol.11-12 No.-

        At a time of changing nature of society, competency-based education is recommended for all vocational programs. Competency-based education (CBE) is education geared toward preparing individuals to perform identified competencies which are statement of a task that the individual is expected to perform successfully as he or she emerges from the learning proces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one way to design filing instruction using CBE in the area of Secretarial Science. Following contents are examined: concept of CBE, key elements which must be present in CBE, goal setting in CBE, job analysis of CBE, instructional design of filing using CBE. In conclusion, CBE is making progress toward their goals, so studies of how to enhance learning would be of value. There is no one way to teach for competence. A variety of instructional strategies to teach is a necessity. The beauty of the competency-based approach is its ability to manage diversity. Therefore, the CBE approach to instruction will serve as a powerful management tool for education. In order to make full use of competency-based education in Secretarial Science, there will be a need further research.

      • KCI등재

        전문대학 비서행정과 졸업생의 학사학위 취득 방안

        민선향(Min Sun-Hyang) 한국비서학회 2007 비서·사무경영연구 Vol.16 No.2

        본 연구는 그동안 전문대학에서 논의되어 왔던 학사학위 취득 방안을 비서행정과에 적용하고자 하는 기초연구이다. 이를 위해 서울에 위치한 B대학 비서행정과를 사례로 재학생의 계속교육욕구와 진로계획, 계속교육 유형의 선호도, 그리고 학사학위를 취득한 졸업생들과의 심층인터뷰를 통해 학사학위 취득 경로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 결과 비서행정과 재학생과 졸업생들은 대다수가 계속교육으로써 학사학위 취득을 열망하고 있으며 특히 졸업 후 직장에서의 사회적 경험은 학사학위 취득을 더욱 가속화 시키고 있다. 비서행정과 졸업생의 학사학위취득과 관련되어 나타난 문제점으로는 비서전공과 학사학위전공과의 불일치로 타 전공을 선택해야 하며 학사학위에 대한 열망이 있어도 학위 취득 경로에 대한 정보 부재로 많은 학생들이 학위 과정에 진입하지 못하고 있다. 이 결과를 토대로 향후 비서행정과의 보다 현실적인 학사학위 취득 연계 방안으로써 학점은행제 연계와 전공심화제가 논의 되었다. 비서행정과의 경쟁력을 더욱 강화시키기 위해서는 대학 2년 과정을 종국교육에 국한하여 보지 않고 계속교육으로써 졸업 후에도 학교로 다시 돌아와 공부할 수 있는 순환적 교육체제의 가능성을 학사학위 연계로 이어져야 할 것이다. 이를 위해 학사학위취득 방안에 대한 활발한 담론 조성과 함께 방안이 추진될 수 있는 정책 연구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후속 연구들이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some kind of guidelines for those junior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Secretarial Administration to earn 4-year college degrees. Surveys given out to senior students and individual interviews of 5 former bachelor's degree graduates were used. The results showed the following problems in graduates' pursuiing of 4 year bachelor's degree. - Graduates had to choose third major because of inconsistency between secretary major and baccalaureate major. - Only a limited number of graduates were able to go on into the degree program because of the lack of information or guide in pursuing bachelor's degree, Practical suggestions to help students continue their education to 4-year bachelor's programs are presented. - Articulation among Credit Bank System, formal curriculum, and major qualifying certificate should be examined. - Intensive major courses should be provided at formal curriculum or at lifelong education centers at junior college. - To increase of competitiveness of Department, it is necessary to discourse in depth about the ways of baccalaureate degree.

      • KCI등재

        직업기초능력을 적용한 전공융합형 교과목 개발 사례연구

        민선향(Min, Sun-Hyang) 한국비서학회 2020 비서·사무경영연구 Vol.29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전공능력과 NCS 직업기초능력을 동시에 교육할 수 있는 전공융합형 교과목 설계를 위한 기초적인 자료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A 대학 비서전공의 비서직무와 관련된 NCS 직업기초능력을 산업체 요구도 분석, 교과목과 직업기초능력의 관련성 분석을 통해 전공융합 교과목으로 도출하는 절차를 사례로 제시하였다. 연구 결과, 비서전공은 직무 특성이 직업기초와 연계된 내용이 많아 직업기초역량을 기반으로 한 전공융합 교육과정의 가능성을 보여 주었다. 전공융합 교과목의 궁극적 목표는 분절된 지식에서 벗어나 직무를 총체적으로 이해하는 것이므로 전공교과목 간의 유기적 연계를 충분히 고려하여 적용 가능한 교과목 모형을 찾는 것이 중요하다. 학과와 전공의 특성을 고려하여 전공융합형 교과목을 개발하는 시도는 역량기반의 직업교육을 강화하는 하나의 방안이 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는 기존의 NCS 기반의 교육과정개발 절차를 활용한 보완적 설계로써 역량기반의 전공융합형 교과목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 무엇보다 모든 직무의 핵심역량으로 강조되고 있는 직업기초능력을 비서직무와 연계하여 실제 전공융합형 교과목의 사례를 제시했다는 실무적 차원의 의의를 지닌다. 향후, 수요자 요구에 기반을 둔 전공융합형 교과목의 다양한 사례연구 및 그 실효성을 검증하는 연구가 후속 과제로 이어져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the basic framework for a major convergence course by linking vocational key competencies with major subjects. To this end, the case of ‘A’ college secretary major was presented as an example of the process that derives NCS vocational key competencies related to the secretary’s job as a major convergence subject through an analysis of industrial needs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ubject and vocational key competence. The study indicated that the secretary majors are related to vocational key competencies, which show the possibility of convergence major course. Because the ultimate goal of major fusion subjects is to understand the job as a whole from the segmented knowledge, it is important to find an applicable curriculum model considering interrelated linkage between the major courses depending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majors. Various attempts at developing convergence courses may be a way to strengthen competency-based vocational education. In the future, many cases of major fusion curricula that fully reflect the requirements analysis based on the various demands of consumers and the study to verify its effectiveness will be a follow-on task. This study has the practical significance to the direction of major fusion subjects by presenting the case where vocational key competencies are emphasized as the core competence of all jobs linked with the secretary’s job.

      • KCI등재

        상업고등학교와 전문대학 비서관련과의 연계 교육과정 탐색 연구

        민선향(Sun-Hyang Min) 한국비서학회 2001 비서·사무경영연구 Vol.10 No.2

        The following is a summary of the needs for systematic articulation curricula: - To minimize overlapping curricula by defining the educational level at which various skills should be taught to increase opportunities for higher vocational education for retraining, to increase the quality and efficiency of instruction, to link two educational levels so that students can make a smooth transition from one level to another without delays, duplication of course work, or loss of credit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provide framework for the development of articulation curricula between commercial high schools and junior colleges focusing on the secretarial area. The study examined the case of USA, the current curricula in eight commercial high schools in Korea, and the related materials provided overall guideline for building an articulation curriculum This articulated curricula follows 2+2 structured program to incorporate academic and vocational course work in the secretary related area According to the examination of overlapping curricula, courses are sequenced and identify necessary skills. Articulation organizes the curriculum content into basic and advance competencies. Basic skills are taught at the high school level, and advanced skills are taught at the junior college level. Through articulation agreements, systematic procedure should be listed. Written agreements formalize programs of study, the acceptance or transfer of articulated courses among institutions, development of course materials, and the role of high school and junior college instructors. Curriculum development teams of teachers, faculty, and industrial representatives should work closely to evaluate present curriculum problem, establish standards and assess the sequence and content of courses. Further research into curricula articulation should also involve students, teachers, and faculties to get their perceptions about the curricula articulation, which could improve the quality of both commercial high schools and junior colleges. There is also nero for research to assess current articulation efforts to determine the critical factors for success. This information will help related group to develop more effective articulation agreements.

      • KCI등재
      • KCI등재

        신입비서의 무형식학습 과정 연구

        민선향(Min Sun-Hyang) 한국비서학회 2011 비서·사무경영연구 Vol.20 No.3

        최근 학습의 개념이 제도화된 형식교육 차원을 넘어서 무형식학습 등의 다양한 형태를 포괄하는 방향으로 전개됨에 따라 무형식학습의 중요성이 일터에서 점차 중요하게 부각되고 있다 그동안 구조화되고 형식화된 학습의 . 틀에서 비서교육을 바라보았다면 본 연구는 무형식학습이라는 새로운 관점에서 신입비서들의 업무습득 과정을 일상 삶과 통제되지 않은 일터 상황에서 있는 그대로 보고자 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입사한 지 1년 미만의 신입비서를 대상으로 그들이 어떻게 비서업무를 배우는지에 대한 무형식학습 과정을 탐색하는 것이다. 연구참여자는 연구목적에 부합하여 많은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B대학의 비서전공 졸업예정자 중 비서직으로 조기 취업된 학생 10명을 의도표집(purposive sampling)을 하였다. 일인당 두 번 이상의 심층인터뷰를 전사한 기록과 한 학기 동안 각자가 작성한 주간 업무성찰일지의 내용을 분석하여 사실, 반복되는 범주, 그리고 핵심어를 중심으로 연구자가 그 의미를 해석하였다. 연구결과 신입비서들의 무형식학습 과정은 개인의 다양한 체험적 활동 경험이 일터의 상황적 맥락과 상호작용하여 성찰이라는 재해석과정으로 의미화가 되었을 때 업무습득으로 이어진다는 것이 나타났다. 무형식학습은 개인경험에 근거한 동기유발이라는 점에서 일터에서의 높은 활용성과 실용성으로 형식학습과는 다른 강점으로 부각될 수 있는 학습방법이 될 수 있다. 그러므로 무형식학습은 비서의 업무습득에 활용할 수 있는 형식학습의 상호보완 관계로 이해하고 활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The principal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characterize the informal learning process whereby individual learning activities are interrelated to their secretarial job acquisition among entry-level secretaries in the workplace. Using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data were collected via in-depth interviews and weekly reflection papers. The study population consisted of 10 entry-level secretaries with no previous full-time work experience. Individual semi-structured audiotaped interviews, each lasting approximately an hour, were conducted at least twice. Data from the transcribed statements and weekly reflection paper were analyzed with a focus on fact, category,. and meaning, via a content analysis approach. The data indicated that previous experience, observation, trial & error, informal networking, questions, and reflection are the principal informal learning activities. These activities are interrelated to the workplace context through a reflection process, and then make meaning, which results in job acquisition. Entry-level secretaries learn informally and in a meaningful way by participating in individual informal activities. Informal leaning is a function of the context in which both the organization and the individuai operate. A further area of potential study would involve investigations of several more focused target groups via the same procedures. The present study is expected to provide new perspectives and useful insights into the process of informal learning as an additional learning method for secretarial education and traini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