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정신질환의 가족력에 따른 정신증에 대한 임상적 고위험군의 뇌 휴지기 기능적 연결성의 차이에 대한 예비적 연구

        민범준,이태영,김성년,한현정,신다정,조서현,권준수 대한조현병학회 2012 대한조현병학회지 Vol.15 No.2

        Objectives : People at ultra-high risk for psychosis have heterogenous character and different long-term outcomes. We divided ultra-high risk subjects into two subgroups by presence of familial history and tried to find different pattern of functional connectivity of the default mode network (DMN) between the two groups in order to examine the effects familial loading. Methods : Eleven subjects at clinical-high risk (CHR) group with familial history of psychiatric illness and nineteen subjects of CHR group without familial history were recruited. All the subjects were scanned using resting-state functional magnetic resonance imaging. A posterior cingulate cortex was the seed region of the analysis, and the DMN of the both high risk group were analyzed with voxel-wise two sample T test. Results : The CHR group with familial history showed greater functional connectivity in the precuneus area in contrast with the other high risk subjects (peak-level t=5.49, p<0.001).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otal score on the Positive and Negative Syndrome Scale and Scales of Psychosis-risk Syndrome between the two groups. Conclusion : The study suggests that the abnormalities of functional connectivity between precuneus and posterior cingulate area may be associated with the genetic vulnerability of high risk trait.

      • KCI등재

        COVID-19 팬데믹 시대의 한국 소방공무원의 업무 실태와 우울증 위험 요인

        박혜연,이지혜,민범준,김정현 한국콘텐츠학회 2022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22 No.5

        본 연구는 우리나라 소방공무원의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COVID-19) 대응 업무 실태를 파악하고 COVID-19와 관련된 경험이 우울증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소방공무원 53,557명이 온라인 설문조사에 참여하여, 본인 및 동료의 COVID-19 감염 경험, COVID-19 대응 업무 경험 및 업무 강도, 사회적 낙인의 두려움, 불안 및 우울 증상에 대한 설문에 답했다. 자료 분석 결과, 2021년 3월 기준으로 전체 53,557명 중 45.76%가 COVID-19 대응 업무 경험을 한 것으로 나타났다. 주요 직무군 별로는 구급 업무군에서 COVID-19 대응 업무의 수행 비율이 가장 높았고, 대응 업무 강도와 사회적 낙인의 두려움 역시 다른 직무군에 비해 컸다. 위계적 회귀분석 결과, 동료의 감염, 대응 업무 강도, 사회적 낙인의 두려움이 COVID-19 팬데믹 중 소방공무원의 우울증을 설명하는 유의한 변수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 결과는 COVID-19 팬데믹 시대에 소방공무원들에게서 우울증을 발생시킬 수 있는 위험 요인을 제시하며, 감염병과 관련된 소방공무원 직군의 우울증 발생 예방과 증상 완화를 위한 노력에 실질적인 토대를 제공한다. This study investigated work experience of firefighters and risk factors for their depression during COVID-19 pandemic. We analyzed data of 53,557 firefighters who participated in the online mental health status survey. Data included experiences of COVID-19 infection, experience of COVID-19 response work, fear of social stigma, and anxiety and depression symptoms. Results showed that 45.76% of participants had experience of COVID-19 response work. Emergency job group had the highest percentage of COVID-19 related work and the greater intensity of the work and fear of social stigma than those of other job groups.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showed that co-workers’ infection, COVID-19 related work intensity and fear of social stigma were significantly associated to the severity of depression. The findings in this study demonstrated COVID-19 related work experience can link to the development of depression in firefighters. Effort to reduce COVID-19 related work intensity and fear of social stigma could help prevent depression among firefighte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