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서울 蕩春臺城의 築造過程

        민덕식 서울역사편찬원 2012 서울과 역사 Vol.- No.80

        Tangchundaeseong was called east castle. Because it was southern of a capital city. It's length was 5,156m from Inwang mountain of a capital city to hyangrobong's southern junction. Tangchundaeseong was composed Chadansung and Bukbyeok, Nambyeok, these construction time was different. Construction of Tangchundaeseong's warehouse made low defense. So Gyeongricheong Dojejo Leeyou proposed to construct Tangchundaeseong's Chadansung in King Sukjong 41th. Tangchundaeseong's Chadansung constructed by Chongyungcheong. It's construction was started at spring, It's construction period was about 6 months. During it's construction period, chadansung was constructed. chadansung was composed gwanmun and sumun, left iksung, right iksung. The construction leader was docheong who was Jeonsusa Cho-igeon. Sumun was constructed by Jencheomsa Sineon. Seongmun was constructed by Jeonwijang Kimhwaseo. Jwaseong was constructed by Jeonmaho Leedongbang. Useong was constructed by Jeonsagwa Leemanpyo. Panjungchubusa leeyou proposed to construct Tangchundaeseong's bukbyeok in King Sukjong 44th spring. Tangchundaeseong's bukbyeok was from northern of chadanseong's Jwaseong to hyangrobong's southern junction. Guemgunbyeoljang Yunkak was Docheong. Selected people of each troops officers and Gyeongricheong's officers was paechang to supervise on August. The construction period was 41 days from August 26th to October 6. The remaining construction was planned to restart in next year's spring. But many contrary opinion stop the construction. Southern 200 bo was constructed in this time. 蕩春臺城은 도성의 서쪽에 있다고 하여 西城이라고도 불렀는데, 총 길이 5,156m로 仁王山 都城 밑에서 시작하여 香爐峰 남측 분기점까지 남북으로 이어진다. 탕춘대성은 시기를 달리하여 쌓은 遮斷城, 北壁, 南壁으로 구성된다. 창춘대성은 창고들이 건립되므로 인해 이에 대한 방비가 허술하게 되자, 肅宗 41년에 들어 經理廳 도제조 李濡의 건의로 摠戎廳으로 하여금 축성을 담당하게 하여, 대략 봄부터 役事를 시작하여 6월에 畢役하였다. 이 축조구간은 遮斷城(關城)의 역할을 하도록 쌓아진 것으로, 關門, 水門, 좌우 翼城이 결합되었다. 役事는 前水使 趙以健이 都廳을 맡아 총괄하고, 前僉使 申琂이 水門, 前衛將 金華瑞가 城門, 前萬戶 李東芳이 左城, 前司果 李萬杓가 右城을 맡아 축조하였다. 북벽은 차단성의 左城 북변에서 시작하여 香爐峰 남측 분기점까지 이어진다. 肅宗 44년 봄 판중추부사 李濡의 건의에 따라 축성이 결정되고, 윤8월에는 禁軍別將 尹慤를 都廳으로 삼고, 각 軍門의 장교 및 經理廳 소속 군관 중에서 선별하여 감역을 맡을 牌將으로 삼았다. 役事는 윤8월 26일에 시작하여 10월 6일까지 41일간 실시되었다. 나머지 역사는 명년 봄에 다시 시작하기로 하였으나, 반대 의견이 많아 停罷되고 말았다. 이번 役事에서는 南邊의 200여 보를 設築하였다. 그 후 총융사 具聖任의 주관 하에 英祖 29년 2월부터 役事를 시작하여, 2월 15일부터는 甕巖洞 근처에서 石子를 浮出하기 시작하고, 18개월만인 영조 30년 8월에 畢築되었다. 이처럼 북벽은 숙종대에 토성으로 쌓은 것을 영조대에 석성으로 쌓은 것이다. 즉, 土築으로 쌓은 곳은 석축으로 개축하고, 未築處는 석축으로 새롭게 쌓은 것이다. 南壁은 仁王山 都城 밑에서 차단성의 右城 南邊까지이다. 총융사 具聖任은 북벽을 축조하고, 이어서 弘智門 南邊에서 仁王山 都城 밑까지의 1,400보를 계속 축조하려고 하였으나, 摠戎廳의 物力이 떨어져 停役을 하고 말았다. 그 후 具聖任의 뒤를 이은 총융사 李章吾도 英祖 32년 봄부터 役事를 계속하려고 하였으나, 영조는 秋事를 보아 거행하라고 하였다. 이해 7월에는 축성에 따른 物力을 鑄錢을 통해 마련하기로 결정하고, 英祖 33년 3월에는 備邊司에서 漢北門 城堞 繼築을 위한 摠戎廳鑄錢節目을 마련하였다. 이에 따른 남벽에 대한 役事가 어떻게 이루어졌는지는 알 수가 없다.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새로 발굴된 서울성곽의 부대시설-치성과 이간수문을 중심으로-

        민덕식 서울역사편찬원 2011 서울과 역사 Vol.- No.78

        The six chisung were constructed between Heunginmunʼs south and Gwanghimunʼs north from King Yeongjo 29th February to June. Hongbonghan was planned to construct four chisung in consider of wealth of Yeoyeongchung. but six chisung were constructed. Three chisung among them was excavated recently. There were two chisung between heunginmun and third chisung. First chisung was between Heunginmun and Ogansumun, second chisung was between Ogansumun and Igansumun. And there were three chisung between third chisung and Gwangheimun. Forth chisung among them was on present Hanyang industrial high school, site of froth chisung was founded on a land registration map of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There was two method to construct chisung. First method to construction chisung is to link fortress and chisung in no rebuild. Second method to construction chisung is to rebuild connection of fortress and construct chisung. The state of connection shows how to construct chisung. Second method to construct chisung is strong because of their cross-link of stone. Second method to construct chisung was used in King Yeongjo. The supervision was eoyeongdaejang Hongbongghan who suggest construction of chisung. And a field overseer was Jeonunsang who was beoljand of eoyeongchung. Hongbonghan was received well raised horse and Jeonunsang was promoted to Gyodongsusa for contribution of construction. And officers in charge of construction was contributed. Master craftsmans and mogun were mobilized. There were 440 persons to construct. Maybe master craftsmans were stonemasons to construct chisung. And mogun was laborer. They received yo and po for payment. 영조 29년 2월에서 6월 사이에는 지형이 낮고, 성벽이 비교적 곧게 뻗은 흥인문 남쪽에서 광희문 북쪽 사이에 6기의 雉城을 설치하였다. 洪鳳漢은 御營廳의 財力을 고려하여 처음에는 4기를 계획하였으나, 확대되어 6기가 축조된 것이다. 이번에 발굴된 치성은 이중에서 3치에 해당된다. 즉, 흥인문에서 3치까지는 2기의 치가 있었는데, 1치는 흥인문에서 五間水門 사이에, 2치는 五間水門에서 二間水門 사이에 있었다. 또 3치에서 광희문까지에는 3기의 치가 있었는데, 이중에서 4치는 현 漢陽工高 자리에 있었으며, 일제강점기 때의 지적도에서도 확인된다. 치성의 축조에서는 기존의 체성벽에 치성을 덧붙일 경우에는 기존의 체성벽 밖에 잇대어 치성을 구축하는 경우와 기존의 체성을 헐어내고 체성과 치성을 함께 구축하는 방법이 있다. 이는 체성벽과 치성의 접합부의 상태를 보면 파악할 수가 있다. 후자는 체성벽과 치성의 성돌이 교차하여 결합되기 때문에 전자보다 견고성이 높기 마련이다. 영조 때의 치성 축조에는 후자의 공법이 응용되었다. 치성의 축조공사는 축성을 제안했던 어영대장 洪鳳漢이 주관하고, 어영청의 別將 田雲祥이 都廳을 맡아 현장에서 공사를 총괄하였다. 공사에 대한 공으로 공사가 끝나자 홍봉한에게는 熟馬 1필이 面給되고, 전운상은 加資되고, 喬桐水使에 제수되었다. 또 도청 밑에서 공사를 분담하여 監董했던 將校들도 포상되었다. 치성의 축조에는 匠人과 募軍이 役夫로 동원되었고, 이들은 모두 440명이었다. 축성공사인 만큼 장인들은 주로 石工들이었을 것이고 이들은 浮石과 築城에 참여하고, 모군은 運石 등 雜役夫로 활용되었을 것이다. 이들에게는 일수에 따라 料․布가 지급되었다. 북악산, 인왕산, 남산, 낙산 등 내사산의 流水는 開川(淸溪川)으로 연결되어 동편으로 흘러나가 中梁川의 中梁浦에서 합류하여 한강으로 흘러든다. 개천은 풍수지리적으로는 도성의 明堂水에 해당되며, 도성의 젖줄과도 같은 존재이다. 도성 내부는 지형적으로 서쪽이 높고 동쪽이 낮으며, 특히 興仁門과 光熙門 사이가 가장 낮은 지역이므로 이곳에 五間水門과 二間水門을 설치하였다. 二間水門에는 물가름을 용이하도록 만든 배머리 모양의 석축시설과 흐르는 물을 유도하기 위해 설치된 날개형태의 석축시설이 마련되었다. 또 문헌자료에는 二間水門에 鐵箭(쇠살)으로 된 鐵柵門施設이 마련되었다고 하는데, 발굴조사에서도 바닥석 위의 퇴적토를 제거하는 과정에서 철책에 사용되었던 쇠살 일부가 수습되었다. 太祖 5년 가을에 축조된 것으로 추측되는 이간수문은 후에 여러 차례 수축되었는데, 수축은 주로 개천의 濬川工事와 함께 이루어졌다.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