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Self-realization and Enlightenment: A Comparison of Epistemologies of Jung and Yogācāra Buddhism

        문진건 동방문화대학원대학교 불교문예연구소 2019 불교문예연구 Vol.0 No.12

        This article is a comparison between Jung’s epistemology and Yogācāra Buddhist epistemology in order to better understand the relationship between Jung’s Self archetype and Buddhahood of Mahāyāna Buddhism. The realization of one’s true self is the ultimate goal of both Jung’s psychology and Mahāyāna Buddhism. To bring into comparison Jung’s epistemology and the epistemology of the Yogācāra school, the representative epistemology of Mahāyāna Buddhism, can give a deeper understanding of how Jung and Mahayana Buddhism have different ideals of spiritual realization. Although Jung and Yogacara have a similar episte﹣ mological premise that everything that is experienced occurs in consciousness, they are radically different in terms of how to get ultimate knowledge and how to reach the unconscious mind. Due to these different epistemological notions, Jung and Yogācāra Buddhism necessarily applied the constructive and reductive method to approach phenomena, respectively. This article demonstrates how their contrasting epistemological assumptions lead to significantly divergent concepts of spiritual realization in Jung’s psychology and Yogācāra Buddhism.

      • KCI등재

        불교상담에서 자아의 의미와 역할 유식과 분석심리학의 자아이론 중심

        문진건 동방문화대학원대학교 불교문예연구소 2020 불교문예연구 Vol.0 No.16

        이 연구는 불교의 무아설을 토대로 형성된 불교상담이 서양 심리학에 서 발달한 자아와 자기에 대한 개념을 어떻게 활용할 수 있을까하는 의 문에서 출발하였다. 유식불교의 자아관과 분석심리학의 자아관이 의미 하는 바를 비교해보니, 유식불교와 분석심리학 양측 모두 건강한 정신의 계발을 지지하고 있고, 분석심리학에서 의미하는 강하고 건강한 자 아는 유식불교의 수행관에서 자량위와 가행위와 같은 기초적 수행과 일맥상통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유식불교에서는 ‘나’라는 인식을 번뇌에 상응하는 마음의 상태로 규정 하여 ‘나’라고 하는 믿음과 집착에서 벗어나는 것을 목표로 삼지만, 분석심리학의 ‘자기실현 과정 속의 자아’는 무의식적 힘에 사로잡히는 대 신 갈등을 해결하려는 태도와 함께 콤플렉스와 의식을 분리하고 무의식의 내용을 탐색하며 이해해나간다. 불교적 방식으로 말하자면, 분석심리학의 자기실현의 방향으로 향하는 자아는 번뇌와 상응하지 않고 오히려 인내, 믿음, 관조, 근면함, 통찰과 같은 선한 심소와 상응하는 의식이라고 볼 수 있다. 유식불교의 입장에서 볼 때, 무아 즉 공의 진실을 깨닫기 위해서는 무분별지의 획득이 중요한데, 비록 분석심리학의 자아는 이원적 인식으로서 스스로 무분별지를 달성하지 못하는 한계를 가지고 있지만, 분석심 리학에서는 자아가 무의식의 내용을 탐색하는 방향으로 의식을 집중하고 자기에게로 다가감으로써 스스로 힘이 약해지고 자기가 드러나게 된다. 비록 불교에서는 의식의 주체를 인정하지 않지만, 만일 분석심리학에서 의미하는 ‘자기실현을 위해 노력하는 의식의 주체’라는 자아의 기능이 가지는 심리치료적 효과를 이해한다면, 불교상담도 이러한 자아의 강화를 지지할 것이다. This article started from the question of how Buddhist counseling, formed on the basis of the basic Buddhist doctrine of anattā(non-self), can utilize the concepts of self and ego developed in Western psychology. Comparing Jung’s theory of ego and the Self with Yogacara Buddhism’s theory of manas brings about a conclusion that if the function of the ego is defined as 'the subject of consciousness striving for self-realization', both Yogacara Buddhism and Jungian psychology will support the reinforcement of ego. From a Buddhist perspective, atman(我) in Yogacara Buddhism is a mind that corresponds to defilements, and the ego in Jungian psychology's self-realization process does not accompany the defilements, but rather corresponds to good mental components such as patience, faith, contemplation, diligence, and insight. From the standpoint of Yogacara Buddhism, though the ego of analytic psychology has the limit of not achieving indiscretion on its own as a dual perception, there is a strong belief in self-realization and constant effort to understand the contents of the unconscious, as well as observation and contemplation. The emphasis on non-self of Buddhism and the healthy ego of psychological counseling are not contradictory arguments. Buddhist non-self can also be viewed as a theory that supports the healthy ego which is emphasized in psychotherapy, especially analytical psychology.

      • KCI등재

        인공지능 시대의 심리상담과 불교적 대안

        문진건 한국불교학회 2018 韓國佛敎學 Vol.85 No.-

        In the future of mental health and psychotherapy, artificial intelligence (AI) and other ICT technologies will bring a lot of changes. AI-assisted activities will be useful in developing clinical training, treatment, psychological assessment, and strategy building in clinical practice. It is also expected that, in the future, fast developing AI technology may revolutionize the whole field of psychotherapy and replace human clinical psychologists. However, the theories of human mind from both cognitive science and Buddhist philosophy give a new perspective on ‘intelligence’ and reveal the limitation of the current theoretical paradigm of AI research. The theory of embodied cognition shows that current AI developers rely on connectionism, which has a narrower understanding of human intelligence than embodimentism. The Buddhist theory of mind and body reveals that the current AI research is based on mind-body dualism. The Buddhist notion of the connection between mental attitude and suffering phenomena suggests that AI psychotherpy in mind-body dualism eventually causes suffering. Both Embodimentism and the Buddhist mind theory provides more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human intelligence. Human intelligence plus Artificial Intelligence will bring a bright future in the field of psychotherapy and counseling, but it is possible only when we have more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human intelligence which can be obtained from better understanding of the relationship between mind and body from the perspectives of both cognitive science and Buddhism. 미래의 심리상담에는 인공지능 및 4차 산업 기술이 활용됨으로써 큰 변화를 가져올 것으로 전망된다. 심리상담 분야에 인공지능이 활용되면 상담사 교육과 내담자에 대한 진단 및 평가 그리고 치료 계획 수립에 큰 도움을 줄 것이며, 진단과 상담을 함께 수행할 수 있는 Super Clinician의 등장도 예상된다. 게다가 상담실에서 내담자의 회복을 돕기 위해 가상현실과 증강현실의 기술이 적극적으로 이용될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획기적 발전의 결과로 상담사 또는 임상심리사의 역할이 줄어들거나 바뀔 것이 예상되며 일자리 감소의 우려도 함께 일어난다. 그러나 인지과학의 발전에서 나온 체화주의와 몸⋅마음에 대한 불교 이론의 시각으로 인공지능 심리상담을 보면, 인공지능 기술의 발전에는 한계가 있는 것이 드러난다. 먼저 체화주의의 입장에서 보면, 현재의 인공지능 개발은 지능에 대한 협소한 정의에 입각하여 진행되고 있어서 개발자들이 지능에 관하여 더욱 포괄적인 이해가 필요하다는 것을 보여준다. 몸과 마음 그리고 세계가 분리될 수 없다는 불교의 입장에서 보면, 인공지능 개발이 심신이원론에 기초한 것이기 때문에 인공지능 심리상담은 결국 내담자를 고통의 원인인 주객이원의 세계관에 머물러 있게 한다는 것을 보여 준다. 이와 같이 체화주의와 불교의 이론에서 볼때, 인식과 지능에 관한 연결주의 패러다임을 바탕으로 개발되고 있는 인공지능 심리상담은 보조적인 기술은 될 수 있지만 내담자의 마음을 주도적으로 치료할 수 있는 치료방법이 될 수없다는 논리적 결론이 나온다. 만일 지능에 대한 더 넓고 포괄적인 이해가 선행된다면, 인공지능 심리상담은 더 깊이 있고 성숙한 심리상담법으로 개발 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조현병 요가치료 전문가의 경험에 근거한 효과적인 조현병 요가치료법 연구

        문진건 동방문화대학원대학교 불교문예연구소 2020 불교문예연구 Vol.0 No.15

        본 연구는 조현병 환자를 대상으로 장기간 동안 요가치료법을 시행한 적이 있는 국내 전문가 3인의 경험에 근거하여 조현병 환자를 대상으로 하는 효과적인 요가치료의 의미와 치료의 핵심적 요소 및 지도자가 갖추어야 할 역량에 대하여 살펴봄으로써 국내 조현병 환자를 위한 요가치료법의 개발 연구에 실질적인 도움을 주고자 하여 시도되었다. 이를 위해 국내에서 현재 조현병 환자를 위해 요가 프로그램을 시행해오고 있는 전문가 3인을 대상으로 심층면접을 실시하여 자료를 수집하고 반복적 비교분석법을 통해 분석하였다. 반복적 비교분석법에 의해 도출된 연구를 분석한 결과 9개의 범주가 도출되었고 그 범주들은 조현병 요가치료의 특징, 치료자 또는 지도자가 갖추어야 할 역량, 요가치료 프로그램의 목표와 핵심적 요소를 드러내 주었다. 본 연구의 결과로 도출된 중요한 범주는 적은 양의 기초적 자세 수련의 필요성, 긍정적 체험의 필요성, 요가를 배우는 조현병 환자의 특징, 요가 지도자의 의연함, 지도자의 적극적인 언어적 안내와 표현, 동작의 자연스러운 배열(sequence), 각 아사나(동작) 사이에 이완이 필요함, 호흡 관찰하기, 신체감각과의 접촉 등 이다. 반면에 회기 내에 고급의 아사나(자세)를 수련하는 것을 목표로 하거나 지도자의 안내 없이 환자 스스로 명상을 하는 것 등, 강도 높은 수련과 지도자와 연결이 없는 수련은 비효과적이고 위험을 초래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는 조현병 환자가 실행하기 쉬운 요가 동작에 흥미를 증진시키고 지도자의 지속적인 안내와 격려로 회기 내내 환자가 계속 신체 활동과 호흡에 의식을 두면서 현실감과 자기효능감을 증진시키도록 하는 요가 프로그램을 조현병에 효과적인 요가치료의 정의로 제시한다. Based on the experience of three domestic experts who have practiced yoga therapy for patients with schizophrenia for a long period of time, this study was attempted to give practical help to the development of a Yoga program for patients with schizophrenia by examining the meaning of effective yoga therapy for schizophrenia, key elements of treatment, and the ability of leaders to have. To this end,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three experts who have been practicing a yoga program for patients with schizophrenia in Korea, and data were collected and analyzed through repeated comparative analysis methods. In the results of the study, the experts in yoga therapy for schizophrenia defined it as effective Yoga program for patients with schizophrenia to promote patient interest through relaxation and body-oriented activities, and to allow patients to continue to be conscious of physical activity throughout the session with continuous guidance and encouragement from the leader. On the other hand, a high degree of training, such as aiming to train high-quality asana (position) within the session or meditating patients themselves without guidance from the leader, and training without connection with the leader, have been shown to be ineffective and risky. Therefore, this study presents a yoga program that promotes interest in yoga behavior that patients with schizophrenia are easy to perform and promotes realism and self-efficacy while being conscious of body sense and breathing as a definition of yoga treatment effective for schizophrenia. The important categories derived as a result of this study are natural sequences of motion (arrangement), active linguistic guidance and expression of the leader, need relaxation between each asana (action), breathing observation, and contact with the physical sensation, making up the key elements of effective yoga.

      • KCI등재

        화엄의 상즉상입과 공유경제 플랫폼 비즈니스

        문진건 사단법인한국교수불자연합회 2019 한국교수불자연합학회지 Vol.25 No.3

        With the development of the fourth industry, the platform economy is expected to account for more than half of the total industry by 2025. The platform economy, which has a paradigm completely different from the traditional industrial economy that is characterized by ownership and competition, represents cooperative consumption and production. Because its transactions are based on relationships with people through networks, markets in the platform economy are formed by close relationship among participants. This article examined the manifold relationship that occurs in the platform business, that i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latform and the participants, as well as the innumerable inanimate actors operating in the network of the platform economy. An attempt was made to analyze the nature of the platform business from the perspective of Huayan‘s theory of mutual identity and mutual intercausality. The world of the sharing economy platform business is characterized by the fusion of real and virtual worlds, the constant sharing of information and feedback on goods and services, and the immediate influence of all participants. When entrepreneurs and participants can understand the ethical world view by applying Huayan's notion of mutual identity and mutual intercausality to reciprocal and closely connected shared economy platform business, they will harmonize all economic activities. This study attempted to find a way of harmonious economic activities with Buddhist business ethics and a new perspective.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Huayan's principle of mutual identity and mutual intercausality can be used as a useful theoretical basis to give a new perspective to the sharing economy platform business. 4차 산업의 발달에 따라 공유 플랫폼 경제는 2025년이 되면 전체 산업 규모의 절반이상을 차지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소유와 경쟁을 특징으로 하는 전통적 산업경제와는 전혀 다른 패러다임을 가지고 있는 공유 플랫폼 경제는 네트워크를 통해 사람들과의관계 속에서 거래가 형성되기 때문에 협력적 소비와 생산이 주를 이루고, 상호의존적이고 총체적인 인과관계에 따라 시장이 형성된다. 본 논문에서는 플랫폼 비즈니스에서 일어나는 중첩적 관계, 즉, 플랫폼과 참여자들과의 관계뿐만 아니라 플랫폼 경제라는 관계망 속에서 활동하는 무수한 무생물 행위자들사이의 관계를 상호동일성과 상호원인성을 기반으로 이루어진 총체적 세계를 설명하는화엄사상의 상즉상입 이론의 관점에서 분석하였다. 공유경제 플랫폼 비즈니스의 세계는 현실과 가상세계의 융합, 재화와 서비스에 대한정보와 피드백의 지속적인 공유로 모든 참여자가 서로 즉각적인 영향을 주고받는다는특징을 가진다. 이와 같이 구성원 모두 호혜적이고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는 공유경제플랫폼 비즈니스에 대하여 상호동일성과 상호의존성으로 이해되는 화엄의 상즉과 상입의 이론을 적용하여 화엄적 세계관으로 이해할 수 있을 때, 기업가와 참여자는 플랫폼비즈니스에 관해 새로운 시각을 가지고 화엄적 기업윤리로 조화로운 경제활동 할 수 있을 것이라고 보고 본 연구를 시도하였다. 연구 결과 화엄의 상즉상입의 원리는 4차 산업의 새로운 비즈니스 형태인 공유경제 플랫폼 비즈니스에 새로운 시각을 줄 수 있는유용한 이론적 토대를 제공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 KCI등재

        불교 관법에 대한 심리학적 이해: 정신통합의 탈동일시와 대행선의 주인공관법의 비교분석

        문진건,이광숙 사단법인한국교수불자연합회 2023 한국교수불자연합학회지 Vol.29 No.3

        This study comprehensively analyzes the process of spiritual development and integration and the practice theory of Daehaeng Seon, which is a general term for Ven. Daehaeng's thoughts and practice methods, through a focused comparison between the Juingong contemplation method and Assagioli’s disidentification techniques. This study tried to understand Ven. Daehaeng's thoughts and practice methods from a psychological framework. Looking at the teachings of Ven. Daehaeng (1927-2012) from a psychological perspective, they follow a methodology that is thoroughly based on experience, instilling motivation that promotes beneficial growth and change at the personal and social level, and fostering the development of correct cognition and correct behavior. It has a psychological system that promotes psychotherapeutic changes according to the results. Additionally, historically, Ven. Daehaeng herself suggested reasonable solutions or provided counseling regarding the problems in the lives of monks and laypeople. In this context, Ven. Daehaeng's thought and practice methods can become an important research topic in psychology and counseling. Though there have been abundant Buddhist and religious studies on Ven. Daehaeng's thought and practice, psychological studies on it are very rare. However, Ven. Daehaeng's ideology provides psychological healing methods and healing principles, and has a theoretical system on Juingong as a personality theory. For psychological analysis, it is most appropriate to analyze it within the framework of transpersonal psychology, which integrates human spiritual and religious aspects with psychology. Among the theories of transpersonal psychology, psychosynthesis of Roberto Assagioli(1888-1974), which explains in detail and clearly the spiritual development process such as the state of going beyond the ego, transformation of consciousness, and mental performance, shares close similarities with Ven. Daehaeng’s thought and practice. The Comparison between the contemplation method of Ven. Daehaeng and Assagioli’s disidentification can lay the foundation for future exploration and analysis of Ven. Daehaeng’s teachings using the methodology of scientific and empirical psychology.

      • KCI등재후보

        국내 호스피스 현실에 적합한 불교적 호스피스 모델 연구

        문진건 동방문화대학원대학교 자연치유연구소 2023 자연치유연구 Vol.8 No.1

        본 연구는 국내의 호스피스 제도와 불교인을 위한 호스피스 프로그램의 현실을 살펴보고, 불교인 말기 환자를 위한 호스피스 프로그램을 만들기 위해 필요한 불 교적 호스피스의 개념적 모델을 도출하는 데에 목적을 두고 있다. 실제로 국내의 불교계는 한국불교 호스피스협회가 불교 이념에 바탕을 둔 실천 활동을 전개하였 으나 보급과 실천에 한계를 보였고, 최근에는 국내의 호스피스 분야는 병원의 의 료현장 위주의 호스피스가 주류를 이루고 있다. 이와 같은 현실에서 불교 호스피 스 전문가의 양성을 모색하는 것보다는 국내의 호스피스 병원에서 간호사가 직접 쓰기에 적합한 ‘불교인을 위한 호스피스 프로그램’을 만들어 보급하는 것이 더 실 용적이라고 본다. 국내 의료현장에 불교인에 적합한 호스피스 서비스가 보급되기 위해서는 병원의 간호사와 호스피스 봉사자들이 배워서 현장에서 활용할 수 있는 불교적 호스피스 서비스 모델이 개발·보급되어야 한다. 이와 같은 취지로 본 연구 는 간호학의 ‘평화로운 생의 임종 이론’을 기반으로 불교적 관점에 적합한 불교적 호스피스의 개념 모델을 도출하였다. 이러한 불교적 호스피스 모델을 기존의 병원 에 보급하여 간호사 및 호스피스 교육에 사용된다면 불교 호스피스 활성화를 기 대해 볼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eality of the domestic hospice systems and hospice programs for Buddhists, and to derive a conceptual model of the Buddhist hospice necessary to make a hospice program for the terminally ill Buddhist patients. In fact, in the Buddhist community in Korea, the Korean Buddhist Hospice Association carried out practical activities based on the Buddhist ideology, but showed limitations in its spread and practice. In this reality, rather than seeking to train Buddhist hospice specialists, I think it is more practical to create and distribute a 'hospice program for Buddhists' suitable for nurses to use in domestic hospice hospitals. In order to provide hospice services suitable for Buddhists to the medical field of domestic hospitals, it is necessary to develop and disseminate a Buddhist hospice service model that nurses and hospice volunteers at hospitals can receive and use in the field. With this in mind, this study derived a conceptual model of Buddhist hospice suitable for the Buddhist point of view based on the 'peaceful end of life theory' of nursing. First, the peaceful end of life theory was reviewed and important sub-concepts were extracted, and then it was explained how it should be modified in relation to the Buddhist doctrine. The Buddhist hospice model can be seen as a hospice model that focuses on the Buddhist view of life and death, which is a fusion of the nursing theory of death with dignity and the Buddhist theory of karma and the Four Noble Truths. If this Buddhist hospice model is distributed to existing hospitals and used to educate nurses and hospice caregivers, it can be expected to revitalize Buddhist hospice.

      • KCI등재후보

        국내 호스피스 현실에 적합한 불교적 호스피스 모델 연구

        문진건 동방문화대학원대학교 자연치유연구소 2023 자연치유연구 Vol.7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eality of the domestic hospice systems and hospice programs for Buddhists, and to derive a conceptual model of the Buddhist hospice necessary to make a hospice program for the terminally ill Buddhist patients. In fact, in the Buddhist community in Korea, the Korean Buddhist Hospice Association carried out practical activities based on the Buddhist ideology, but showed limitations in its spread and practice. In this reality, rather than seeking to train Buddhist hospice specialists, I think it is more practical to create and distribute a 'hospice program for Buddhists' suitable for nurses to use in domestic hospice hospitals. In order to provide hospice services suitable for Buddhists to the medical field of domestic hospitals, it is necessary to develop and disseminate a Buddhist hospice service model that nurses and hospice volunteers at hospitals can receive and use in the field. With this in mind, this study derived a conceptual model of Buddhist hospice suitable for the Buddhist point of view based on the 'peaceful end of life theory' of nursing. First, the peaceful end of life theory was reviewed and important sub-concepts were extracted, and then it was explained how it should be modified in relation to the Buddhist doctrine. The Buddhist hospice model can be seen as a hospice model that focuses on the Buddhist view of life and death, which is a fusion of the nursing theory of death with dignity and the Buddhist theory of karma and the Four Noble Truths. If this Buddhist hospice model is distributed to existing hospitals and used to educate nurses and hospice caregivers, it can be expected to revitalize Buddhist hospice.

      • KCI등재

        조현병 치료에 활용되는 요가치료 - 요가치료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예비 연구 -

        문진건,이덕희 동방문화대학원대학교 불교문예연구소 2019 불교문예연구 Vol.0 No.1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yoga treatments currently used in the health care field, especially in the psychological and mental health fields, before our future development of the yoga treatment program. The article explored how the broad notion of classic yoga’s healing has been minimized into a narrow range of yoga therapy. This study is thought to be a necessary process for developing a psychotherapy program that utilizes both yoga’s original healing theory and contemporary scientific method of revealing psychological effects of yoga therapy. In Korea, yoga therapy has not yet been used in psychotherapy and medical fields. Therefore, this study was carried out mainly on the results of foreign studies using yoga therapy for the treatment of psychosis. In particular, the US and Indian healthcare professionals focused on how to treat mental disorders through yoga therapy.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there are some issues to be considered in developing an independent yoga treatment program for the improvement of symptoms. Particularly, it is necessary to exclude meditation and establish a short-term program that focuses on posture, breathing, and relaxation in accordance with the yoga theory. To be used for a meta-analysis in future, measurement of randomized control study or experimental plan for random crossover study should be planned. As well, scientific experiments based on the selection of appropriate scales for evaluation of the program’s feasibility will help in the ongoing yoga therapy research. 본 연구는 심리치료 및 의료계에서 사용되는 요가치료에 관한 조사를 통하여 광의적 의미의 요가가 어떻게 협소한 범위인 요가치료로 변형되어 사용되고 있는지에 대한 전반적 이해와 함께, 특히 조현병 치료에서 요가치료를 어떤 방식으로 활용하고 있는지를 살펴보아 이에 대한 향후의 연구에서 주의해야 할 점을 알아보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본 연구는 요가를 활용하는 심리치료 프로그램에 관한 연구의 발전을 위해서 반드시 필요한 선행 절차라는 인식 하에 진행되었다. 국내에서 요가치료는 아직 심리치료 및 의료 분야에서 활용되지 않고 있다. 그래서 요가치료를 정신증 치료에 사용하고 있는 국외의 연구를 중심으로 본 연구를 진행하였다. 국외에서는 미국과 인도의 건강관리 전문가들의 요가치료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는데, 그들의 연구에서 요가치료의 원리, 보완치료로서 요가의 효과적인 적용 방식, 요가치료 프로그램의 구성요소, 기간 및 운영방식 등에 초점을 맞추어 살펴보았다. 그 결과, 조현병 증상 개선을 위한 독립된 요가치료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발전시키기 위해서는 몇 가지 사항에 주의해야 함을 알 수 있었다. 현재 인도와 미국에서 사용되고 있는 조현병 요가치료 프로그램에는 명상이 배제되어 있으며 자세와 호흡, 그리고 이완을 위주로 하는 단기 프로그램이 선호되고 있다는 점, 요가치료의 변수를 명료하게 드러내기 위해 다른 치료 방법과 섞이지 않고 요가치료만을 독립적으로 사용해야 하며 요가치료의 각각의 구성요소 또한 분명하게 드러낼 수 있어야 한다는 점, 향후 실험연구가 학계의 체계적 고찰 및 메타분석에 사용될 수 있도록 포함기준에 맞는 실험 설계와 결과 측정 도구가 엄격한 계획 하에 수립되어야 한다는 점 등을 본 연구를 통해 도출하였다.

      • KCI등재후보

        요가치료 프로그램이 중년 남녀의 우울과 회복탄력성에 미치는 효과

        문진건 한국명상심리상담학회 2022 명상심리상담 Vol.28 No.-

        본 연구는 요가치료 프로그램이 우울감을 호소하는 중년기 성인의 우울 및 회복탄력성에 미치는 영향을 밝히는 데 목적이 있다. 국내에서도 우울증 개선을 위한 요가 프로그램에 관한 연구가 증가하고 있지만 우울증 중년 남녀를 대상으로 마음챙김 중심의 요가치료를 적용한 연구는 거의 없다. 본 연구는 우울한 중년 남녀를 대상으로 6주 18회기의 요가치료 Rx 프로그램을 실시하고 프로그램 전과 후에 우울과 회복탄력성을 측정하였다. 14인의 남녀가 실험집단에 14인의 우울 중년 남녀가 참여했으며 요가 교육 프로그램에 전혀 참여하지 않은 14인을 통제집단으로 구성하였다. 연구 결과 실험집단에서는 우울의 사전-사후 조사 결과에 유의미한 평균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t=7.039>±1.96, p<.001). 요가 프로그램을 실시하기 전 실험집단의 평균값이 14.36에서 요가 프로그램을 실시한 이후 평균값 6.43로 나타났다. 즉, 요가 프로그램을 통해 실험집단에서 참가자들의 우울 지각 정도가 낮아졌음을 확인할 수 있다. 회복탄력성의 경우 실험집단에서는 회복탄력성의 사전-사후 조사 결과에 유의미한 평균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t=-7.001>±1.96, p<.001). 구체적으로 요가 프로그램을 실시하기 전 실험집단의 평균값이 85.71에서 요가 프로그램을 실시한 이후 평균값 102.93으로 나타났음을 확인할 수 있다. 즉, 요가 프로그램을 통해 실험집단에서의 참가자들은 회복탄력성을 높게 지각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로 보아 요가치료 Rx(마음챙김 기반 요가치료) 프로그램은 중년 남녀의 우울증을 치료하기 위한 프로그램으로 임상장면에서 효과적으로 적용될 가능성이 있음을 알 수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