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잎의 질소 분배가 인도네시아 열대 수종 광합성 질소이용효율에 미치는 영향

        문민규 ( Min Kyu Moon ),김현석 ( Hyun Seok Kim ) 한국임학회 2014 산림과학 공동학술대회 논문집 Vol.2014 No.-

        대부분의 육상생태계에서 질소는 식물 생장의 제한요소로 작용하고 있어, 질소의 효율적인 이용은 식물의 생장과 생존에 필수적인 요소이다. 특히 잎의 질소 함량(NL)은 식물의 광합성 능력과 강한 양의 상관성을 가지는데, 이는 잎의 질소 중 거의 절반 이상이 루비스코, 엽록소 등을 비롯한 광합성기구에 분배되기 때문이다. 하지만 질소 분배의 특성은 수종 및 생육 환경에 따른 변이 보이며, 이러한 변이는 식물의 광합성질소이용효율(Photosynthetic nitrogen-use efficiency, PNUE)에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잎의 질소 분배가 잎의 광합성질소이용효율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세 가지 인도네시아 열대 수종(Magnolia montana, Swietenia macrophylla and Acacia mangium)의 비교를 통하여 실험하였다. 유일한 질소고정식물인 A. mangium이 잎의 질소함량(NL)이 가장 높았으나, 광합성기구에 분배되는 질소(NP)의 비율은 다른 두 수종과 비교하여 가장 낮았다. 모든 수종에서 광합성기구에 분배되는 질소(NP)의 비율이 늘어날수록 PNUE가 증가하였다. 하지만 A. mangium이 동일한 NP 함량을 가질 때 다른 두 수종에 비하여 낮은 PNUE를 보였다. 기공전도도(stomatal conductance) 또한 PNUE와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으나, 질소고정식물은 A. mangium이 다른 두 수종에 비하여 낮은 기울기를 보여, 기공전도도에 대한 PNUE의 반응이 다른 두 수종과는 다른 것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차이는, A. mangium이 다른 두 수종과 비교하여 잎이 더 두껍고, 즉 더 큰 단위 잎 면적당 잎의 질량을 가지고, 상대적으로 질소를 얻기 쉬운 생리적인 특성에서 기인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 KCI등재

        비구 골절 치료의 예후

        황성관(Sung Kwan Hwang),문민규(Min Kyu Moon) 대한고관절학회 1999 Hip and Pelvis Vol.11 No.1

        Acetabular fractures are relatively uncommon. Undisplaced acetabular fractures have a good prognosis. However, displaced acetabular fractures have always given rise to problems unless they were accurately evaluated, classified and reduced. The principles of treatment are to restore the fractured acetabulum to its normal anatomy and to restore an early joint motion to promote healing and to pre- vent joint adhesion. However, the treatment of displaced fracture of acetabulum has been controver- sial. The authors studied the sex and age distribution, classification according to roentgenographic findings, associated injuries, methods of treatment, complication and the clinical results of 68 patients who were admitted to the department of Orthopedic Surgery, Yonsei university, Wonju college hospital with the diagnosis of acetabular fracture.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operative group showed better results(75% and 60%) than those of the conservative group(59% and 53%) in terms of posterior column and wall type fracture. 2. The operative group showed better results(67% and 56%) than those of conservative group(38% and 25%) in terms of both column type of fracture. 3. The results of linear undisplaced fractures were better in conservative treatment group but the results of superior-bursting fractures were better after operative treatment. 4. Post-traumatic osteoarthritis was the most common complication of both column types of fracture. 5. Anatomical reduction was obtained in 72% of the operative group and 71% of these patients showed excellent or good results. 6. Femoral head fracture-dislocation was combined in 44%. The clinical results in this group were worse than those of the uncombined group. 7. The factors, which affect the prognosis of acetabulum fracture are: the treatment chosen for the particular fracture type, the reduction degree of a displaced fracture, and the presence of associated injury, complications.

      • KCI등재

        경기도 태화산 V 영급 잣나무(Pinus koraiensis) 조림지의 지상부 바이오매스 상대생장식 개발

        류다운 ( Daun Ryu ),문민규 ( Min Kyu Moon ),박주한 ( Juhan Park ),조성식 ( Sungsik Cho ),김태규 ( Taekyu Kim ),김현석 ( Hyun Seok Kim ) 한국농림기상학회 2014 한국농림기상학회지 Vol.16 No.1

        임분 밀도가 410tree ha-1이며 평균 흉고직경이 29.1±5.2cm인 경기도 태화산의 V영급 잣나무 조림지에서 흉고직경을 독립변수로 하고 부위별 바이오매스를 종속변수로 하는 상대생장식을 만들었다. 잣나무 넓적 잎벌 피해로 인해 잎의 바이오매스가 낮게 나타났으나, 총 바이오매스에 미치는 영향은 미미하였다. 그간의 연구를 종합한 결과, 개체목 지상부 상대생장식(logY=a+blogX)의 모수 a는 평균 흉고직경과 임분 밀도에 가장 큰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b는 영향을 미치는 인자를 찾을 수 없었다. 임분 단위에서는 부위별로 잎은 6.68Mg ha.1, 가지는 18.82Mg ha-1, 줄기는 101.02Mg ha-1로 나타났으며 이를 합한 지상부 총 바이오매스는 126.53Mg ha-1로 나타났다. 국내 잣나무 임분의 지상부 바이오매스는 임령보다는 평균 흉고직경과 임분 밀도에 더 큰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두 인자를 사용하여 국내 잣나무 임분 바이오매스를 98% 이상 설명하는 간단한 회귀식을 도출할 수 있었다. Allometric equations for leaf, branch, stem and total above ground biomass of Pinus koraeinsis trees were developed with diameter at breast height(DBH) of trees, which were growing in a pine plantation with the stand density of 410 tree ha-1 and the average DBH of 29.1±5.2 cm in Mt. Taewha, Gyeonggi. Damage by Acantholyda parki reduced leaf biomass compared to other studies, however, its contribution to total biomass was minimal among parts. Comprehensive analysis revealed that constant in allometric equation for total above ground biomass (logY=a + blogX) was affected by average DBH and stand density, however, constant b was not. At the stand level, biomass for leaf, brach, stem, total above ground biomass were 6.68 Mg ha-1, 18.82 Mg ha-1, 101.02 Mg ha-1, 126.53 Mg ha-1, respectively. We developed a Korean pine stand biomass regression, which explained about 98% of variation with DBH and stand density based on comprehensive analysis.

      • 간벌 강도가 V영급 잣나무림의 증산과 생산성에 미치는 영향

        박주한 ( Ju Han Park ),김태규 ( Tae Kyu Kim ),문민규 ( Min Kyu Moon ),조성식 ( Sung Sik Cho ),류다운 ( Daun Ryu ),김현석 ( Hyun Seok Kim ) 한국임학회 2014 산림과학 공동학술대회 논문집 Vol.2014 No.-

        본 연구에서는 간벌 강도가 V영급 잣나무림의 임분 증산량과 생산성에 미치는 영향을 2년 동안 연구하였다. 간벌은 임분에서 일정 부분만을 제거하는 것을 뜻하며, 잔존목 사이의 경쟁을 줄여생산성을 향상시키고, 화재 위험성을 줄이며 건강한 숲을 유지하기 위해 널리 시행되는 산림 시업이다. 이러한 간벌로 인해 임내 광환경, 포차, 가용 토양수분량 등의 임내 미세환경이 변화하게 되고, 이로 인해 수목의 수분이용량과 생산성 역시 변화하게 된다. 이러한 간벌의 효과를 정량화하기 위해 2012년 3월에 2가지 강도로 간벌을 시행하였다. 증산은 Granier 타입의 열손실탐침법을 이용하여 측정하였으며, 생산량을 추정하기 위한 직경생장량의 변화는 직경생장밴드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순생산량은 직경변화량과 상대생장식을 이용하여 추정하였다. 2012년도와 2013년도의 기상조건은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2012년도의 임분 증산량은 약도 간벌지에서 약 20%, 강도 간벌 간벌지에서 약 42% 감소하였다. 개체 당 증산량은 간벌지가 무간벌지 보다 높았지만, 간벌로 인한 수목 감소량을 보상하지 못하였다. 증산량과 마찬가지로 개체 당 생산성은 약도 간벌지에서 약 8%, 강도간벌지에서 약 21% 증가하였지만, 임분 순생산량은 오히려 약도간벌지에서 20%, 강도 간벌지에서 31% 감소하였다. 그 결과로 수분이용효율은 강도 간벌지에서만 증가하였다. 2013년도의 경우, 임분 증산량은 약도 간벌지에서 19%, 강도 간벌지에서 37% 감소하였다. 강도 간벌지의 경우, 2012년도에 비해 강도 간벌지의 임분 증산량의 감소가 줄어들었으며, 이는 개체당 증산량의 증가에 기인하였다. 개체 당 생산성은 간벌지에서 증가하였으나, 약도 간벌지의 경우 약4%에 불과하였으며 강도 간벌지에서만 27% 증가하였다. 임분 순생산량은 약도 간벌지에서 23%, 강도 간벌지에서 28% 감소하였다. 그 결과로 강도 간벌지에서만 수분이용효율이 증가하였다. 이 결과는 간벌 강도에 따라 잔존목의 생산성 및 증산량에 차이가 있음을 보여준다.

      • 상부 개방형 온실을 이용한 대기 중 이산화탄소 농도 증가가 우리나라 자생 수종에 미치는 형태적, 생리적 영향

        류다운 ( Da Un Ryu ),박주한 ( Ju Han Park ),문민규 ( Min Kyu Moon ),조성식 ( Sung Sik Cho ),김현석 ( Hyun Seok Kim ),홍민호 ( Min Ho Hong ) 한국임학회 2014 산림과학 공동학술대회 논문집 Vol.2014 No.-

        본 연구에서는 국립산림과학원 유전자원부에 설치된 상부 개방형 온실을 이용한 대기 중 이산화탄소 농도 증가(ambient, ambient×1.4, ambient×1.8)가 우리나라 온대지역의 대표적인 수종인 소나무(Pinus densiflora), 물푸레나무(Fraxinus rhynchophylla), 상수리나무(Quercus acutissima), 팥배나무(Sorbus alnifolia)의 형태적, 생리적 인자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형태적 인자로는 기공의 크기, 밀도와 엽중량비를 측정하였고, 생리적 인자로는 최대 광합성량, Vcmax(Maximum carboxylationrate), Jmax(Maximum electron transport rate), 기공전도도, 수분 이용 효율을 측정하였으며 개체단위의 반응을 보기 위해 증산량과 직경 생장량을 측정하였다. 기공밀도와 LMA는 대기 중 이산화탄소 농도의 증가에 따라 차이가 없었고, 최대 광합성량은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같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Vcmax와 Jmax는 모든 수종에서 변화가 없어 아직 광합성 능력의 저감(acclimation)이 일어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수분 이용 효율 역시 농도에 따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그러나 개체목 단위에서는 이산화탄소 농도가 높아질수록 광합성량이 증가함에 따라 직경 생장량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influences that high CO2 concentration effects to tree under elevated CO2 condition in open top chamber (ambient, ambient×1.4, ambient×1.8). Trees were native species in Korea included Pinus densiflora, Fraxinus rhynchophylla, Quercus acutissima, Sorbus alnifolia. Stomatal size, density and LMA(Leaf Mass per Area) were measured as morphological factor. Maximum photosynthesis, Vcmax (Maximum carboxylation rate), Jmax (Maximum electron transport rate), stomatal conductance, water use efficiency were measured as physiological factor and transpiration, diameter growth were measured for observing response of individual tree. Stomatal density and LMA didn`t have a difference according to a concentration. Maximum photosynthesis increased as CO2 concentration, but there was no change in Vcmax and JmaxV. It can be expected that acclimation didn`t occurred yet. Also, water use efficiency was no difference between CO2 concentrations. However, diameter growth based on individual tree was increased as high photosynthesis in high CO2 concentration.

      • KCI등재

        2014년 특별관측 기간 동안 청미천 농경지에서의 WRF/Noah-MP 고해상도 수치모의

        송지애 ( Ji Ae Song ),이승재 ( Seung Jae Lee ),강민석 ( Min Seok Kang ),문민규 ( Min Kyu Moon ),이정훈 ( Jung Hoon Lee ),김준 ( Joon Kim ) 한국농림기상학회 2015 한국농림기상학회지 Vol.17 No.4

        본 연구에서는 청미천 농경지를 중심으로 고해상도 지형 및 토지피복 자료 기반의 WRF/Noah-MP 결합시스템을 구축하고 수치모의 한 결과를 2014년 8월 21일부터 9월 10일까지의 청미천 하계 특별관측 자료와 비교하여, 농경지에서의 지면 및 대기모의 성능을 평가하였다. 지면 및 대기 변수의 단기 및 중기모의에 있어서 Noah-MP의 동적 식생 가동이 얼마나 유용한지를 살펴보기 위하여, 동적 식생을 포함하지 않은 실험(CTL)과 포함한 실험(DVG)을 관측기간에 대해 양방향 6중 둥지격자 시스템으로 수행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크게 세 가지로서 다음과 같다. 1) CTL 실험은 낮 동안의 순단파 복사 에너지를 과대 모의 함에 따라 현열 및 잠열 플럭스와 보웬비도 관측에 비해 과대 모의하는 경향을 보였다. CTL 실험의 기온은 관측을 대체로 잘 따라갔으나 일출 후 기온의 상승 속도가 관측에 비해 빠른 모습을 보였다. 최저기온 및 최고 기온의 시점은 잘 모의하였는데, 특히 일최저기온의 모의는 관측과 0.3oC 오차 이내의 성능을 보여, 동해 및 병해충과 연관된 엽면수분 지속시간 예측에 고무적인 결과로 평가되었다. CTL 실험의 10m 바람은 동서 및 남북 풍속 모두 대체로 과대 모의하는 경향을 보였고, 강수 또한 과대 모의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강수의 시작·종료시점은 대체로 잘 포착하였다. 2) Noah-MP의 동적 식생을 구동시킨 DVG 실험은 CTL 실험에 비해 엽면적지수, 단파 복사, 지표면 플럭스, 보웬비, 기온, 바람, 강수의 모의를 전반적으로 관측에 더 가깝게 생산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강수, 온도, 복사, 가용 영양소 등의 변동에 대응하여 엽면적지수를 예단하는 DVG 실험은 CTL 실험보다 더 큰 엽면적지수를 생산했으며, 이는 실측에 더 가까운 결과였다. DVG 실험에서도 일출 후 기온 상승률은 관측에 비해 높았는데, 이는 CTL와 DVG 실험 모두에서 공통으로 사용한 YSU 경계층 방안이 갖는 혼합층의 조기 성장 특성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CTL 실험이 보인 바람과 강수의 과대모의 경향도 DVG 실험에서는 어느 정도 완화되는 개선점을 보였다. 3) 수평 해상도의 증가에 따른 청미천 농경지의 수치모의 성능 향상은 지표면 플럭스, 기온, 바람 강수 모두에서 미비하거나 거의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보다 정확한 평가를 위해서는 농경지 상의 여러 지점에서 입체적인 관측이 이뤄져야하고, 모형에 사용되는 지형 및 토지피복 자료의 도메인 간 일관성이 확보되어야 할 것이다. In this paper, the high-resolution Weather Research and Forecasting/Noah-MultiParameterization (WRF/Noah-MP) modeling system is configured for the Cheongmicheon Farmland site in Korea (CFK), and its performance in land and atmospheric simulation is evaluated using the observed data at CFK during the 2014 special observation period (21 August-10 September). In order to explore the usefulness of turning on Noah-MP dynamic vegetation in midterm simulations of surface and atmospheric variables, two numerical experiments are conducted without dynamic vegetation and with dynamic vegetation (referred to as CTL and DVG experiments, respectively). The main results are as following. 1) CTL showed a tendency of overestimating daytime net shortwave radiation, thereby surface heat fluxes and Bowen ratio. The CTL experiment showed reasonable magnitudes and timing of air temperature at 2 m and 10 m; especially the small error in simulating minimum air temperature showed high potential for predicting frost and leaf wetness duration. The CTL experiment overestimated 10-m wind and precipitation, but the beginning and ending time of precipitation were well captured. 2) When the dynamic vegetation was turned on, the WRF/Noah-MP system showed more realistic values of leaf area index (LAI), net shortwave radiation, surface heat fluxes, Bowen ratio, air temperature, wind and precipitation. The DVG experiment, where LAI is a prognostic variable, produced larger LAI than CTL, and the larger LAI showed better agreement with the observed. The simulated Bowen ratio got closer to the observed ratio, indicating reasonable surface energy partition. The DVG experiment showed patterns similar to CTL, with differences for maximum air temperature. Both experiments showed faster rising of 10-m air temperature during the morning growth hours, presumably due to the rapid growth of daytime mixed layers in the Yonsei University (YSU) boundary layer scheme. The DVG experiment decreased errors in simulating 10-m wind and precipitation. 3) As horizontal resolution increases, the models did not show practical improvement in simulation performance for surface fluxes, air temperature, wind and precipitation, and required three-dimensional observation for more agricultural land spots as well as consistency in model topography and land cover data.

      • KCI등재

        상부 개방형 온실을 이용한 대기 중 이산화탄소 농도 증가가 우리나라 자생 수종에 미치는 형태적, 생리적 영향

        류다운 ( Da Un Ryu ),배진호 ( Jin Ho Bae ),박주한 ( Ju Han Park ),조성식 ( Sung Sik Cho ),문민규 ( Min Kyu Moon ),오창영 ( Chang Young Oh ),김현석 ( Hyun Seok Kim ) 한국농림기상학회 2014 한국농림기상학회지 Vol.16 No.3

        상부 개방형 온실을 이용하여 현재 대기의 이산화탄소 농도(ambient), 현재 농도의 1.4배(~550 ppm) 및 1.8배(~700 ppm)로 증가된 미래 대기 환경에서 약 4 년간 생장한 소나무, 물푸레나무, 팥배나무를 대상으로 하여 대기 중 이산화탄소 농도 증가에 대한 수목의 반응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013년 4월~9월의 연구기간 동안 각 수종의 기공 크기·밀도·면적, 최대 광합성 속도, 최대 카르복실화 속도, 최대 전자전달 속도 및 직경생장을 측정하였다. 이산화탄소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물푸레나무의 기공 크기가 유의하게 증가하였고 팥배나무의 기공 밀도가 증가하였다. 기공 면적의 경우 소나무는 감소한 반면 팥배나무는 증가하는 등 수종에 따라 다양한 반응을 보였다. 하지만 최대 광합성 속도는 모든 수종에서 대기 중 이산화탄소 농도에 따라 대체로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냈는데 팥배나무에서는 계절이 지남에 따라 그 차이가 더 커져 최대 43.5%까지 증가하였다. 그러나 4년에 걸친 비교적 장기간의 폭로에도 불구하고 이산화탄소 시비에 의한 최대 카르복실화 속도와 최대 전자전달 속도의 저감효과는 모든 수종에서 나타나지 않았다. 특히 팥배나무의 경우 잎의 질소 농도가 높아지는 개엽 시기에는 높은 이산화탄소 농도하에서 일시적으로 최대 카르복 실화 속도와 최대 전자전달 속도가 향상되어 저감과는 반대의 양상을 나타냈다. 모든 수종에서 개체목간의 변이로 인해 연구 기간 중 이산화탄소 농도에 따른 직경 생장량은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약 4년간 누적된 직경의 크기와 생체량에서는 모든 수종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팥배나무 직경의 경우 대조구에 비해 1.8배에서 최대 59.0%까지 높게 나타났다. The physiological responses of three common temperate species, Pinus densiflora, Fraxinus rhynchophylla, Sorbus alnifolia to elevated CO2 was investigated using open top chambers with different CO2 concentrations. Morphological (stomatal size, density and area) and physiological characteristics (maximum rates of photosynthesis, carboxylation and electron transport) were compared among trees grown under ambient, ambient ×1.4 (~550 ppm) and ambient ×1.8 (~700 ppm) CO2 concentrations for last four years. Morphological responses were different among species. F. rhynchophyllar increased their stomatal size and S. alnifolia had higher stomatal density under elevated CO2 than ambient. Stomatal area decreased in P. densiflora, whereas it increased in S. alnifolia. However, the maximum photosynthesis rate increased in all species up to 43.5% by S. alnifolia under elevated CO2 and the enhancement increased with time. Even with four years of exposure to elevated CO2, there was no sign of acclimation in the maximum carboxylation rate and the maximum electron transport rates in all species. Especially, S. alnifolia even showed the temporary increase of photosynthetic capacities in spring, when leaf nitrogen concentration was high with new leaf developmen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diameter growth rate in any species due to high variation in their tree sizes, however accumulated diameter and biomass for four years showed significantly increment in all species under elevated CO2. For example, S. alnifolia showed 59% increase in diameter at the ambient ×1.8 (~700 ppm) compared to ambient.

      • KCI등재

        개회로 파장 변조 분광법과 에디 공분산 방법으로 논에서 관측된 CH4 플럭스 자료의 보정

        강남구 ( Nam Goo Kang ),윤주열 ( Ju Yeol Yun ),아산탈룩더 ( M S A Talucder ),문민규 ( Min Kyu Moon ),강민석 ( Min Seok Kang ),심교문 ( Kyo Moon Shim ),김준 ( Joon Kim ) 한국농림기상학회 2015 한국농림기상학회지 Vol.17 No.1

        CH4는 CO2 및 N2O와 더불어 중요한 온실가스로서 지속적이고도 체계적인 감시가 요구된다. 에디 공분산기술 기반의 CO2 플럭스의 관측은 이미 세계적으로 관측망이 구축되어 관측부터 자료처리에 이르기까지 모든 과정이 표준화되어 있을 뿐 아니라 체계적으로 잘 문서화되어 있다. 그러나 미량 기체인 CH4의 경우, 레이저 기반의 고속반응 분광계를 필요로 할 뿐 아니라, 이에 수반되는 플럭스 자료의 처리 과정이 표준화되어 있지 않다. 본 연구 노트에서는 최근에 상용화된 개회로 파장 변조 분광계를 사용하여 에디 공분산 방법으로 논에서 관측한 CH4 플럭스 결과를 보고하였다. 모내기 전과 직후의 각 5일간 연속 관측한 자료를 KoFlux 프로토콜에 따라 상용화된 EddyProTM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자료를 처리하였다. 이 후처리 과정에서 세 가지 주요 보정, (1) 주파수 반응 보정, (2)공기 밀도 보정, (3) 분광 보정의 효과를 정량화 하였다. 보정 효과는 밤과 낮에 따라 차이를 보였고, 메탄 플럭스가 작을수록 보정 효과가 컸다. 전반적으로 보정 후에 메탄 플럭스는 평균 20-25% 정도 증가하였다. 국가농림기상센터(www.ncam.kr)에서는 분광 보정과 빈 자료 메우기를 포함한 CH4플럭스 자료 처리가 포함된 업데이트된 KoFlux 프로그램을 일반 사용자에게 제공할 예정이다. CH4 is a trace gas and one of the key greenhouse gases, which requires continuous and systematic monitoring. The application of eddy covariance technique for CH4 flux measurement requires a fastresponse, laser-based spectroscopy. The eddy covariance measurements have been used to monitor CO2 fluxes and their data processing procedures have been standardized and well documented. However, such processes for CH4 fluxes are still lacking. In this note, we report the first measurement of CH4 flux in a rice paddy by employing the eddy covariance technique with a recently commercialized wavelength modulation spectroscopy. CH4 fluxes were measured for five consecutive days before and after the rice transplanting at the Gimje flux monitoring site in 2012. The commercially available EddyProTM program was used to process these data, following the KoFlux protocol for data-processing. In this process, we quantified and documented the effects of three key corrections: (1) frequency response correction, (2) air density correction, and (3) spectroscopic correction. The effects of these corrections were different between daytime and nighttime, and their magnitudes were greater with larger CH4 fluxes. Overall, the magnitude of CH4 flux increased on average by 20-25% after the corrections. The National Center for AgroMeteorology (www.ncam.kr) will soon release an updated KoFlux program to public users, which includes the spectroscopic correction and the gap-filling of CH4 flux.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