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청소년학 일반 ; 한국 청소년의 도덕판단력 발달 연구개관 - DIT 를 사용한 연구를 중심으로 -

        문용린(Yong Lin Moon),문미희(Mee Hee Moon) 한국청소년학회 1993 청소년학연구 Vol.1 No.-

        Ten studies on the Korean adolescents` moral judgment development using the Defining Issues Test(DIT) were reviewed with respect to age/education trends, gender difference, relationships with cognitive/personality factors, familial/societal factors religion, and delinquency. The major results of review were as follows. First, the Korean adolescents` moral judgment development showed the developmental trends by increasing age and education level. Second, gender difference in the Korean adolescents` moral judgment development tended to be no or quite small. Third, among the cognitive/personality factors, the higher academic achievement and cognitive developmental level were, and the lower locus of control scores were, the higher Korean adolescents` moral judgment development was. Fourth, among the familial/societal factors, parents` education and fathers` occupation had inconsistent relationships with the Korean adolescents` moral judgment development. And physical environment of home, birth order, and types of school attended(coed vs. non-coed) mad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ut psychological process dimension of the psychological environments of home and child-rearing place(normal vs. orphan asylum) mad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Korean adolescents` moral judgment development. Fifth, religious affiliation had inconsistent relationships with the Korean adolescents` moral judgment development, and delinquency made significant differences in it.

      • 이대생의 성역할 개념에 대한 일 연구

        김명원,김명화,문미희,최혜진 이화여자대학교 사범대학 교육심리학과 1986 心理硏究 Vol.- No.24

        본 연구에서는 현재 여대생이 여성역할에 대해 어떻게 지각하고 있는가를 살펴보고, 아울러 이러한 역할개념의 형성이 학년과 관계가 있나를 알아보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 밝히고자 하는 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이대생들은 <자기자신>과 <그들의 이상적여성>및 <남성이 이상적으로 생각하는 여성>의 역할을 어떻게 지각하고, 서로 어떤 상관이 있는가? (2) 각 학년에 따라 <자기자신>과 <이상적인 여성>과 <남성의 이상적 여성>의 지각에는 차이가 있는가? (3) 이대생들의 <나자신>과 <나의 이상적 여성>및 <나자신>과 <남성의 이상적 여성>간의 불일치는 어느 정도이며, 어떠한 차이점이 있는가를 알아보고, 학년에 따른 차이는 있는가? 이를 위해서 본 연구는 현재 이화여자대학교에 다니는 학생 352명을 대상으로 여성역할조사를 실시하여, 이들에게서 얻은 점수를 주제별로 통계처리하고, 문헌연구를 통해 이론체계를 세웠다. 그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이대생은 자기지향성과 타인지향성 모두를 갖고 있고, 또한 서로간의 개인차는 매우 크다. 그러나 대체로 더 자기지향적 성향을 갖고 있음을 나타내었다. 각 학년별에 따라 큰 차는 아니지만 역할태도에서 차이를 보이고 있다. 그러므로 이대생들은 타인지향적 면과 자기지향적 면을 모두 갖고 있으나, 자신의 역할태도를 남성의 이상에 맞추어 형성하고 있지 않음을 알게 되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