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만 4세 신입유아들의 친구 만들기

        문명희(Moon MyoungHee)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0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0 No.21

        본 연구는 만 4세 신입유아들의 또래관계에서 친구를 만들어 나가는 과정을 질적 연구를 통해 알아보는데 목적을 두었다. 연구 참여자는 서울시 Y구 S어린이집, 초록반 만 4세 18명(남: 9, 여: 9)과 7년 경력 교사 1명이며 이 중 신입유아 3명이 주 참여자이다. 연구절차는 예비관찰, 본 관찰, 면담, 연구자 저널 등의 2018년 4월 2일부터 2018년 5월 28일까지 약 9주 동안 이루어졌다. 연구결과, 신입유아 선우는 ‘거의 다 친구를 찾은 선우’로서. ‘놀이를 통해 친구 알아가기’, ‘주위를 맴도는 친구와 관계맺기’, ‘더불어 상호우정관계 만들어가기’로 나아갔다. 신입유아 정민은 ‘친구를 찾아가고 있는 정민’으로서, ‘끊임없는 시도하기 과정’, ‘여기저기 관심 나타내기’, ‘다양한 반응에 대한 존중’으로 드러났다. 신입유아 명나는 ‘아직 친구를 찾고 있는 명나’로서, ‘유아독존 태도 드러내기’, ‘친구와 나누는 즐거움 찾아가기’로 표현되었다. 신입유아들은 시간의 흐름에 따라 친구형성의 변화를 나타내었고, 놀이와 시간의 공유, 놀잇감의 공유가 친구형성과 유지에 반드시 필요하다는 점을 시사하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process of making friends in the relationship of peers of 4 -year-old infant newcomers through a qualitative study. Participants in the study were 18 4-year-olds(male: 9, female: 9) and 1 teacher with 7 years of experience in S children s daycare centers in Seoul s Y-gu of which 3 infant newcomers were the main participants. The research procedure was conducted for approximately 9 weeks from April 2, 2018 to May 28, 2018, including preliminary observation, main observation, interview, and researcher s journal. As a result of the study, newcomer Seonwoo became a Seonwoo who almost found friends . ‘getting to know friends through play’, ‘building relationship with friends around us’, and ‘building a mutual friendship together . As a newcomer, Jungmin became a ‘Jungmin finding a friend , ‘the process of endless attempts , ‘expressing interest here and there , and ‘respect for various reactions . Myeongna, a infant newcomer was appeared as ‘Myeongna, who is still looking for a friend,’ and expressed as ‘Showing the attitude of the child alone,’ and ‘Finding the joy of sharing with friends.’. Infant newcomer showed changes in friend formation over time, suggesting that sharing of play, time, and play is essential for forming and maintaining friends.

      • KCI등재

        어머니와 유아의 마주이야기 공책에 대한 의미탐색

        문명희(Moon, Myounghee) 한국열린교육학회 2020 열린교육연구 Vol.28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meaning of child s story from the context of mother and child s vis-a vis conversation note. For this research, 18 5-year-old children(11 males, 7 females) from Gyeonggi-do J public kindergarten and their mother became research subjects. The study period lasted for 6 months from April 1, 2013 to December 2, 2013(excluding vacation). As for the data collection method, vis-a-vis conversation notes, observations, interviews with teachers, and infant portfolios were collected and qualitatively analyzed. As a result, the meanings of the mother and child vis-a-vis conversation appeared to be connectivity to educational activities of family and kindergarten , strong interest in nature , infinite dreams and imagination , caring for family and friends , new experiences through activities. Through the study, the mother and child vis-a-vis conversation was able to obtain such information in the field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to find out different types of thinking and behavior of young children. Therefore, the mother and child vis-a-vis conversation suggests that it is an effective education method for integrated education and the connection of kindergarten and home education. 본 연구는 어머니와 유아의 마주이야기 공책에 나타나는 내용에 대해 유아가 하는 이야기의 맥락을 분석하고 어떤 의미를 지니고 있는지에 대해 알아보는데 연구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경기도 J초등학교 병설유치원 만 5세 유아 18명(남 11명, 여 7명)과 그 어머니가 연구대상이 되었다. 연구자료수집 방법은 마주이야기 공책, 관찰, 교사와의 면담, 유아 결과물 등의 자료를 수집하고 질적 분석하였다. 기간은 2013년 4월 1일부터 2013년 12월 2일까지(방학제외) 6개월 동안 이루어졌다. 연구결과, 어머니와 유아들의 마주이야기는 ‘가정과 유치원의 교육활동에 대한 연계성’, ‘자연에 대한 강한 흥미’, ‘무한한 꿈과 상상력’, ‘가족과 친구를 배려하는 마음’, ‘체험활동을 통한 새로운 경험’의 의미로 나타났다. 연구를 통해 어머니와 유아 마주이야기는 유아교육 현장의 다양한 정보를 얻고 유아들이 유치원 현장에서 어떠한 사고와 행동을 하는지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어머니와 유아 마주이야기는 다양한 통합교육 활동과 가정과의 연계 교육을 위한 효과적인 교육 방법임을 시사하고 있다.

      • 다문화 감수성을 활용한 유아교사의 젠더 감수성 교육 탐색

        문명희(Myounghee Moon),남연정(Younjung Nam) 한국영유아교육실천학회 2023 영유아교육실천연구 Vol.1 No.2

        본 연구는 글로벌 시대에 즈음하여 유아교육의 방향이 어떻게 되어야 하는지를 다문화 감수성을 활용한 유아교사의 젠더 감수성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이를 위해 다문화 감수성을 활용한 유아교사들의 젠더 감수성에 대한 국내·외 학술지 60여 편과 교육과정 문서, 교육부 웹페이지, 매체 등을 분석대상으로 삼았고 다문화 감수성을 활용한 유아교사들의 역할과 자세, 교육철학 등을 기준으로 분석하였다. 분석결과는 유아교사의 젠더 감수성 기회 갖기와 유아교사의 젠더 감수성 교실 조성하기로 나눠볼 수 있다. 먼저, 유아교사의 젠더 감수성 기회 갖기는 유아들의 다양한 젠더 인정하기, 여러 유아와의 사회적 상호작용하기, 공감하고 정서적으로 지원하기, 유아발달에 적합하도록 제안하고 질문하기, 유아 개별 특성을 고려하기이다. 둘째, 유아교사의 젠더 감수성 교실 조성하기는 일상생활 속에서 젠더 실천하기, 유아 개개인을 차별 없이 존중하기이다. 이를 위하여 유아교육에 적합한 다문화 감수성을 활용한 유아교사를 위한 젠더 감수성 교육이 이루어질 필요가 있음을 제안하는 바이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gender sensitivity of early childhood teachers using multicultural sensitivity to determine what direction early childhood education should be in the global era. For this purpose, about 60 domestic and foreign academic journals, curriculum documents, Ministry of Education web pages, and media on the gender sensitivity of early childhood teachers using multicultural sensitivity were analyzed, and the roles, attitudes, and education of early childhood teachers using multicultural sensitivity were analyzed. It was analyzed based on philosophy, etc. The results of the analysis can be divided into providing opportunities for early childhood teachers to be gender sensitive and creating gender sensitive classrooms for early childhood teachers. First, opportunities for early childhood teachers to be gender sensitive include acknowledging children’s diverse genders, interacting socially with many children, empathizing and providing emotional support, making suggestions and asking questions appropriate for children’s development, and considering children’s individual characteristics. Second, creating a gender-sensitive classroom for early childhood teachers involves practicing gender in daily life and respecting each child without discrimination. To this end, we propose that gender sensitivity education for early childhood teachers utilizing multicultural sensitivity appropriate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needs to be provided.

      • 소학에 나타난 유아 예절교육에 대한 소고

        문명희(Myounghee Moon) 한국영유아교육실천학회 2024 영유아교육실천연구 Vol.2 No.1

        본 연구는 물질문화가 풍부한 현대에 즈음하여 유아의 예절교육의 방향이 어떻게 되어야 하는지를 소학을 통해 알아보았다. 이를 위해 어린이 교재 소학의 서문과 내편을 분석대상으로 삼았고, 소학을 활용한 유아의 바른 일상생활과 인간의 도리, 자기조절 등 인성교육을 기준으로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소학에 나타난 유아의 예절교육은 수신으로서의 예절, 가족에 대한 예절, 가족 외 사람에 대한 예절, 생활 속에서의 예절로 나타났다. 첫째, 수신으로서의 예절은 바른 마음가짐과 몸가짐에 의한 절도 있는 생활이다. 둘째, 가족에 대한 예절은 부모에 대한 예절, 부부간의 예절, 형제와 자매 간의 예절이다. 셋째, 가족 외 사람에 대한 예절에는 어른에 대한 예절, 스승에 대한 예절, 친구에 대한 예절이다. 넷째, 생활 속의 예절은 언어예절, 음식 예절, 의복 예절, 인사예절, 공공장소에의 예절 등이다. 이러한 분석결과는 소학을 통해 본 유아의 예절교육이 유아의 도덕성 함양과 인성교육에 이바지하고 유아에게 소중한 가치를 경험할 수 있다고 본다. 이를 위하여 유아들 발달 수준에 적합한 옛 문헌을 통하여 유아 인성교육을 위한 온고이지신(溫故而知新)할 필요가 있음을 제안하는 바이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rough Sohak what direction etiquette education for children should be in today's era where material culture is abundant. For this purpose, the preface and inner chapters of the children's textbook Sohak were used as the subject of analysis, and the analysis was conducted based on character education such as children's proper daily life, human duties, and self-regulation using Sohak.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manner education for children in Sohak was found to be manner as a receptionist, manner towards family, manner towards people outside the family, and manner in everyday life. First, manner as a receptionist is a life of moderation with the right manner and posture. Second, manner toward family includes manner toward parents, manner between husband and wife, and manner between brothers and sisters. Third, manner toward people outside of the family includes manner toward adults, manner toward teachers, and manner toward friends. Fourth, manner in everyday life includes language manner, food manner, clothing manner, greeting manner, and manner in public places. The results of this analysis show that children's manner education through Sohak contributes to children's moral development and character education, and allows children to experience valuable values. To this end, we propose that there is a need to lessons from the past for character education for children through old literature appropriate to the development level of children.

      • KCI등재

        장애에 대한 유아의 반응 연구 : 장자우화 ‘애태타 이야기’를 이용하여

        문미옥(Moon MiOk),문명희(Moon MyoungHee)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2

        본 연구는 장자우화 ‘애태타 이야기’를 유아교육기관 실제 적용 후, 활동전개에 따라 장애에 대한 유아들의 반응이 어떻게 나타나는지 알아보고자 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연구 참여자는 서울시 S 유치원, 하늘반 만 5세 26명(남12명, 여14명)과 3년 경력의 담임교사이다. 연구절차는 2019년 9월 16일부터 2019년 10월 7일까지 ‘애태타 이야기’ 재구성동화에 기반한 전통 탈 인형극과 관련활동을 진행하였다. 연구 분석은 현장노트, 녹화자료, 교사면담, 유아포트폴리오 등을 통하여 선형 및 비선형 질적 연구방법을 실행하였다. 연구결과, ‘애태타 이야기’ 는 ‘같이 놀고 싶은 애태타에 대한 관심 표현하기’, ‘몸의 훈련을 통한 다양성 인정하기’, ‘긍정적으로 생각하고 수용하는 마음 나타내기’, ‘서로 도우며 더불어 살아가는 우리’로 확장되어 갔다. 장자우화 ‘애태타 이야기’는 장애에 대한 이해와 태도, 행동 등을 형성해 나가는데 중요한 인성교육의 하나가 됨을 알 수 있었다. 유아들은 다양한 활동 경험의 여정들 속에서 윤리와 실천, 가치와 신념 등 능동적인 경험을 지향하고 그 자체로 변화해 나감을 시사하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how infant s response to disability appear according to the development of activities after applying Zhuang Zi fable s ‘Ataeta story’ to actual educational institutions. Participants in the study are S kindergarten-age in Seoul, 26 students(12 males, 14 females) and 5 years old teacher in haneul class. The research procedure was conducted from September 16, 2019 to October 7, 2019, based on the ‘Ataeta Story’ reconstruction fairy tale and related activities. For the research analysis, linear and non-linear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were implemented through field notes, recorded data, teacher interviews, and infant portfolios. As a result of the study, ‘Ataeta story’ is expanded to ‘Expressing interest to Ataeta wanting to play together’, ‘Recognizing diversity through body training’, ‘Appealing a positive thinking and accepting mind’, ‘ helping Each other and living together . It was found that the Zhuang Zi fable s ‘Ataeta story’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character education in shaping the understanding, attitude, and behavior of the disabled. Infants are oriented toward active experiences such as ethics and practice, values and beliefs, and have change themselves in the journey of various activity experienc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