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불교의 추천·초도 의례

        이성운,문기조 한국불교선리연구원 2022 禪文化硏究 Vol.33 No.-

        죽음 이후 생전에 지은 업에 따라 육도에 생사윤회를 계속한다는 사상을 수용한 불교에는 망자를 위한 다양한 의례가 발달하였다. 이 글은 그 사후의 망자를 위한 한국불교의 의례인 천도재와 그 이전의 의례인 추천(追薦)과 초도(超度)에대해 살펴보고, 한국불교에서 행해지는 천도재가 교학에 부합하는지를 살폈다. 추천은 칠칠재 등 특정 재회(齋會) 때 재공(齋供)을 올리고, 초도는 승니(僧尼)를초청해 송경(誦經)하고 예참(禮懺)하는 것이 중심이다. 한국불교의 의례는 교의(敎義)와 거리가 있는 부분이 좀 있는데, 의례 실행 목적의 측면에서 그렇다. 또혼령에 대한 개념과 혼령의 거처, 중음(中陰)의 기간 등에 대한 인식은 교리의그것과 차이가 있으며, 의례 실행과 수용의 측면에서 보면 딜레마라고 할 수 있다. 현대 한국불교에서 널리 행해지는 의례로는 추천에 적합한 영반(靈飯)과 초도에 어울리는 시식(施食)이 있는데, 이 두 의례는 천도재로 승화되어, 자신을위해 업장 닦고 공덕을 짓는 의례로, 한국불교의 주요한 신행(신앙·수행) 의례로정착되었다.

      • KCI등재후보

        ‘傳’고녕가야왕릉과 왕비릉의 위치

        이성운,문기조 한국불교사학회 한국불교사연구소 2021 한국불교사연구 Vol.20 No.-

        This writing considers the discussions related to the location of the Royal Tombs and Queen Consort’s Tombs of Gonyeong-Gaya on ‘a folk tale (傳)’. Its historical record is not only poor but also include its myth, which makes a wide gap between its viewpoints There has been the historical recognition that the capital of Gonyeong-Gaya cannot have been Hamchang and the constant criticism of later history books, including ‘The History of the Three Kingdoms’, and the royal tombs of King Taejo and his Queen were restored and maintained at least 400 years ago. Nonetheless, Gonyeong-Gaya to have been located in Hamchang was not even discussed as a historical fact. Although the history of Gonyeong-Gaya was adapted into a myth, it clearly shows human life. Shin Chaeho’s assertion of Gonayeong-Gaya in Hamchang, which explains that the word Gonggal in Gonggal pond was the abbreviation of Gonyeong-Gaya, is quite persuasive. The toponyms related to the kings of Gonyeong-Gaya, such as Wangdogol known as its royal capital and Daegasan show clear traces of Gonyeong-Gaya, and Gonggal pond is located in its center. The royal tombs of King Goro and his Queen were restored in the late 16th century when their tombstones were found. The royal tombs of King Taejo and his Queen are located east-west with the eastern royal tomb at 1 o’clock in the north and the western one at 11 o’clock in the north, in the form of the Chinese character eight (八) 200 meters away from each other, which takes the shape of protecting the royal capital and the ancient tombs in front of them. It is unknown whether their location and direction in feng shui today were from their construction or their restoration after the 16th century, but it is at least as it is today. Gonyeong-Gaya was destroyed in the mid 3rd century, but the descendants of King Goro do not forget their ancestors, protect the royal tombs of their kings and queens, and are prospering through about 2,000 years of history. ‘傳’고녕가야왕릉과 왕비릉의 위치라는 주제 아래 논의를 펼쳤다. 기록의 빈약 속에 역사와 신화가 혼재된 상태라 그것을 바라보는인식의 차이는 적지 않은 것 같다. 고녕가야의 도읍이 함창일 수 없다는 그간의 역사 인식 속에서, 태조왕릉과 왕비릉이 적어도 400년 이전에 복원 정비되어 있고, 『삼국사기』를 위시한 후대 사서의 한결같은 지적에도 불구하고, 함창의 고녕가야는 역사의 중심에서 논의조차 되지 못하고 있었다. 고녕가야의 역사는 신화로 각색되었지만 인간의 삶으로 분명하게 전개되었다. 공갈못의 공갈이 고녕가야의 음약(音約)이라고 파악한신채호의 고녕가야 함창설은 설득력이 적지 않다. 고녕가야의 왕도로 알려진 왕도골, 대가산 등 고녕가야 왕들과 관련한 지명은 고녕가야의 흔적을 고스란히 보여주고 있으며, 그 중심에 공갈못이 자리하고 있다. 고로왕릉과 왕비릉은 16세기말 비석이 발견되어 복원되었는데, 태조왕릉과 왕비릉은 동서로 자리하고 있다. 서쪽의 왕릉은 계좌(癸 坐)를 하고, 동쪽의 왕릉은 임좌(壬坐)를 하여, 200여 미터 相距한 왕과 왕비가 마치 여덟팔자(八) 형식으로 왕도와 왕도 앞의 고분군을바라보며, 지켜주는 형국이다. 두 능의 위치와 좌향이 조성 당시부터 그랬는지 16세기 이후 정비되면서 그랬는지는 알 수 없지만 적어도 현재의 모습은 그렇다. 3세기 중반에 사라진 고녕가야이지만 고로왕의 후예들은 그 조상을잊지 않고 왕릉과 왕비릉을 지키며 2천여 년의 역사를 관통하며 번성해나가고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