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카프카 작품 속 ‘웃음의 위치’ - 『성』을 중심으로

        목승숙(Mok, Seong-Sook) 한국카프카학회 2020 카프카연구 Vol.0 No.43

        현대 독자들에게 카프카의 세계는 늘 낯설고 어둡기만 한 세계는 아닐 수도 있을 것이다. 물론 그 어떤 방식의 읽기도 카프카 작품의 만족스럽고 완벽한 이해에 도달하기는 어려운 것이 사실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각 시대마다 그 시대의 카프카가 있다. 단 어느 시대도 카프카의 모든 것을 담아낼 수는 없는 법이다. 희극적인 카프카 역시 하나의 측면일 따름이다”라는 주장처럼, 뜻하지 않거나 예기치 않은 돌발 상황 자체가 일상이 되어버린 현실을 살아가는 오늘날 독자들은 카프카의 세계를 부분적으로 친숙하거나 희극적인 것으로 읽어내는 독서경험과 마주하게 되기도 한다. 이 논문은 문화권과 세대에 따라 달라지는 카프카 작품의 수용 양상, 또 현대 독자들의 새로운 의식 형성으로 인해 달라진 카프카 작품에 대한 감수성에 주의를 환기시키며, 한 비독일어 문화권 독자로서 카프카의 『성』을 카프카와 웃음의 연관성에 주목해 읽어보려는 시도이다. 그 과정에서 작품 속에 웃음이 존재하는지, 존재한다면 어느 지점에 정주하고 있는지를 밝히면서 독서 과정에서 자칫 간과할 수 있는 카프카의 ‘감춰지고 가려진 웃음’을 찾아내 작품 속 웃음의 기능을 가시화하게 된다. 『성』에서 웃음은 첫째로 모순된 이미지와 문장들이 연결되거나 언어의 수준과 주장이 예기치 않게 변경되는 곳, 둘째로 몸짓과 관련된 시각적 희극성이 드러나는 곳, 마지막으로 우스꽝스러움과 진지함이 인접해 있는 곳에서 발견된다. 이러한 웃음은 작품 내에서 어두운 측면이 강하게 부각되는 것을 완화시킬 뿐만 아니라 성을 대표하는 성의 관리들, 그리고 그들을 닮아가는 K가 갖게 되는 일체의 권위의 거부로서 기능한다고 여겨진다.

      • KCI등재

        카프카의 ‘트러블과 함께하기’의 서사 - 「학술원에 드리는 보고」, 「가장의 근심」 다시 읽기

        목승숙 ( Mok Seong-sook ) 한국독어독문학회 2022 獨逸文學 Vol.63 No.1

        본 논문은 카프카의 「학술원에 드리는 보고 Ein Bericht für eine Akademie」(1917), 「가장의 근심 Die Sorge des Hausvaters」(1920)에 나타난 복수종의 관계 맺기 양상을 일차적으로 분석하고자 한다. 다음으로는 21세기의 지평에서 한 세기 전에 쓰인 카프카의 서사가 드러내는 바를 재검토하며, 종 간의 새로운 관계 맺기에 불가피하게 수반되는 ‘트러블과 함께하기’를 제안하는 해러웨이의 사유에 비견될만한 맹아를 작품 내에서 발견할 수 있는지를 타진해 보고자 한다. 해러웨이는 ‘인류세’ 내지는 ‘자본세’의 위기에 처한 지구환경을 부분적으로나마 회복시키고 지속 가능한 것으로 만들기 위해서는 인간중심적 사유에서 벗어나 인간과 비인간, 동물, 식물, 기계를 포함하는 지구상의 수많은 종들의 ‘함께-되기’가 필요하다고 주장한다. 해러웨이의 ‘복수종 스토리텔링’처럼 카프카는 「학술원에 드리는 보고」와 「가장의 근심」에서 근대 이성이 구축한 이분법, 즉 인간과 비인간, 인간과 동물, 자연과 문화, 유기체와 비유기체의 경계를 횡단하는 주인공들을 등장시켜 타자적 존재와의 관계 맺기와 공생에 관한 다양한 변주 이야기를 들려준다. 이러한 시각에서 출발하여 두 작품을 낯선 ‘기이한 친척들’과 친밀성 쌓기를 시도하는 서사, 함께 잘 살고 잘 죽는 관계 맺기를 전경화하며 복잡하게 얽혀있는 복수종의 공존 가능성을 탐색하는 ‘트러블과 함께하기’의 서사로 읽어볼 수 있었다. Die vorliegende Arbeit analysiert zuerst das Begegnungsmuster zwischen unterschiedlichen Spezies in Kafkas beiden Werken Bericht an die Akademie und Die Sorge des Hausvaters. Als Nächstes versucht die Arbeit zu prüfen, ob in diesen vor einem Jahrhundert geschriebenen Erzählungen Kafkas ein Samen zu finden ist, der mit Donna J. Haraways Denken “staying with the trouble” vergleichbar ist. Haraway besteht auf dem Brechen des anthropozentrischen Denkens und dem Bestreben des Zusammenlebens unterschiedlicher Spezies einschließlich Menschen, Nichtmenschen, Tiere, Pflanzen und Maschinen, die sie in dem Begriff companion species fasst, um die globale Umwelt in der Krise der ‘anthropocene’ bzw. der ‘capitalocene’ teilweise sich erholen zu lassen und nachhaltig zu gestalten. Nach Haraway werden Schwierigkeiten unweigerlich immer von neuen Beziehungen mit Fremden begleitet. Wie Haraways “Multispecies Storytelling” erzählt Kafka in Bericht an die Akademie und Die Sorge des Hausvaters durch die Protagonisten Rotpeter und Odradek, die die von der modernen Vernunft etablierte Dichotomien wie Mensch und Nischtmensch, Mensch und Tier, Natur und Kultur, Bio und Nicht-Bio überschreiten, variable Geschichten über das symbiotische Leben unterschiedlicher Spezies. Ausgehend von diesem Standpunkt können die beiden Werke Kafkas als Erzählung von ‘staying with the trouble’ gelesen werden, die die Koexistenz der miteinander verflochtenen unterschiedlicher Spezies veranschaulicht, während sie nach dem Aufbau von Intimität streben, selbst wenn es ‘trouble’ mit sich bringt.

      • KCI등재

        카프카의 동물/괴물, 유령 그리고 ‘부적절한 타자’ - 「회당의 동물」과 「사냥꾼 그라쿠스」

        목승숙 ( Mok Seong-sook ) 한국뷔히너학회 2022 뷔히너와 현대문학 Vol.- No.59

        본 논문은 카프카의 두 편의 미완성 유작 「회당의 동물」과 「사냥꾼 그라쿠스」를 통해 괴물성과 유령성이 타자성과 교차하는 지점을 고찰한다. 아울러 이 작품들을 들뢰즈와 데리다의 관점에서 새롭게 재구성해 읽어내는 가운데 현대적 의미의 타자성 논의로 이어지는 잠재성이 카프카 문학에 내재한다는 점을 조명하고자 한다. 괴물 서사, 유령 서사는 곧 타자 서사다. 괴물과 유령은 경계를 위반하는 부적절한 타자, 동일자의 신화에 의해 편견과 배제의 대상이 되어버린 타자의 은유다. 또한 괴물이고 유령인 타자는 사회적 상상계에 잠복하는 오인의 구조를 드러내거나 폭로하는 존재이기도 하다. 자신의 괴물 같은 외양과는 괴리를 보이는 존재로 회당 내에 정주하나 공동체에 소속되지 못한 채 추방에 대한 불안을 안고 살아가는 회당의 동물/괴물은 존재의 이분법에 근거한 사유 방식에 도전하며, 존재의 일의성에 대한 사유로 나아가는 길을 터 준다. 이와 유사하게 죽었으나 살아 있으며 비가시적이면서도 가시적이고 정주하지 못한 채 떠돌며 반복적으로 출몰하는 유령 그라쿠스는 타자 및 타자의 타자에 대한 윤리적 책무와 환대의 필요성을 환기시킨다. 타자에 대한 편견과 혐오, 배제를 넘어서 연민과 사랑, 화해와 대화 속에 모두가 동등하게 존중받는 도래할 미래에 대한 진지한 숙고를 촉발하는 점이 카프카의 괴물성과 유령성의 시의성이라고 하겠다. Diese Arbeit untersucht die Schnittmenge des Moströsen und Gespenstischen mit dem Anderen anhand zweier unvollendeter posthumer Werke Franz Kafkas, Das Tier in der Synagoge und Der Jäger Gracchus. Dabei wird versucht, bei der Rekonstruktion dieser Werke im Lichte von Deleuze und Derrida ihr Potenzial hervorzuheben, zu einer Diskussion über das Anderssein im modernen Sinne anzuregen. Die Erzählung der Monster und die Erzählung der Gespenster ist die vom Anderen. Monster und Gespenster sind beide sowohl ‘inappropriate other’, die die Grenzen verletzen, als auch Metapher von Anderen, die Vorurteilen und Ausgrenzung ausgesetzt sind. Gleichzeitig ist der Andere, der ein Monster und ein Gespenst ist, auch ein Wesen, das die Struktur von Missverständnissen aufdeckt oder bloßstellt, die im sozialen Imaginären verborgen sind. Das Tier/Monster von Das Tier in der Synagoge, das zwar in der Synagoge lebt, aber nicht zur Gemeinde gehört und Angst vor Vertreibung hat, stellt eine Denkweise, die auf der Dichotomie des Daseins basiert, in Frage und weist den Weg zum Nachdenken über die Univozität des Seins. In ähnlicher Weise erinnert uns das tote und lebendige, unsichtbare und sichtbare Gespenst Gracchus aus Der Jäger Gracchus, das umherwandert und immer wieder spuckt, an die Notwendigkeit ethischer Verantwortung und Gastfreundschaft für Andere. Kafkas Tier/Monster und Gespenst scheinen die Botschaft zu implizieren, dass alle ohne Diskriminierung gleich behandelt werden sollten, was als die Modernität von Kafkas Werken anzusehen ist.

      • KCI등재

        게오르크 하임의 표현주의 산문 「광인」을 통해 본 아웃사이더

        목승숙 ( Mok Seong-sook ) 한국독일어문학회 2021 독일어문학 Vol.95 No.-

        이 논문은 게오르크 하임의 산문 「광인」(1911) 속 아웃사이더의 광기를 추적하며 표현주의 단편에서 광기의 모티브가 점하고 있는 특수한 위상과 의미를 입체적으로 가시화하고, 하임의 작품 속 광기에 시대적 징후의 기록과 시대 비판의 차원을 넘어서는 보다 강도 높은 시대 전복적 의미 또한 부여되고 있음을 밝히고자 한다. 표현주의가 등장하던 20세기 초 독일은 세기전환기의 정치적, 사회적 대변혁의 연장선 상에 있었다. 권위적인 빌헬름 시대의 독일은 산업화, 공업화, 대도시화로 인해 농경사회에서 산업사회로 변모했고, 대도시의 팽창과 그로 인한 대도시 인구의 급격한 증가는 도시빈민층 형성과 더불어 변화된 환경과 새로운 인지 방식에 적응하지 못하는 시대 전형적 소외계층을 만들어냈다. 20세기 초를 특징 짓는 이러한 소외계층으로는 광인, 죄수, 범죄자, 창녀, 병자 등과 같은 사회적 아웃사이더들이 주였고, 스스로를 또한 사회의 비주류로 인식하던 표현주의 작가 및 예술가들은 동질감을 느끼며 이들에게 주목하였다. 이러한 아웃사이더 군상들 중의 한 유형인 광인은 낭만주의와는 달리 표현주의에서는 특수한 개별자가 아닌 보통 사람들을 대변하는 일반 유형으로서의 대표성을 보여준다. 「광인」의 익명의 주인공은 정신적 훈육 기관인 정신병원에서 출발하여 요란한 소음과 수많은 사람들이 오가는 문명화된 대도시의 중심부로 들어서며 이성의 상실과 더불어 자아 상실을 겪게 된다. 이성과 합리성의 법칙에서 벗어나는 예외적 존재, 문명화된 대도시에 편입되지 못하는 부적응자인 광인이 벌이는 엽기적인 살인 행각에는 이성에 기반하는 합리주의, 진보를 내세우는 문명화에 대한 비판이 깔려 있다. 이러한 광인의 강도 높은 광적인 행동에는 시대 비판적 태도를 넘어서서 빌헬름 시대로 상징되는 권위적인 구세계의 전복에 대한 작가의 강력한 염원 또한 투영되어 있다고 보인다. Diese Arbeit beabsichtigt, die Sonderstellung und Bedeutung des Motivs des Wahnsinns im expressionistischen Prosawerk zu visualisieren, den Wahnsinn des Außenseiters in Georg Heyms Erzählung Der Irre verfolgend. Dabei wird versucht aufzuzeigen, dass dem Motiv des Wahnsinns in Heyms Werk eine intensivere subversive Bedeutung zukommt, die über die Aufzeichnung des Zeitsymptoms und die Zeitkritik hinausgeht. Zu Beginn des 20. Jahrhunderts, als der Expressionismus aufkam, wandelte sich Deutschland drastisch durch die Industrialisierung und Metropolisierung. Demzufolge entstand eine typische Randschicht der Zeit, die sich der veränderten Umgebung nicht anpassen konnte. Soziale Außenseiter wie Verrückte, Gefangene, Verbrecher, Prostituierte und Kranke waren Beispiele dieser marginalisierten Klasse, die das frühe 20. Jahrhundert prägte. Der anonyme Protagonist von Der Irre, der aus einer Irrenanstalt entlassen wurde, betritt das Zentrum einer zivilisierten Großstadt und erleidet Selbstverlust. In den brutalen Mordtaten des Irren, der von der Gesetzlichkeit der Vernunft und den gesellschaftlichen Normen abweicht und sich nicht in die Metropole einfügt, steckt die expressionistische Kritik am Rationalismus und an der modernen Zivilisation. Außerdem lässt sich feststellen, dass das zerstörerische Verhalten des Irren den starken revolutionären Wunsch Heyms nach dem Umsturz der autoritären wilhelminischen Gesellschaft widerspiegel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