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딸기 숙도 판별을 위한 머신러닝 적용 가능성 연구

        김건섭 ( Geonseob Kim ),모창연 ( Changyeon Mo ),김기영 ( Giyoung Kim ),임종국 ( Jongguk Lim ),강정숙 ( Jungsook Kang ),유현채 ( Hyeonchae Yoo ),오경민 ( Gyoungminn Oh ) 한국농업기계학회 2018 한국농업기계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3 No.2

        딸기는 매력적인 색상과 향을 가지고 있으며 영양학적으로도 우수하여 세계적으로 인기 있는 과일 중하나이다. 최근 국산 딸기의 수출량은 동남아를 중심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2017년 기준으로 4천 4백만불 이상을 수출하였다. 딸기는 껍질이 얇고 과육이 연하여 수확 후 품질 저하가 빠르게 진행된다. 주요 수출지역인 동남아의 더운 현지 날씨와 수출에 따른 유통기간 또한 품질에 더욱 악영향을 미친다. 이를 고려하여 수출시 유통기간을 고려하여 수확시기를 결정해야 한다. 현재 수출용 딸기를 재배하는 농가에선 내수용 성숙과에 비해 대략 70-80% 정도 성숙했을 때 수확하고 있다. 소비자가 요구하는 균일한 품질을 제공하기 위해서는 색상선별을 표준화할 필요가 있다. 색상 판별을 위한 기존의 연구에선 딸기의 RGB영상의 색상정보를 활용하여 착색률을 계산하고 이를 숙도 판별에 적용하였다. 하지만 이는 불량과 기준의 하나인 생리장해 부분도 RGB색상정보로만 인식하여 생리장해를 불량과로 인식하지 못하는 문제점과 영상처리과정에서의 영상정보의 손실 등의 문제점을 갖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기존의 영상처리 알고 리즘의 문제점을 보완할 수 있는 머신러닝 적용 가능성을 확인해보기 위해 수행되었다. 머신러닝을 활용한 숙도 판별을 위하여 생리장해가 있는 딸기 영상을 사용하였으며, CCD (Charge coupled Device)카메라로 촬영한 영상은 생리장해 그룹, 과육에서의 착색 및 미착색 그룹, 꽃받침 그룹, 배경 그룹으로 나누고 각 그룹에 해당하는 부분을 각각 다른 색상으로 이미지 처리하였다. RGB데이터들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각각의 색상으로 이미지 처리한 부분의 RGB데이터들을 3x3행렬을 적용하여 LDA (Linear Discriminant Analysis)분석을 진행하였다. 그룹 간 색상정보 분류를 최대화하기 위해 활용한 LDA분석은 파이썬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3차원으로 분석한 결과 96.1%의 정확도로 분류되었음을 확인하였다. 향후 분류된 영상정보를 기반으로 각 그룹들을 학습시켜 머신 러닝에 적용한다면 보다 정확하고 객관적으로 딸기의 숙도를 판별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양봉 전용 적재함 개발을 위한 동역학 시뮬레이션 분석 및 현장 검증

        왕평안 ( Pingan Wang ),손영선 ( Youngsun Son ),모창연 ( Changyeon Mo ),김수배 ( Subae Kim ),김준호 ( Joonho Kim ),정원기 ( Wonki Chung ),한웅철 ( Xiongzhe Han ) 한국농업기계학회 2021 한국농업기계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6 No.2

        현재 국내외 양봉업자들은 연령대가 고령이기 때문에 체력을 절감하기 위해 양봉 전용 운반 장치 개발이 필요하다. 우선 양봉자의 현장 작업환경과 효율성을 조사하여 설계 재원을 결정하였다. 다양한 양봉장의 규모를 고려하여 최종적으로 소형 전동 무한궤도 운반차(LNS-T500)를 본 연구의 플랫폼으로 선정하였다. 기존 적재함은 양봉 작업에 적합하지 않는 관계로 실제 적용 조건과 함께 탈부착식 양봉 전용 적재함을 개발하였다. RecurDyn 프로그램을 이용해 개선된 적재함을 운반차에 탑재하여 노면별, 주행방식별 및 용도별을 다르게 하여 동역학 시뮬레이션을 통해 적재함의 설계 타당성을 확인하였다. 직선운행 단계에서 소비의 X 및 Z 방향 진동이 가장 작으며 회전운행 단계에서 소비의 X 및 Z 방향 진동이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경사로 벌통 운반 시 Clayey soil 및 Upland candy loam 노면에서 안정으로 운행이 가능하였고 Dry sand 노면에서 무한궤도와 지면이 접촉한 부분의 심각한 침하량의 원인으로 인해 오르막 과정에서 전복이 발생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대부분 양봉장 노면은 Clayey soil이고 각 시뮬레이션 결과 중 Clayey soil 노면에서 운행 시 소비의 흔들림이 최소로 운반차의 흔들림도 최소로 이루어졌다. 마지막으로 양봉장에서 현장 실험을 통해 가상 시뮬레이션 결과를 검증하였고 운반차가 안정적으로 운행할 수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 양봉 사양 관리용 다기능 운반차 적재함 개발

        왕평안 ( Pingan Wang ),한웅철 ( Xiongzhe Han ),손영선 ( Youngsun Son ),석지후 ( Jihoo Seok ),모창연 ( Changyeon Mo ),김동원 ( Dongwon Kim ),김준호 ( Joonho Kim ),정원기 ( Wonki Chung ) 한국농업기계학회 2021 한국농업기계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6 No.1

        현재 국내 양봉업자들은 양봉의 운반, 관리 등을 대부분 수작업으로 진행하고 있으며, 양봉업 종사자의 연령대가 대부분 고령이기 때문에 노동시간을 줄이고, 벌들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양봉 사양 관리용 이동 보조 장치 개발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벌통의 식별, 운반, 운송 등 기능을 갖춘 전기 충전 기반의 벌통 운송용 이동 장비를 구현한다. 실험 초기 단계에서는 춘천시 주변 다수 양봉장에 방문하여 양봉장의 환경구조와 현재 사용 중인 이동 양봉장치에 대해서 구체적인 수요를 조사하였다. 다양한 양봉장의 규모 크기를 고려하여 최종적으로 소형 전동무한궤도운반차(LNS-T500)를 본 연구의 양봉 사양 관리용 이동 플랫폼으로 선정하였다. 기존의 단층 적재함 구조에서 다층구조로 설계하여 전개할 수 있는 소비 및 벌통 전용 적재함을 개발하였다. 시뮬레이션 정응력 분석을 통해 견고성과 변형성에 대해서 테스트하여 다종 운영환경에서 동작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는 것을 확보하였다. 개발한 적재함은 소비 운송 효율을 높일 뿐만 아니라 이동 양봉작업 시 적재함을 전개하여 벌통 운반하는데 유용하게 사용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