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독일 아동·청소년 문학에 나타난 이민자 자녀 문제- 아넬리스 슈바르츠의 『하미데 역을 한 하미데』를 중심으로 -

        명정 한국독일어교육학회 2013 외국어로서의 독일어 Vol.33 No.-

        Seit der Anwerbung von ausländischen Arbeitskräften ab den 1950erJahren sind türkische Migranten in Deutschland zu einer gesellschaftlichrelevanten Größe geworden. Da sich viele von ihnen hierzulande eineExistenz aufbauten und andere Familienmitglieder aus der Türkeinachholten, machen sie inzwischen den größten Anteil aller in derBundesrepublik lebenden Ausländer aus. Türken und Türkinnen sind dieGruppe der Migranten, die in der Bundesrepublik am stärksten vertretenist. Aber sie sind den Deutschen aufgrund ihrer islamischen Religion amfremdesten erscheint. Sie lassen sich nicht anschließen an deutschesäkularisierte christlich-abendländische Tradition. Sie sind auch dieausländischen Mitbürger, gegenüber denen die meisten Vorurteile,Stereotype und Fehlinformationen bestehen. Die Probleme der zweiten Generation mit türkischemMigrationshintergrund sind anders als die Probleme der ersten Generationder Gastarbeiter. (Türkische) Migrantenkinder werden nicht nur in einerdeutschen Bildungsinstitution mit der Sprache und den Denkweisen derDeutschen, sondern auch in der Familie mit ihren Eltern, die ihre Kinderimmer mehr auf orthodoxe türkische (kulturelle) Tradition festlegen,konfrontiert. Deshalb wird in der vorliegenden Arbeit Integrationsprobleme der Migrantenkinder im Werk von Annelies Schwarz Hamide spielt Hamide(1986) untersucht. Im untersuchten Text der vorliegenden Arbeit wirdzuerst Konflikte und Integrationsprobleme von Hamide mit türkischemMigrationshintergrund in der Hauptschule ins Auge gefasst. Darüberhinaus wird die tief verwurzelten Vorurteile der Deutschen Gesellschaftdurch die Ansicht des Ich-Erzählers, deutscher Lehrerin Weißenbach,kritisch untersucht. Zum Schluß werden die Funktion der Schule für dieIntegration der Migrantenkinder, die soziale Sinn der interkulturellenBildung und die didaktische Methode der kinder- und jugendliterarischenTexte für die interkulturelle Bildung untersucht. 블리제너 Ulrich Bliesener는 “상호문화적 교육은 무엇보다도 학교에 제시된 하나의 과제 Interkulturelle Erziehung ist eine Aufgabe, dievor allem der Schule gestellt ist”32)임을 강조하며 그 중요성을 피력한 바 있다. 사회적인 측면에서 보자면 다문화 사회의 문제와 타문화권출신들과의 ‘평화롭게 함께 하는 삶 friedliche Koexistenz’에 기여하는것이 상호문화적 학습과 가르침의 기본 관심사이다. 독일의 경우 본연구에서 다룬 작품 하미데에서처럼 연극을 상호문화 교육을 위한하나의 학습 모형으로 삼고 있다. 이것은 학생들로 하여금 이민자의입장이 되어 보게 하여 학습 효과를 높이는 방법으로써 실제 수업시간에 많이 활용되고 있다. 그 결과 타문화에 대한 이해도가 높아지고,이민자 자녀들의 학교생활도 수월해지는 효과를 나타낸다. 다문화 사회에 이민자 문제가 화두로 불거진 지 이미 오래 된 이시점에, 이민자 2세대 3세대들의 주요 상대인 토착민 학생들로 하여금 상호문화적인 의식을 갖게 하는 교육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이 작품에서 시사하는 바와 같이 이미 독일 같은 다문화 사회가 겪었던 문제들이 불거지기 시작한 우리의 사회에서도 이민 1세대에 대한통합교육도 중요하지만, 그 자녀들의 사회화를 이끌어줄 교육도 필요하다. 상호문화 교육의 필요성이 날로 절실해지는 국내 실정에서 본연구가 우리의 다문화 교육방법을 계발할 수 있는 토대가 될 수 있을것이다.

      • KCI등재

        인간과 자연의 관계성 인식 – 루드비히 티크의 「요정들」을 중심으로

        명정 한국독어독문학회 2023 獨逸文學 Vol.64 No.4

        독일의 경우 1980년대 매체를 통해 ‘숲의 고사’가 대두된 이후 ‘죽어 가는’ 숲은 지구 환경 재앙에 대한 경고의 의미를 갖게 된다. 자연이 죽으면 인간도 죽는다. 이 모든대재앙을 초래한 것은 결국 인간이다. 초기 독일 낭만주의의 중심 주제 중 하나는 자연이라 할 수 있다. 그리고 숲은 자연에 대한 가장 중요한 메타퍼다. 낭만주의와 숲 모티브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친 작가가 바로 루드비히 티크다. 티크는 메르헨 작품들에서 인간과 자연 사이가 소원해지는 문제를 다룬다. 이미 당시 티크는 인간의 문화와 기술 문명으로부터 멀리 떨어진 고립된 자유로운 공간으로서의 자연, 그리고 인간의 손길이 닿지 않은 자연을 이야기한다. 본 연구에서는 티크의 작품 중 「요정들」을 중심으로 인간과 자연의 관계에서 자연 존재의 위상이 인간 삶에 갖는 의미를 고찰한다. 자연은 인간의 객체가 아닌 인간 존재를 가능케 한 근원적 실체다. 그러나 이성 중심적으로 사고하는 인간에게서 자연의 위상은 전복되고, 자연의 요체인 요정들의 환상적인 세계는 파괴된다. 범속한 현실 속 인간들은 자연의 존재를 마음대로 통제하고 조정할 수 있는 대상으로 인식하지만, 자연이 존재하지 않는 공간 속 인간의 미래는 절망적이다. 이를 통해 우리는 자연의 의미를 근본적으로 다시 생각하는 계기를 마련할 수 있을 것이다. Seit das ,Waldsterben‘ in den 1980er Jahren in den Medien thematisiert wurde, sind sterbende Wälder im Falle Deutschlands zu einer Warnung vor einer globalen Umweltkatastrophe geworden. Wenn die Natur stirbt, sterben auch die Menschen. Letztlich sind es die Menschen, die all diese Katastrophen verursacht haben. Als eines der zentralen Themen der frühen deutschen Romantik kann man die Natur bezeichnen. Und der Wald ist die wichtigste Metapher für die Natur. Ein Autor, der sowohl die Romantik, als auch das Wald-Motiv entscheidend geprägt hat, ist Ludwig Tieck. In seinen Märchenwerken hat Tieck das Problem der Entfremdung zwischen Mensch und Natur behandelt. Schon damals sprach Tieck von der Natur als einem isolierten, freien Raum fernab der menschlichen Kultur und der technologischen Zivilisation. Damit setzt die vorliegende Arbeit sich mit der Bedeutung des Status der Natur in der Beziehung zwischen Mensch und Natur in Tiecks Die Elfen auseinander. Die Natur ist kein Objekt des Menschen, sondern eine grundlegende Wesenheit, die die Existenz des Menschen ermöglicht. Darüber hinaus wird untersucht, wie die fantastische Welt der Elfen, die Essenz der Natur, zerstört wird und wie dies dem Menschen ein katastrophales Ende bereitet. In einer rational orientierten Realität nehmen Menschen die Natur als einen Gegenstand wahr, den man kontrollieren und anpassen kann, aber die Zukunft des Menschen in einem Raum, in dem die Natur nicht existiert, ist hoffnungslos. Dadurch erhalten wir die Möglichkeit, die Bedeutung des Status der Natur grundlegend zu überdenken.

      • KCI등재

        엘제 라스커-쉴러의 산문 『바그다드의 공주 티노의 밤들』에 나타난 낯설음 연구 - 작가의 정체성 구현과 확립을 중심으로

        명정 한국독일어교육학회 2016 외국어로서의 독일어 Vol.39 No.-

        Das seit den sechziger Jahren stets steigende Interesse an Literatur von Frauen ist in ein neues Stadium getreten. Das Entdecken von vergessenen oder vernachlassigten Autorinnen erfolgte auf der Suche nach theoretischen Verallgemeinerungen uber ein spezifisch ‘weibliches Schreiben’. Das Werk Else Lasker-Schulers bringt im Untersuchungsbereich zum Verhaltniss von Weiblichkeit und modernistischem Schreiben in Frucht. Im Vergleich zu ihren Gedichte oder anderen Prosa wird das Werk『 Die Nachte der Tino von Bagdad』(1907) in ausser Acht gelassen. Das Prosa- Werk fristete lange ein Schattendasein. Die Annaherung uber das Thema Fremdheit verspricht einen neuen Zugang. Die Fremdheit ist sowohl im Werk als auch im Leben Lasker-Schulers bedeutsam. Mit diesem Ansatz wird in der vorliegenden Arbeit die raumliche Fremdheit als Wege der Uberwindung von Heimatslosigkeit und als Verkorperungen der Identitat Lasker-Schulers in der Prosa『 Die Nachte der Tino von Bagdad』 unter die Lupe genommen. Daruber hinaus wird die dichterische Selbstberufung untersucht. Lasker-Schuler vermittelt durch die Persona Tino auch eine Konzeption ihrer dichterischen Selbstberufung, aus der eine Rebellion gegen die Macht der Vaterinstanzen spricht. Auf diese Weise befestigt Lasker-Schuler ihre (dichterische) Identitat. 유대인이자 여성작가였던 엘제 라스커-쉴러 Else Lasker-Schüler (1869-1945)는 그녀가 살고 있는 고향 독일에서 낯설음을 겪는다. 볼펜슈타인 Wolfenstein은 1922년 발표한 논문에서 작가와 유대인을 모두 ‘실향민 Heimatlose’, ‘제외된 자 Ausgegrenzten’ 그리고 ‘거부된 자Abgewiesene’로 정의한다(Wolfenstein 1922). 볼펜슈타인의 정의에 따르면, 유대인이자 여성작가였던 라스커-쉴러는 홀로 아이를 키우는 엄마로서, 쫓겨나 망명생활을 하게 되는 실향민으로서 존재 자체가 타자였고, 삶 자체가 낯설음 체험 투성이였다. 블랑쇼 Blanchot(1991)는 낯설음을 근본요소로서 작가와 작품 사이의 관계로 인식했을 뿐만 아니라 독자와 책 사이의 관계로도 인식한다. 블랑쇼에 따르면, 진실에 접근하는 길을 제시할 수 있는 경험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예술 작품은 작가를 낯선 것에 내맡기고, 독서는 독자를낯선 것에 내맡긴다(Blanchot 1991: 191). 이러한 블랑쇼의 상론에 기대면, 창작과정/창작행위의 조건으로서 낯설음은 영감을 주는 것이다. 라스커-쉴러의 경우 그녀 삶의 주제라 할 수 있는 낯설음이 문학창작의 비옥한 원천임은 이미 그녀의 여타 산문 작품에 대한 연구에서도 입증된 바 있다(Vgl. Grossmann 2001). 낯선 것은 양가적이다. 한편으로그것은 두려움과 거부감을 불러일으키고, 다른 한편으로 그것은 매혹적이다. 라스커-쉴러는 낯선 것이 내포하고 있는 양가성으로 그리고 그러한 양가성에 대해 글을 쓴다. 그녀는 인생과 작품을 위해 낯설음이갖는 매력을 창조적으로 활용한다. ‘다르다는 것 anders zu sein’은 라스커-쉴러의 운명이자 (글쓰기) 전략이 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라스커-쉴러의 산문 『바그다드의 공주 티노의밤들 Die Nächte der Tino von Bagdad』(1907)을 중심으로 그녀가 저술활동을 통해 - 작가로서의 소명의식을 강조하며 - 자신의 정체성을구현하고 확립하는 측면에 초점을 맞추어 낯설음을 고찰하고자 한다. 19개의 짧은 산문 텍스트들로 구성된 단편인『 바그다드의 공주 티노의 밤들』은 제목에서도 알 수 있듯이 그 배경을 오리엔트로 하고 있다. 라스커-쉴러에게 있어서 오리엔트는 단순히 작품의 배경이 되는 물리적 장소로서의 공간만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작가는 자신이 본향으로 동경했던 오리엔트를 배경으로 이국적인 요소들을 통해 자신의 정체성을 구현한다. 더욱이 작가에게 있어서 낯설음이란 기존 남성중심의 가부장사회의 전복을 꾀하는 도전의 의미로 작용한다. 따라서 라스커-쉴러가 여자이면서 유대인이었던 사회적 약자로서 반유대주의적이고 반여성주의로 표명되는 사회 권력구조에 맞서 작가로서 자신의 세계상을 제시하는 측면과 작가로서 글쓰기 소명을 부각시키면서 자기정체성을 확립하는 과정을 조명해 보고자 한다.

      • KCI등재

        사회 비판적 알레고리로서 메르헨 -라픽 샤미의「 마술사가 등장했을 때」를 중심으로

        명정 한국독일어교육학회 2019 외국어로서의 독일어 Vol.45 No.-

        Rafik Schami verwendet das Genre des Märchens und die Elemente der Fantasy-Literatur als Mittel, um aktuelle Themen anzusprechen, die sich insbesondere mit Minderheitsproblemen, Marginalisierung und Diskriminierung von Gastarbeitern in der Bundesrepublik Deutschland befassen. In der vorliegenden Arbeit wird das Werk von Rafik Schamis Als der Meister auftrat als Untersuchungsgegenstand behandelt, um aufzuzeigen, wie gegenwärtige Integrationsprobleme in Deutschland dargestellt werden. Bei diesem Werk handelt es sich um das Genre des Märchens als eine sozialkritische Allegorie. Vor allem werden darin Anpassungsprobleme beim Integrationsprozess von Migranten beobachtet. Viele von ihnen verleugnen ihre eigene ethnische und kulturelle Identität. Dennoch führen solche Versuche zu katastrophalen Konsequenzen. Schließlich kann man feststellen, dass Schamis Erzählungen den einzelnen Leser zu einer aktiven Neubewertung von Vorurteilen und zur Auseinandersetzung mit langjährigen persönlichen und gesellschaftlichen Überzeugungen über die Rolle von Minderheiten- und Mehrheitsgruppen anregen. 본 연구에서는 독일의 대표적인 이민자 작가인 시리아 출신 라픽 샤미의 메르헨「 마술사가 등장했을 때」에 나타난 사회 비판적 측면을 고찰한다. 샤미는 자신의 작품에서메르헨이라는 전통적인 이야기 형식을 취하고 있지만, 이민자로서 자신이 직접 경험한1980년대 독일 사회의 통합 문제를 비판적으로 투영시킨다. 이 작품에서 샤미는 소수자들이 주류 사회로 통합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적응 내지 순응 문제를 주제화한다. 작가샤미는 피부색과 이름까지 바꿔가며 주류 사회에 동화되려 시도한 하싼이라는 이야기속 인물을 통해 이러한 방식의 적응이나 순응 - 일방적인 흡수 방식의 통합 - 이 어떤 파국을 초래하는지 명백하게 제시한다. 그렇게 함으로써 작가 샤미는 독자들로 하여금 사회 통합 문제에 대해 관심을 갖게 하고 다시 한 번 숙고할 수 있도록 기회를 마련한다. 결국 고유문화와 정체성을 부정해야 하는 강요된 동화 방식은 진정한 공생을 지향하는 올바른 통합 방법이 아님을 샤미는 경고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우선 틀 이야기 구조의 메르헨 이야기가 사회 비판적 알레고리로서 기능하는 측면을 살펴보고, 이주 노동자들이 소수자로서 독일이라는 주류 사회에 통합되기 위해 인종과 문화 정체성을 부정해야 하는 억지 순응이 초래하는 파국적 결말을비판적으로 고찰한다.

      • KCI등재

        게르만 신화 『에다』 다시 읽기 - 구드룬의 복수를 중심으로

        명정 한국독일언어문학회 2022 독일언어문학 Vol.- No.95

        북유럽 신화나 고대 게르만 신화에서는 전쟁터에서 혁혁한 공을 세운 영웅으로서의여성 인물을 찾아보기 힘들다. 특히 복수의 경우 남성들이 행하는 친족이나 부족에 대한 복수는 본능적인 반면, 여인들이 어떻게 느끼고 무엇을 했는지는 알려진 바가 거의없다. 그러나 고대 게르만 신화로 읽히는 대표적인 북구 신화 『에다』에서는 여성 인물이 복수의 화신으로 등장한다. 바로 구드룬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구드룬이라는 여성 인물이 취하는 복수라는 행위를 중심으로, 시대적으로 가부장적 관념이 지배적이었던 사회에서 수동적이며 도구적인 삶을 살 수밖에없었던 여타의 여성들과는 달리, 남성 못지않게 적극적이며 자주적인 면모를 갖춘 여성으로서의 구드룬을 분석한다. 구드룬은 자신이 행할 바를 스스로 결정하고 복수를 감행하는 당대 사회적 통념을 전복시키는 진취적이며 영웅적인 면모를 풍기는 여성 인물로해석 가능하다. 본 연구에서는 우선 『에다』의 소재가 되는 실제 역사적 사건을 바탕으로 전반적인 사건을 개괄하고, 중세 시대의 복수와 여성의 의미를 살펴본다. 이어 구드룬의 복수를 탈젠더적 측면에서 고찰한다. 구드룬의 복수는 단순히 혈족으로서 짊어져야만 했던 그녀에게 주어진 사회적 의무를 이행하는 차원에 국한된 행위가 아니다. 구드룬의 복수는성 역할에 구애받지 않고 한 인간 존재로서 자신이 처한 고통의 상황에서 그녀가 행해야 할 바를 스스로 결정하고 영웅적인 기질을 발휘해 행동으로 옮긴 자주적인 행위이다.

      • KCI등재

        『브레멘 음악대』에 나타난 약탈적 자본주의 양상 고찰

        명정 서울대학교 독일어문화권연구소 2022 독일어문화권연구 Vol.31 No.-

        약 200년 전 그림 형제가 자신들의 민중 동화 모음집인 『어린이와 가정을 위한 동화』를 수집-편찬하기 시작했을 때만 하더라도, 다가오는 산업화 시대에 사회가 얼마나 심각하게 황폐해질 수 있는지 그 정도를 예측하기 어려웠을 것이다. 산업화로 인해 가난한 농촌 사람들은 도시의 공장으로 몰려들었고, 그들은 도시에서 노동자로 근근이 연명했다. 그러나 이러한 비참한 상황은 21세기를 살고 있는 오늘날에도 만연하다. 그림 형제의 동화 중 브레멘음악대 는 오늘날의 이러한 문제 상황을 잘 드러내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착취로 유지되는 이익을 추구하는 ‘약탈적 자본주의’ 양상을 브레멘 음악대 를 중심으로 비판적으로 고찰한다. 특히 동물들로 빗대어진 인간의 존재 가치가 쓸모로 규정되는 측면을 비판적으로 살펴본다. 이이야기에 등장하는 동물들은 모두 소유자에게 노동력을 착취당해왔다. 그러나동물들의 섬김을 통해 벌어들이는 수익보다 그들을 유지 관리하는 데 드는비용이 초과될 때 죽음은 자비 없이 동물들을 엄습한다. 동물들이 주인에게제공한 혜택이 그들의 존재 가치를 규정했던 것이다. 또한 존재 가치를 인정받지 못한 존재들이 추구하는 유토피아적 세계가 성취되는 과정을 작품 속 동물들의 연대를 중심으로 고찰한다. 쓸모없어져 무능력한 존재 취급 받던 이들은, 서로 도와야할 순간에 서슴없이 연대하여 협력한다. 이들은 종을 뛰어 넘는 보편적 연대를 통해 현실세계에서 자신들의 이상향인 ‘행복한 땅’ 에우토피아를 이룬다.

      • KCI등재

        엘제 라스커 - 쉴러의 산문에 나타난 글쓰기 전략 - 『 바그다드의 공주 티노의 밤들』을 중심으로

        명정 한국독일어교육학회 2016 외국어로서의 독일어 Vol.38 No.-

        Das Werk Else Lasker-Schulers bringt im Untersuchungsbereich zum Verhaltniss von Weiblichkeit und modernistischem Schreiben in Frucht. Lasker-Schuler gehort zu den wenigen deutschen Autorinnen der literarischen Moderne, die weltweite anerkannt wurden. Im Vergleich zu ihren Gedichte oder anderen Prosa wird das Werk『 Die Nachte der Tino von Bagdad』(1907) in ausser Acht. In diesem Prosa Werk wird Fremdheit stark gepragt. Fremdheit spielt im Schreiben der judischdeutschen Dichterin eine grosse Rolle. Fremdheit liefert in der Prosa Stoff fur poetische Strategien. Mit diesem Ansatz wird in der vorliegenden Arbeit die Fremdheit als Schreibstrategie in『 Die Nachte der Tino von Bagdad』 unter die Lupe genommen. Im untersuchten Text der vorliegenden Arbeit wird die diskontinuierliche Textkonstruktion und die groteske Schilderung, in der die traditionelle, lineare, epistemologische Stabilitat negiert wird, ins Auge gefasst. 독일에서는 1960년대 이후 여성문학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주목받지 못했거나 무시되어 왔던 여성작가의 작품을 발견하는 작업이 활발해지기 시작했다. 이러한 작업을 통해 엘제 라스커-쉴러 Else Lasker- Schuler(1869~1945)의 작품이 여성작가에 대한 이론적 보편화를 추구하는 데 기여했다. 라스커-쉴러의 초기 작품들은 지난 세기전환기의 문학적이고 사회적인 대변혁의 역사적 시기에 모더니즘 문학의 특징들을잘 나타내주고 있다. 그녀는 작품을 묘사함에 있어 복잡하며 어둡고 혼란스런 방식을 취한다. 글쓰기 방식에 있어서도 심리학적인 요소를 활용하고 목적론적인 서사방식을 해체하는 등 모더니즘적인 특징을 선취하고 있다. 이런 측면에서 라스커-쉴러는 모더니즘 문학에서 세계적으로 인정받는 몇 안 되는 여성작가 중 한 사람으로 손꼽힌다. 그러나 그녀의 명성은 20세기 초 문학정전으로 꼽히는 거의 몇몇 시(詩)작품에 기인한다. 본 연구에서 다룰 산문『 바그다드의 공주 티노의 밤들 Die Nachte der Tino von Bagdad』(1907)1)은 그녀의 연애시나 작가 스스로를 묘사함에 있어 범례를 제공하는 『테베의 왕자 Prinz von Theben』(1923)에 비하면 거의 알려져 있지 않다. 그러나 그녀의 문학이 갖는 시의성을 비롯하여 다양한 관점에서 작가로서의 자기소명을 재현하고 있다는 점에서 이 산문 작품은 중요한 의의를 갖는다.2)『 바그다드의 공주 티노의 밤들』은『 페터 힐레-도서 Peter Hille-Buch』(1906)의출판 이후에 나온 라스커-쉴러의 두 번째 산문 작품으로, 그녀의 작품들 중에서 전적으로 ‘오리엔트’3)를 배경으로 한 첫 번째 작품이다. 라스커-쉴러의 산문 작품들은 오랫동안 주목받지 못했다. 그녀의 산문 작품에 대한 연구는 최근에서야 다양한 관점에서 진행되었다. 특히 ‘낯설음 Fremdheit’이라는 연구 주제는 새로운 접근을 가능하게 했다. 낯설음은 유대인이었던 독일인 여성작가의 글쓰기를 특징짓는다. 낯설음은 전환기의 초기 작품에서부터 1945년 망명지인 예루살렘에서죽음을 맞이할 때까지 그녀의 전 생애를 관통하는 주제이다. 유대인이면서 여성이라는 사회적 아웃사이더 포지션 때문에 라스커-쉴러가 체험하게 된 낯설음은 그녀의 산문 작품의 모티브와 시적 전략을 위한 소재가 된다. 이처럼 낯설음은 그녀의 작품에서뿐만 아니라 삶에서도 큰의미가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타자가 아니면서 타자였고, 낯선 곳이 아닌 곳에서 낯선 삶을 살아야 했던 여성작가 라스커-쉴러의 낯설음 체험을 글쓰기 전략이라는 형식적인 측면에서 고찰하고자 한다. 불연속적인 텍스트 구성방식과 파편화되어 산재하는 인물들의 아라베스크적 구상을 살펴봄으로써 라스커-쉴러가 모더니즘적 글쓰기 방식을 선취하고 있음을조명할 것이다.

      • KCI등재

        상이성(相異性)체험과 정체성 형성을 통한 타자이해 연구 - 볼프강 헤른도르프의 『우리들의 발라카이』를 중심으로

        명정 서울대학교 독일어문화권연구소 2017 독일어문화권연구 Vol.26 No.-

        In der vorliegenden Arbeit wird versucht, ein Konzept von Fremdverstehen zu finden. Dafür spielen die Alteritätserfahrung und die Identitätsbildung eine bedeutendste Rolle. Um eigene Identität zu entwickeln, soll man vor allem Alterität, Fremdheit und Andersheit etc. durch die Erfahrung wahrnehmen. Alles echte Fremdverstehen ist auf Akte der Selbstauslegung des Verstehenden fundiert. Mit dieser Überlegung wird das Fremdverstehen durch Alteritätserfahrung und Identitätsbildung in Wolfgang Herrndorfs Tschick (2010) untersucht. Im untersuchten Text wird zuerst Alterität (lat. alter: der eine, der andere von beiden) ins Auge gefasst. Durch Alteritätserfahrung wird dann der Identitätsbildungsprozess des jungen Protagonisten unter die Lupe genommen. Die Alteritätserfahrung durch die Reise nach Walachei ist der Rahmen, innerhalb dessen der Protagonist mit Themen konfrontiert wird, die für seine Identitätsbildung wichtig sind: Freundschaft, Liebe, Lebenssinn, Tod, Familie, Gesellschaft. Nach der Identitätsbildung erwirbt der Protagonist eine Fähigkeit zum echten Fremdverstehen.

      • KCI등재

        가미십전대보탕의 RAW 264.7 세포에서 항산화 및 항염증 효과

        명정호(Jeong-Ho Myung),이명선(Myung-Sun Lee)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17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46 No.11

        가미십전대보탕(이하 KSD로 표기) 추출물은 생약 성분으로 인체 및 동물에 투여 시 세포 독성 및 장기에 중금속 등에 의한 독성 물질이 발생할 수 있어 안전성이 매우 중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KSD의 안전성 확보를 위해 중금속 검사, 간과 신장 기능 지표 검사 및 RAW 264.7 세포 생존 시험을 거친 후 RAW 264.7 세포를 이용하여 KSD 추출물의 항산화 및 항염증 효과를 알아보았다. KSD 추출물에서 중금속은 발견되지 않거나 기준치 미만으로 검출되었다. 간기능지표인 AST, ALT는 정상군에 비해 낮게 나타났으며 신기능 지표인 Cr, BUN도 정상군과 같거나 낮아 인체에 안전함을 확인하였다. RAW 264.7 세포 독성은 대조군 대비 농도별 생존율에 차이가 없었다. KSD 추출물의 항산화 효능 측정 결과 DPPH 라디칼 소거능과 ABTS 라디칼 소거능은 10 μg/mL 이상의 농도에서 의존적으로 활성이 증가하였다. 항염증 효과 측정 결과 NO 생성량은 대조군에 비해 10, 100 μg/mL에서 유의성 있는 감소를 보였으며, IL-1β와 IL-6는 농도 의존적으로 발현량이 감소하였고, TNF-α는 유의적 차이점을 발견할 수 없었다. 이상의 결과를 보아 KSD는 골절 치료를 위한 생약으로 안전성 및 항산화 및 염증 감소에 효과가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As Kamisipjeondaebotang (KSD) extract is an herbal ingredient, safety is very important due to possible cell poisoning or heavy metal toxicity to organs when administered to humans or animals. Accordingly, this study examined the antioxidant and anti-inflammatory effects of KSD extract to confirm its medicinal safety by using RAW 264.7 cells after heavy metal screening, functional index test of the liver and kidney, and cell survival rate test. Heavy metals were not found in KSD extracts or were less than standard amounts. Liver function indices such as aspartate aminotransferase and alanine aminotransferase revealed low values and kidney function indices such as creatinine and blood urea nitrogen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e normal group. This proved the safety to the human. RAW 264.7 cells showed no poisoning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in terms of survival rate. Regarding the antioxidant effect of KSD extract, 2,2-diphenyl-1-picrylhydrazyl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nd 2,2’-azino-bis(3-ethylbenzothiazoline-6-sulphonic acid) radical scavenging activity increased at concentrations over 10 μg/mL. The anti-inflammatory effect of KSD extract significantly decreased based on the amount of nitric oxide at concentrations of 10 and 100 μg/mL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Expression of interleukin (IL)-1β and IL-6 decreased in a concentration-dependent manner.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umor necrosis factor-α level. Based on the results, KSD can be regarded as a safe antioxidant with anti-inflammatory effects for fracture treatm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