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노동배제 집단의 사회자본 실태와 정책 함의

        류진아 ( Ryoo Jina )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22 보건복지포럼 Vol.306 No.-

        이 글에서는 사회배제의 핵심 영역 중 하나인 노동배제의 범위를 광의의 실업과 불안정·비정형 노동으로 확대하여 그 규모와 인적 특성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더불어 사회자본의 역할에 주목하여 노동배제 집단의 사회자본 실태를 파악하여 제시하였다. 한국보건사회연구원에서 2021년 수행한 ‘사회 참여, 자본, 인식 조사’를 활용하여 분석한 결과, 거의 절반에 해당하는 사람들이 노동배제에 해당하였고 불안정·비정형 노동이 매우 광범위하게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노동배제 집단의 사회자본은 비배제 집단에 비해 취약했으며, 특히 실업 상황에 있는 집단의 사회자본 수준이 매우 낮았다. 이를 바탕으로 노동배제 집단의 인적 자본을 증진할 수 있는 고용서비스의 확대와 강화, 사회안전망의 사각지대 해소, 노동배제 집단의 권리 증진을 위한 장치 마련과 지원이 필요함을 제안하였다. This paper examines the scale and characteristics of labor exclusion, which, as a key form of social exclusion, is defined broadly here as including unemployment and unstable/atypical labor. In addition, this paper presents the state of social capital amongincome-excluded groups. The characteristics and social capital of include-excluded groups were analyzed using the 2021 'Social Participation, Capital, and Perception Survey' conducted by the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Almost half of the survey respondents were classified as labor-excluded, among whom unstable/ atypical labor was pervasive. The social capital of labor-excluded groups was insufficient compared to that of non-excludedd groups, and the level of social capital of the unemployed group was very low. Based on the findings, this paper suggests expanding employment services, eliminating gaps in the social safety net, and and building up legal support for improving the rights of labor-excluded groups.

      • KCI등재

        독거노인의 사회서비스 욕구 유형 및 특성에 관한 연구

        이정은(Jungeun Lee),류진아(Jina Ryoo),하태정(Taejeong Ha),오다은(Daeun Oh) 충남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21 사회과학연구 Vol.32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types of social service needs of older adults living alone, and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and various predictive factors of each type. In order to achieve these study objectives, 552 single households aged 65 and over were analyzed from the data of the 2019 Social Service Demand and Supply Survey. First, we conducted latent class analysis to classify latent groups representing similar patterns of social service needs. Multinomial logistic regression was then conducted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and influencing factors of each group type. As a result, the latent groups of older adults living alone considering the type of social service needs were classified into three groups: health/social participation/leisure-oriented cluster (8.7%), health/adult care/residential environment-oriented cluster (22.1%), and health-oriented cluster (69.1%). Results of multinomial logistic analysis revealed that the common factor separating the ‘health-oriented cluster’ and the other two groups was the subjective economic level. Based on this study, various policy interventions need to be implemented based on the complex needs of older adults living alone. In addition, this study can be used as a basis for designing customized services for integrated case management of older adults living alone.

      • KCI등재

        도시재생사업에서의 사회복지사업 유형 및 내용 분석

        강혜규(Hyekyu Kang),엄태영(Tae-Young Um),류진아(Jina Ryoo) 한국콘텐츠학회 2017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7 No.7

        본 연구는 도시재생에 대한 기존의 물리적 접근의 한계를 극복하고자 추진 중인 최근 도시재생의 흐름속에서 사회복지적 접근의 실체를 파악하고 사회복지 기법의 정착과 확대에 필요한 제안 사항을 고찰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도시재생 선도지역과 주거취약지역의 사업계획서에서 내용분석의 방법을 적용하여 사회복지 사업을 추출하였으며 사업들을 특성과 형태에 따라 유형화하였다. 분석 결과 도시재생 지역의 사회복지사업은 경제적 기반마련, 복지중심 주거환경개선, 지역사회통합추구, 사회서비스제공의 4가지 유형으로 나타났으며, 각 유형은 다시 12개의 세부 유형으로 분류되었다. 연구 결과를 토대로 향후 도시재생사업에 사회복지기법이 안정적으로 운영되기 위하여 지역특성에 맞는 일자리 연계, 사업수행과정에서 당사자의 적극적 참여, 지역사회통합을 위한 역량 강화, 사회서비스 확대 제공이 필요하다는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social welfare approach and to suggest implications for the establishment and expansion of social welfare techniques in recent urban regeneration to overcome the limitation of physical approach to urban regeneration. We used the method of the content analysis to extract social welfare programs in project plans of urban regeneration regions and vulnerable residence regions and then let them be categorized according to characteristic and form of their program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re are 4 welfare programs in urban regeneration regions; setting the economic fundament, improving the residential environment focusing on welfare, pursuing community integration and social service providing. And each type was classified into 12 subtypes. Based on the result of this study, some implications are suggested to operate social welfare techniques in a stable manner in urban regeneration projects; link of the suitable jobs for regional characteristics, the participation of local residents in the project process, empowerment for community integration and expanded provision of social servic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