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외국인 유학생 대상 플립드 러닝 기반의 온라인 토론 수업 사례 및 효과성에 관한 연구

        류선숙(Ryu SeonSuk),안정호(Ahn JungHo),허유경(Hur You Kyoung),임형옥(Lim Hyung Ok) 한국교양교육학회 2021 교양교육연구 Vol.15 No.6

        이 연구의 목표는 ‘플립드 러닝(Flipped learning)’을 온라인 학습 상황에 적용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고 그 효과성을 밝히는 데에 있다. 이에 따라 국내 대학의 외국인 유학생들을 대상으로 하여, 온라인 토론 수업에서 플립드 러닝을 적용한 수업 사례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 연구에서 제안한 수업 단계는 ‘사전 학습 – 본 학습 – 심화 학습’의 3단계로 구성된다. ‘사전 학습’에서 학습자들은 대학생으로서 알아야 할 기본 교양지식을 학습한 다음, 스스로 질문을 생성하는 과정을 통해 주체적으로 주제를 이해한다. ‘본 학습’에서는 학습자의 질문에 대한 교수자의 미니 강의와, 학습자들끼리 협력 학습을 통해 질문을 해결하고 토론 논제를 분석하는 과정이 진행된다. 그리고 본격적으로 조별로 토론을 수행하며, 결과를 공유한다. ‘심화 학습’은 교수자의 피드백과 성찰 저널 작성을 통해 전체 과정을 반성적으로 평가하며 학습 결과를 내면화하는 단계이다. 이러한 수업 방식을 한 학기 동안 적용한 후, 학습자들에게 한국어 숙달도별 만족도 조사를 실시하여 효과성을 검증하였다. 그 결과, 새로운 지식을 함양하고 토론 능력을 신장하는 데 도움이 되었다는 응답이 많았다. 다만, 초급 학습자들의 경우에는 언어적 자원이 부족하여 중⋅고급 학습자들에 비해 만족도가 다소 떨어졌다. 향후에는 이러한 부분에 대한 고려가 필요할 것이다. This study aims not only to search for how to apply ‘Flipped Learning’ to online learning situations, but also to prove its relevant effectiveness. In order to achieve the research goals, the study targeted foreign students studying in a domestic university and proposed a case in which Flipped Learning is applied to an online discussion class. The class was composed of three stages, namely Pre-learning, Learning in Progress and Advanced Learning. At the stage of Pre-learning, after acquiring the basic knowledge of culture which they are supposed to know as a university student, the learners autonomously understand a topic in the process of asking themselves questions. At the stage of Learning in Progress, after hearing a short lecture by a professor which addresses some of their questions, the learners get involved in problem-solving and discussion topic-analyzing Afterwards, the learners engage in a group discussion and share their results. At the stage of Advanced Learning, with feedback from the professor, the learners carry out a reflective evaluation and engage in self-evaluation journal writing, and finally internalize their learning results. The study applied the learning method above mentioned for one semester, and verified its effectiveness by conducting a Korean language proficiency-based satisfaction survey on the learners. The findings show that for a majority of students this method helped them attain new knowledge and improved their debating abilities. However, when it came to the beginner learners, their lack of linguistic resources resulted in a decrease of their satisfaction with this program compared with the level of satisfaction found among the intermediate-post intermediate learners. We suggest that this problem be investigated further in following studies.

      • KCI등재

        메타버스(Metaverse) 기반의 한국어 교과목 설계에 관한 가능성 탐색 연구

        류선숙(Ryu, SeonSuk) 한국교양교육학회 2022 교양교육연구 Vol.16 No.2

        이 연구는 변화하는 대학의 교수⋅학습 환경 및 다변화되어 가는 외국인 학습자의 특징과 요구를 반영한 메타버스 기반 한국어 교과목 개발에 대한 가능성을 탐색하는 데 목표가 있다. 아직 한국어교육 분야에서 메타버스의 활용은 초기 단계라 할 수 있지만, ‘경험의 원추 이론(The Cone of Experience)’에서 도 강조한 것처럼 구체적이고 직접적인 경험을 기반으로 한 목표 언어 학습은 매우 효과적이다. 따라서 가상 세계(Virtual Worlds), 거울 세계(Mirror Worlds)를 기반으로 한 메타버스를 통해 한국어를 배울 수 있도록 하면, 학습자들의 실제 의사소통 능력 신장에 큰 도움이 될 것이다. 이 연구에서는 메타버스 기반의 한국어 교과목 설계를 위해 먼저 메타버스의 기술적 유형을 살펴보고, 현재 개발되어 있는 ‘게더타운’과 ‘이프랜드’의 기능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메타버스 플랫폼을 통해 한국어 교과목을 진행하는 것이 가능함을 밝혔다. 그리고 의사소통 과제를 기반으로 한 ‘맥락적 시나리오’를 구축해야 함을 주장하고, 각 시나리오에 따른 4단계의 수업 모형을 제시하였다. 향후에는 이러한 수업 모형을 실제 교육 현장에서 적용해 봄으로써 그 효과성을 입증하는 연구가 후속되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possibility of developing a metaverse-based Korean language subject reflecting the changing teaching/learning environment of university and the diversified characteristics and needs of foreign learners. Even though the utilization of the so-called metaverse in the field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is still in its early stages, target language learning based on concrete and direct experience is very effective, just as emphasized in ‘The Cone of Experience’, Thus, if students can learn the Korean language through the metaverse based on such programs as Virtual Worlds and Mirror Worlds, it would help them increase their actual communication skills to a great extent. In order to design a metaverse-based Korean language subject, this study first examined the technical types of the metaverse, and then analyzed the functions of Gather.town and ifland, both of which are currently being developed. As a result, this study revealed the possibility of conducting a Korean language subject through the metaverse platform. After arguing for the necessity of establishing a ‘contextual scenario’ based on communication tasks, this study also presented a four-step instructional model according to each scenario. In the future, there should be follow-up research that proves the effectiveness of this instructional model by applying it to the actual education field.

      • KCI등재

        한국어 학습자의 작문 자료에 나타난 접속부사 사용 양상 연구 - 빈도 정보를 중심으로 -

        류선숙 ( Ryu Seonsuk ) 한국문법교육학회 2017 문법 교육 Vol.29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information of types and tokens of conjunctive adverbs in written language of korean learners. To accomplish this purpose, 270 writing discourses of Korean learners from beginner, intermediate, and advance level takers, 90 from each, were selected from 32-34 Test of Proficiency in Korean(TOPIK) written corpus. Types and tokens of conjunctive adverbs were measured from total of 27,405 eojuls. Differences in each word class of conjunctive adverbs, based on proficiency groups, were evaluated. The list of conjunctive adverbs of high frequencies was shown. The result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 First, the ratio of types and tokens of conjunctive adverbs in total vocabulary was 0.45% and 1.3%, respectively. Second, the types and tokens of conjunctive adverbs were increased according to the proficiency in Korean. The differences of types and tokens of conjunctive adverbs based on proficiency were significant only between advance level group and others. These results shows that the acquisition and use of conjunctive adverbs from intermediate to advance levels are significant. Third, only a limited number of types of conjunctive adverbs were used with high frequencies in the word list. That means Korean learners used several conjunctive adverbs repetitively in comparison to Korean native speakers. The results from this study could be used for analysing the use of vocabulary in written discourses of korean learners and study Korean writing education methods for Korean learners.

      • KCI등재

        외국인 학부생 대상 대학 글쓰기 과목의 교재 개발을 위한 교수요목 설계 방안 연구

        이유경 ( Lee Yookyoung ),박현진 ( Park Hyunjin ),이선영 ( Lee Sunyoung ),장미정 ( Jang Mijung ),노정은 ( Noh Jungeun ),류선숙 ( Ryu Seonsuk ) 민족어문학회 2016 어문논집 Vol.- No.78

        본 연구는 외국인 학부생 대상 대학 글쓰기 과목의 교재 개발을 위한 교수요목의 설계 방안을 제안하고 이를 바탕으로 실제 교수요목을 제시하였다. 언어 교수접근법과 교수요목에 대한 이론적 고찰을 통해 외국인 학부생 대상 글쓰기 교육을 위한 교수요목은 주제와 기능이 중심이 되어야 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학습자 요구분석을 통해 외국인 학부생들의 요구를 파악하였다. 요구 분석 결과에 따르면 외국인 학부생들은 대학 글쓰기 교재를 통해 대학 수업에서 접하게 될 주제와 기능을 이해하는 데 도움을 받고 싶어 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이론적 검토와 학습자의 요구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교재 개발을 위한 교수요목 설계 방안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교재를 `내용편`과 `기능편`으로 나누어 구성하고자 하였다. 먼저 `내용편`은 사실적 이해, 추론적 이해, 비판적 이해, 창의적 이해를 목표로 정하였다. 이들 목표 중 수준별로 중점을 두어야 할 것을 선정하여 내용 안에서 달성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그리고 인문학, 사회과학, 자연과학의 영역에서 각 수준에 맞는 세부주제와 목표를 설정하였다. `기능편`은 쓰기 지식의 범주를 언어 지식, 맥락지식, 과정지식, 내용 지식으로 구분하였다. 이에 각 수준별로 중점적으로 다루어야 할 쓰기 지식을 내용으로 선정하여 단원을 구성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plans for design of syllabuses to develop college writing textbooks for foreign undergraduates. Syllabuses for writing education for foreign undergraduates should be concentrated on their subjects and functions through a theoretical study on teaching approaches and syllabuses. In addition, demands of foreign undergraduates have been found by analysis of leaners` demands. A result of analysis of the demands indicates foreign undergraduates` desires for college writing textbooks to help them understand topics and functions in their college lectures. Therefore, in this study, plans for design of syllabuses to develop college textbooks have been suggested based on theoretical reviews and the result of analysis of learners` demands. In this study, textbooks are divided into two parts `Content Part` and `Function Part`. First of all, the purpose of the `Content Part` is for factual understanding, inferential understanding, critical understanding and creative understanding. The contents encompass humanities, social science and natural science depending on beginner, intermediate and advanced. In the `Function Part`, categories of knowledge are divided into four parts language knowledge, context knowledge, process knowledge and content knowledge. The contents of the `Function Part` also encompass writing functions depending on level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