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 KCI등재후보
      • KCI등재후보
      • KCI등재

        八脈交會穴 중 外關과 足臨泣의 主治에 관한 小考

        류서원 한국사상문화학회 2015 韓國思想과 文化 Vol.77 No.-

        This study compared and analyzed medical books such as ‘Dong-ui-bo-gam’, ‘Bang-yak-hap-pyeon’, ‘Ui-hak-im-mun’, ‘Man-byeong-hoi-chun’ and ‘Geum-gyue-yo- ryak’ for medications according to physiological and pathological concepts of Eight Confluent Acupoints(八脈交會穴), its yuju(流注) and places of acupuncture point, and its correlation and ju-chi(主治). Pal-maek-gyo-hoi-hyeol was named first in ‘Chim-gyeong-ji-nam(鍼經指南)’ in Geumdae(金代). It is composed of 4 pairs: oi-gwan(外關) and jog-im-eup(足臨泣), hu-gye(後谿) and shin-maek(申脈), nae-gwan(內關) and gong-son(公孫), and yeol-gyeol(列缺) and jo-hae(照海); the root of human body is the dynamic energy of yang(陽) filled with energy in the ends of arms and legs; the starting point is the sang-ha-bae-hyeol-beop(上下配穴法) full of energy and blood; it refers to 8 acupuncture points that clinically remove sagi(邪氣), and its range of treatment is wide and effective because the action of meridians meeting together is more favorable for diagnosis and effect than bi-gyo-hoi-hyeol(非交會穴). Physiological and pathological concepts of oi-gwan and jok-im-eup are the same as triple energiger meridian and gallbladder meridian; yu-jus(流注) of oi-gwan and jok-im-eup are also identical with the relevant meridian system. As for the correlation(相關關係) of oi-gwan and jok-im-eup, there are correlation of yuk-chin(六親), of circulation route, and of five element-coexistence; yuk-chin classified oi-gwan as woman and jok-im-eup as man; circulation routes are triple energiger meridian and gallbladder meridian; five element-coexistence classified oi-gwan as hwa(火) and jok-im-eup as mok(木). Ju-chi(主治) and effects of oi-gwan and jok-im-eup is ban-pyo-ban-ni-jeung(半表半裏症) developed in the side parts of body related to so-yang-byeong(小陽炳) in arms and legs and diseases in yang linking vessel meridian and dae-maek(帶脈); they cure diseases in cheuk-hyung-bu(側胸部), cheuk-yo-bu(側腰部) and sang-ha-ji-cheuk-oi-bu(上下肢側外部), migraine caused by flu, i-myeong(耳鳴), laryngalgia, hyung-hyeop-tong(胸脇痛), unfavorable menstruation, yu-nyo(遺尿), yu-ong(乳癰), Bell’s palsy, hyeon-hun(眩暈), nak-chim(落枕), hemiplegia, pains in breast and limbs, paralyzed limbs, pneumonia, malaria, eye inflammation, elbow gul-shin-bul-li(屈伸不利), and mok-oi-ja(目外眥). Medications according to ju-chi of oi-gwan and jok-im-eup are mentioned in ‘Chim-bang-yuk-jip(針方六集)⋅Bang-tong-jip(旁通集)’:so-shi-ho-tang(小柴胡湯), dae-shi-ho-tang(大柴胡湯), bang-pung-tong-seong-san(防風通聖散), on-dam-tang (溫膽湯) and sam-hwa-tang(三和湯). These drugs have an attribute of sa-gi-hwa-hae-yak(邪氣和解藥) and effects of bal-yeol-hwa-hae(發熱和解) and sa-gi-sa-ha(邪氣瀉下), as their tastes affect heart, liver, gall bladder and large intestine. 본 연구는 팔맥교회혈(八脈交會穴)의 유주(流注) 및 혈의 위치와 팔맥교회혈의 상호 연관성⋅주치(主治)에 따른 약물처방으로 동의보감⋅방약합편⋅의학입문⋅만병회춘⋅금궤요략⋅의종금감의 의서(醫書)를 비교 분석하였다. 팔맥교회혈은 금대(金代) 최초로 『침경지남(鍼經指南)』에 부르기 시작하였으며, 외관(外關)과 족임읍(足臨泣), 후계(後谿)와 신맥(申脈), 내관(內關)과 공손(公孫), 열결(列缺)과 조해(照海)의 4쌍으로 팔과 다리의 말단은 기(氣)가 충만한 동적(動的)인 양(陽)의 기운이 인체의 근본이며, 시작의 부위가 기와 혈이 풍부한 상하배혈법(上下配穴法)으로써 교회하는 경맥의 작용이 비교회혈(非交會穴)보다 진단과 효과에 유리하여 치료범위가 넓고, 효과적인 침의 혈로 임상에서 사기(邪氣)를 제거하는 8개의 혈자리를 말한다. 외관과 족임읍은 그 정경인 수소양삼초경 및 족소양담경과 동일하며, 외관과 족임읍의 유주(流注) 또한 해당되는 경락과 일치한다. 외관과 족임읍의 상관관계(相關關係)로 육친의 상관성⋅순환노선의 상관성⋅오행상생의 상관성 등이 있는데 육친은 외관을 여자⋅족임읍을 남자로 구분하였으며, 순환노선은 수소양삼초경과 족소양담경이고, 오행상생은 외관을 화(火)⋅족임읍을 목(木)으로 하였다. 외관과 족임읍의 주치(主治)와 효능은 팔과 다리의 소양병과 양유맥 및 대맥의 질병과 관련되는 신체의 측면부분에 발생된 반표반리증(半表半裏症)으로 측흉부(側胸部)⋅측요부(側腰部)⋅상하지측외부(上下肢側外部)의 질환과 감기에 의한 편두통⋅이명(耳鳴)⋅후두통⋅흉협통(胸脇痛)⋅월경불리⋅유뇨(遺尿)⋅유옹(乳癰)⋅구완와사⋅현훈(眩暈)⋅낙침(落枕)⋅반신불수⋅유방과 수족의 통증⋅수족의 마비⋅폐렴⋅학질⋅결막염⋅팔꿈치의 굴신불리(屈伸不利)⋅목외자(目外眥) 등을 다스린다. 외관과 족임읍의 주치에 따른 약물 처방은 『침방육집(針方六集)⋅방통집(旁通集)』에 나타나 있는데, 소양경의 인체측면부를 치료하는 소시호탕⋅대시호탕⋅방풍통성산⋅온담탕⋅삼화탕으로 이들의 약물은 사기화해약(邪氣和解藥)의 성질과 맛이 심장⋅간⋅쓸개⋅대장으로 귀경(歸經)하여 발열화해(發熱和解)와 사기사하(邪氣瀉下)하는 효능이 있다.

      • KCI등재

        『동의보감』의 食餌文化와 脾胃病治에 관한 연구

        류서원 한국사상문화학회 2015 韓國思想과 文化 Vol.79 No.-

        This research considered diet culture(食餌文化) and treatment method(治法) of Bi⋅Wi disease among Ojangyukbu(五臟六腑) that undertake in 『Dong-uibogam(東醫寶鑑)』 written by Heojun(許浚) according to King Seonjo(宣祖) of Joseon Dynasty.. 『Dong-uibogam』 is a representative medical book(醫書) of absolute value of Korean medicine and creativity based on clinic and experience utilizing Hyangyak(鄕藥), which emphasized preventive medicine from the opening by reflecting Chimibyung(治未病) idea rather than treatment as a representative creative medical book of the Oriental medicine. Also, regarding treatment of disease, it in-depth discussed diet culture that prevents and treats disease with mental power and food based on mental culture rather than drug and acupuncture method.. Particularly, it emphasized self-starvation(節食) and selective meal(調食) for good health and long life(無病長壽), which is human's wish.. Diet culture of 『Dong-uibogam』 said that good food has the effectiveness as drug(藥), based on Yaksikdong-won(藥食同源), and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Sikchi(食治) based on Food therapy(食療治病), that is to treat disease with food, and Sikyakryobyeong(食藥僚病). It expertly specifies dietary method. Dietary method also means proper moderation of food along with disease type, which considered the shortcut to health and longevity(延年益壽) is to have meals at regulate time, and eating habits(食習慣) without imbalanced diet.. Diet culture in 『Dong-uibogam』 emphasized prevention rather than treatment of disease with proper moderation and control of food based on human fundamental cultivation and training, and said the way to good health and long life(無病長壽) up to healthy 100 is to combine general prescription and special prescription in case of occurrence of Bi⋅Wijang disease. 본 연구는 문헌적 고찰로 조선조 때의 선조의 명에 의거 허준의 찬술인 『동의보감』에 편찬되어 내재해 있는 식이문화와 음식의 생리기능을 담당하는 오장육부 중 비⋅위병의 치법에 관하여 살펴보고자 하였다. 『동의보감』은 향약(鄕藥)을 주로 사용하여 임상과 경험을 근간으로 한 동양의학의 대표적인 독창적 의서로 치료보다는 치미병(治未病)사상이 반영된 예방의학이 서두에 상세하게 기록되어 있다. 그리고 질병의 치료로써 약물과 침뜸의 방법보다는 정신력과 음식으로 질병을 예방하고 치료하는 식이문화에 대하여 매우 깊게 다루고 있다. 특히 인간의 염원인 무병장수를 위하여 음식의 절식과 조식(調食)을 적절하게 아주 잘 설명하고 있다. 『동의보감』의 식이문화는 약식동원(藥食同源)에 근거하여 좋은 음식은 약과 같은 효능을 나타냈다고 하였으며, 음식으로 질병을 치료하는 식료치병과 식약료병에 의한 식치(食治)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다. 식이방법으로는 음식유절⋅사시유절⋅오미유절⋅공복유절이 있다. 이러한 방법은 질병의 유형에 따라 음식의 적절한 절제를 의미하고 있으며, 일정한 시간에 식사를 하고, 편식하지 않는 음식의 식습관을 연년익수하는 지름길로 보았다. 아울러 비⋅위 병증의 구체적인 유형은 식적⋅식담⋅식역⋅식상⋅식궐⋅식비⋅식울⋅식학⋅반위⋅곡창⋅곡달의 11종류이다. 이 중 반위(反胃)에 관한 처방이 10종류로 가장 많았다. 처방에 많이 사용한 본초의 주(主)된 약물은 진피⋅신국⋅백출⋅창출⋅백복령⋅반하⋅향부자의 7종(種)으로 음식이 정상적으로 내려가게 하는 소식약물(消食藥物)과 조습건비(燥濕健脾)의 효능이 있는 방향화습약물(芳香化濕藥物)이다. 이상과 같이 고찰하여 볼 때 『동의보감』의 골격인 식이문화는 인간의 심성배양과 수양의 바탕위에 음식의 적절한 절제와 조절로 질병의 치료보다는 예방을 강조하고 있으며, 비(脾)⋅위(胃)에 관한 질병에 맞게 처방을 사용할 경우에 건강 100세 까지도 무병장수하게 되는 것이라 하였다.

      • KCI등재후보

        한국(韓國)의 문화(文化) : 『동의보감』의 식이문화(食餌文化)와 비위병치(脾胃病治)에 관한 연구

        류서원 ( Seowon Yu ) 한국사상문화학회 2015 韓國思想과 文化 Vol.79 No.-

        본 연구는 문헌적 고찰로 조선조 때의 선조의 명에 의거 허준의 찬술인『동의보감』에 편찬되어 내재해 있는 식이문화와 음식의 생리기능을 담당하는 오장육부 중 비·위병의 치법에 관하여 살펴보고자 하였다. 『동의보감』은 향약(鄕藥)을 주로 사용하여 임상과 경험을 근간으로 한 동양의학의 대표적인 독창적 의서로 치료보다는 치미병(治未病)사상이 반영된 예방의 학이 서두에 상세하게 기록되어 있다. 그리고 질병의 치료로써 약물과 침뜸의 방법보다는 정신력과 음식으로 질병을 예방하고 치료하는 식이문화에 대하여 매우 깊게 다루고 있다. 특히 인간의 염원인 무병장수를 위하여 음식의 절식과 조식(調食)을 적절하게 아주 잘 설명하고 있다. 『동의보감』의 식이문화는 약식동원(藥食同源)에 근거하여 좋은 음식은 약과 같은 효능을 나타냈다고 하였으며, 음식으로 질병을 치료하는 식료치병과 식약료병에 의한 식치(食治)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다. 식이방법으로는 음식유절·사시유절·오미유절·공복유절이 있다. 이러한 방법은 질병의 유형에 따라 음식의 적절한 절제를 의미하고 있으며, 일정한 시간에 식사를 하고, 편식하지 않는 음식의 식습관을 연년익수하는 지름길로 보았다. 아울러 비·위 병증의 구체적인 유형은 식적·식담·식역·식상·식궐·식비·식울·식학·반위·곡창·곡달의 11종류이다. 이 중 반위(反胃)에 관한 처방이 10종류로 가장 많았다. 처방에 많이 사용한 본초의 주(主)된 약물은 진피·신국·백출·창출·백복령·반하·향부자의 7종(種)으로 음식이 정상적으로 내려가게 하는 소식약물(消食藥物)과 조습건비(燥濕健脾)의 효능이 있는 방향화습약물(芳香化濕藥物)이다. 이상과 같이 고찰하여 볼 때 『동의보감』의 골격인 식이문화는 인간의 심성배양과 수양의 바탕위에 음식의 적절한 절제와 조절로 질병의 치료보다는 예방을 강조하고 있으며, 비(脾)·위(胃)에 관한 질병에 맞게 처방을 사용할 경우에 건강 100세 까지도 무병장수하게 되는 것이라 하였다. This research considered diet culture(食餌文化) and treatment method(治法) of Bi·Wi disease among Ojangyukbu(五臟六腑) that undertake in 『Dong-uibogam(東醫寶鑑)』 written by Heojun(許浚) according to King Seonjo(宣祖) of Joseon Dynasty.. 『Dong-uibogam』 is a representative medical book(醫書) of absolute value of Korean medicine and creativity based on clinic and experience utilizing Hyangyak (鄕藥), which emphasized preventive medicine from the opening by reflecting Chimibyung(治未病) idea rather than treatment as a representative creative medical book of the Oriental medicine. Also, regarding treatment of disease, it in-depth discussed diet culture that prevents and treats disease with mental power and food based on mental culture rather than drug and acupuncture method.. Particularly, it emphasized self-starvation(節食) and selective meal(調食) for good health and long life(無病長壽), which is human``s wish.. Diet culture of 『Dong-uibogam』 said that good food has the effectiveness as drug(藥), based on Yaksikdong-won(藥食同源), and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Sikchi(食治) based on Food therapy(食療治病), that is to treat disease with food, and Sikyakryobyeong(食藥僚病). It expertly specifies dietary method. Dietary method also means proper moderation of food along with disease type, which considered the shortcut to health and longevity(延年益壽) is to have meals at regulate time, and eating habits(食習慣) without imbalanced diet.. Diet culture in 『Dong-uibogam』 emphasized prevention rather than treatment of disease with proper moderation and control of food based on human fundamental cultivation and training, and said the way to good health and long life(無病長壽) up to healthy 100 is to combine general prescription and special prescription in case of occurrence of Bi·Wijang disease.

      • KCI등재후보

        특별기고 : 八脈交會穴(팔맥교회혈) 중 外關(외관)과 足臨泣(족림읍)의 主治(주치)에 관한 小考(소고)

        류서원 ( Seo Won Ryu ) 한국사상문화학회 2015 韓國思想과 文化 Vol.77 No.-

        본 연구는 팔맥교회혈(八脈交會穴)의 유주(流注) 및 혈의 위치와 팔맥교회혈의 상호 연관성ㆍ주치(主治)에 따른 약물처방으로 동의보감ㆍ방약합편ㆍ의학입문ㆍ만병회춘ㆍ금궤요략ㆍ의종금감의 의서(醫書)를 비교 분석하였다. 팔맥교회혈은 금대(金代) 최초로 『침경지남(鍼經指南)』에 부르기 시작하였으며, 외관(外關)과 족임읍(足臨泣), 후계(後谿)와 신맥(申脈), 내관(內關)과 공손(公孫), 열결(列缺)과 조해(照海)의 4쌍으로 팔과 다리의 말단은기(氣)가 충만한 동적(動的)인 양(陽)의 기운이 인체의 근본이며, 시작의 부위가 기와 혈이 풍부한 상하배혈법(上下配穴法)으로써 교회하는 경맥의 작용이 비교회혈(非交會穴)보다 진단과 효과에 유리하여 치료범위가넓고, 효과적인 침의 혈로 임상에서 사기(邪氣)를 제거하는 8개의 혈자리를 말한다. 외관과 족임읍은 그 정경인 수소양삼초경 및 족소양담경과 동일하며, 외관과 족임읍의 유주(流注) 또한 해당되는 경락과 일치한다. 외관과 족 임읍의 상관관계(相關關係)로 육친의 상관성ㆍ순환노선의 상관성ㆍ오행 상생의 상관성 등이 있는데 육친은 외관을 여자ㆍ족임읍을 남자로 구분하였으며, 순환노선은 수소양삼초경과 족소양담경이고, 오행상생은 외관을 화(火)ㆍ족임읍을 목(木)으로 하였다. 외관과 족임읍의 주치(主治)와 효능은 팔과 다리의 소양병과 양유맥및 대맥의 질병과 관련되는 신체의 측면부분에 발생된 반표반리증(半表 半裏症)으로 측흉부(側胸部)ㆍ측요부(側腰部)ㆍ상하지측외부(上下肢側外部)의 질환과 감기에 의한 편두통ㆍ이명(耳鳴)ㆍ후두통ㆍ흉협통(胸脇痛)ㆍ월 경불리ㆍ유뇨(遺尿)ㆍ유옹(乳癰)ㆍ구완와사ㆍ현훈(眩暈)ㆍ낙침(落枕)ㆍ반신불수ㆍ유방과 수족의 통증ㆍ수족의 마비ㆍ폐렴ㆍ학질ㆍ결막염ㆍ팔꿈치의 굴신불리(屈伸不利)ㆍ목외자(目外□) 등을 다스린다. 외관과 족임읍의 주치에 따른 약물 처방은 『침방육집(針方六集)ㆍ방통집(旁通集)』에 나타나 있는데, 소양경의 인체측면부를 치료하는 소시호탕ㆍ대시호탕ㆍ방풍통성산ㆍ온담탕ㆍ삼화탕으로 이들의 약물은 사기 화해약(邪氣和解藥)의 성질과 맛이 심장ㆍ간ㆍ쓸개ㆍ대장으로 귀경(歸經)하여 발열화해(發熱和解)와 사기사하(邪氣瀉下)하는 효능이 있다. This study compared and analyzed medical books such as ‘Dong-ui-bo-gam’, ‘Bang-yak-hap-pyeon’, ‘Ui-hak-im-mun’, ‘Man-byeong-hoi-chun’ and ‘Geum-gyue-yoryak’ for medications according to physiological and pathological concepts of Eight Confluent Acupoints(八脈交會穴), its yuju(流注) and places of acupuncture point, and its correlation and ju-chi(主治). Pal-maek-gyo-hoi-hyeol was named first in ‘Chim-gyeong-ji-nam(鍼經指南)’ in Geumdae(金代). It is composed of 4 pairs: oi-gwan(外關) and jog-im-eup(足臨 泣), hu-gye(後谿) and shin-maek(申脈), nae-gwan(內關) and gong-son(公孫), and yeol-gyeol(列缺) and jo-hae(照海); the root of human body is the dynamic energy of yang(陽) filled with energy in the ends of arms and legs; the starting point is the sang-ha-bae-hyeol-beop(上下配穴法) full of energy and blood; it refers to 8 acupuncture points that clinically remove sagi(邪氣), and its range of treatment is wide and effective because the action of meridians meeting together is more favorable for diagnosis and effect than bi-gyo-hoi-hyeol(非交會穴). Physiological and pathological concepts of oi-gwan and jok-im-eup are the same as triple energiger meridian and gallbladder meridian; yu-jus(流注) of oi-gwan and jok-im-eup are also identical with the relevant meridian system. As for the correlation(相關關係) of oi-gwan and jok-im-eup, there are correlation of yuk-chin(六親), of circulation route, and of five element-coexistence; yuk-chin classified oi-gwan as woman and jok-im-eup as man; circulation routes are triple energiger meridian and gallbladder meridian; five element-coexistence classified oi-gwan as hwa(火) and jok-im-eup as mok(木). Ju-chi(主治) and effects of oi-gwan and jok-im-eup is ban-pyo-ban-ni-jeung (半表半裏症) developed in the side parts of body related to so-yang-byeong(小 陽炳) in arms and legs and diseases in yang linking vessel meridian and dae-maek(帶脈); they cure diseases in cheuk-hyung-bu(側胸部), cheuk-yo-bu(側 腰部) and sang-ha-ji-cheuk-oi-bu(上下肢側外部), migraine caused by flu, i-myeong(耳鳴), laryngalgia, hyung-hyeop-tong(胸脇痛), unfavorable menstruation, yu-nyo(遺尿), yu-ong(乳癰), Bell’s palsy, hyeon-hun(眩暈), nak-chim(落枕), hemiplegia, pains in breast and limbs, paralyzed limbs, pneumonia, malaria, eye inflammation, elbow gul-shin-bul-li(屈伸不利), and mok-oi-ja(目外□). Medications according to ju-chi of oi-gwan and jok-im-eup are mentioned in ‘Chim-bang-yuk-jip(針方六集)ㆍBang-tong-jip(旁通集)’:so-shi-ho-tang(小柴胡 湯), dae-shi-ho-tang(大柴胡湯), bang-pung-tong-seong-san(防風通聖散), on-dam-tang (溫膽湯) and sam-hwa-tang(三和湯). These drugs have an attribute of sa-gi-hwa-hae-yak(邪氣和解藥) and effects of bal-yeol-hwa-hae(發熱和解) and sa-gi-sa-ha(邪氣瀉下), as their tastes affect heart, liver, gall bladder and large intestine.

      • 거북목 여성의 빈도별 정체경락(整體經絡) 처치가 척주형태 및 정적균형에 미치는 영향

        류서원 ( Ryu Seo-won ),김송자 ( Kim Song-ja ),장완성 ( Chang Wan-song ) 한국건강미용문화응용과학학회 2019 한국건강미용문화 응용과학회지 Vol.1 No.-

        본 연구는 거북목 증후군(Upper crossed syndrome) 자각증상을 호소하는 여성 15명을 대상으로 정체경락 프로그램을 주 3회(A집단), 2회(B집단), 1회(C집단) 빈도별로 처치하여 척주형태 및 정적균형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였다. 실험은 3D 체형검사장비(BackMapper)와 정적균형검사 장치(Tetrax)를 이용하여 집단 간, 시기별 각 변인을 산출하였다. 무선할당 된 A, B, C 집단의 시기 간 평균차이를 제시하기 위하여 반복측정 분산분석(general lineal model repeated ANOVA)을 실시하였고, 종속변인의 시기 간 주 효과가 나타난 사후검정은 대응표본 t-검정(paired t-test)을 실시하여 시기별 차이를 분석하였다. 실험기간은 11주이며, 각 집단에서 2주간 프로그램을 적용하였다. 각 집단별 프로그램 적용 후 10일 간 휴식기를 두었다. 그 결과 척주형태 변인 중부흉추후만각은 A, C집단 사전 사후비교에서 각각 감소(p<.05), 요추전만각은 A집단이 유의한 감소 차이를 나타냈고(p<.05), 요추만곡과 척주전방기울기, 그리고 척주좌우기울기는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정적균형검사 안정성지수는 A집단내 전·후 비교에서, C집단은 처치가 끝나고 10일 후 비교에서 유의한 감소 결과를 나타냈다(p<.05). 따라서 전신이완 정체경락 도수관리 프로그램은 거북목증후군 소견이 있는 여성 척주의 중부흉추후만각, 요추전만각, 그리고 정적균형검사 안정성지수에서 주 1회, 2회, 3회 처치는 각각 유용한 것으로 검토되었다.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11 week Systematic Relocation Program on spine form and Stability Index by treating the 11 week Systematic Relocation Program by frequency of three times a week (group A), twice a week (group B), and once a week (group C) among 15 people who complained of head forward symptom. The experiment was conducted using 3D shape inspection equipment (BackMapper) and static balance test device (Tetrax) to calculate each variable between groups and by time. General linear model speeded ANOVA was performed to show average difference between periods of radio-allocated A, B and C groups, and post-testing with main effects between periods of dependent variables was conducted to analyze differences by timing. The experimental period is 11 weeks, and the program was applied for 2 weeks in each group. After application of each group program, a 10-day break was held. As a result, kyphotic angle, which is the variation of spine form, decreased (p<.05) in group A and C, respectively, and lumbar angle showed significant reduction difference in group A (p<.05), lordotic angle and trunk increment angle, and trunk balance did not show any difference. Capability index showed significant reduction in comparison before and after group A and 10 days after treatment (p<.05). Therefore, the Systematic Relaxation Program is judged to be useful for treating the head forward symptom findings of the female at least once a week, lumbar angle, and stability index.

      • KCI등재후보

        한국의 의학보전(醫學寶典)인 『동의보감(東醫寶鑑)』에 내재한 보익약물(補益藥物)의 문헌적 고찰 - 인체의 양생(養生)을 위한 음양(陰陽)과 혈기(血氣)를 중심으로 -

        류서원 ( Ryu Seo-won ),임동호 ( Yim Dong-ho ) 한국사상문화학회 2017 韓國思想과 文化 Vol.86 No.-

        동양과 서양, 현재와 과거·미래를 불문하고 인류가 무병장수하고자 하는 욕망은 영원하게 변함이 없을 것이다. 인체의 질병원인은 동양사상의 근간이 되는 음양의 불균형과 기혈의 부족으로 實한 증상보다는 虛한 증상에 보편적 나타나고 있으며, 외부에 의한 영향보다는 인체 내부의 증상에 기인하는 경우가 많다. 본 연구는 인류의 염원인 延年益壽에 부응토록 『東醫寶鑑』 중 補益藥物을 중심으로 문헌적으로 고찰하였으며, 보익약물을 補陽藥物·補陰藥物·補氣藥物·補血藥物로 세분하였다. 보양약물은 신장의 양허증상을 치료하는 약물이며, 보음약물은 인체에서 허손된 진액을 生津시키는 약물이고, 보기약물은 생리기능과 체력저하의 경우에 유기체의 활동능력을 강화하는 약물이며, 보혈약물은 간신의 혈허증상을 造血해주는 약물이다. 보익약물의 대표적인 37種을 본초학 효능과 한의학의 기미론인 四氣와 五味등으로 분석 하였으며, 또한 보익약물의 性味에 근거하여 복용하는 경우에 신중을 기하거나 복용을 금하는 사항을 고찰하였다. 보양약물은 매운 맛이 43%, 단맛이 33%, 따뜻한 성질 71%로 매운맛과 단맛·따뜻한 성질이 主였으며, 보음약물은 단맛이 55%, 평이한 성질 56%, 차가운 성질71%로 단맛과 평이하며 차가운 성질이 主였고, 보기약물은 단맛이 90%, 따뜻하거나 평이한 성질 각각 50%로 단맛과 따뜻하거나 평이한 성질이 主였으며, 보혈약물은 단맛이 40%, 쓴 맛이 30%, 평이한 성질 50%, 따뜻한 성질 38%로 단 맛과 쓴 맛이 평이하며 따뜻한 성질이 主였다. 전체적으로 보익약물은 단맛이 50%를 나타내었으며, 따뜻한 성질 45%와 平易한성질 43%로 따뜻하거나 평이하였다. 보익약물은 거의 독성이 없었으나 37種중에 보음약물의 龜板이 독이 있었고, 보혈약물의 작약(芍藥)은 조금독이 있는 약물이었다. 연구의 결과와 같이 보익약물을 질병의 원인에 알맞게 적절히 복용하면 건강한 장수에 도움이 되며, 해당된 병의 원인을 개선 또는 치료하는 효과를 볼 수가 있다. 그러고 보익약물을 질병이 발생하기 전에 인체의 체질을 고려하여 평상시에 섭식하게 된다면 선천적인 원기를 보익하게 되며, 후천적인 장부를 튼튼하게 한다. 이는 예방의학의 `治未病`사상으로 면역력 향상과 인체의 항상성을 평상시 유지하게 되어 자연치유력을 향상시키는 계기가 될 것이다. The desire for healthy living and longevity will never change regardless of people the West, the East, the present, the past and the future. The cause of human diseases is based on unbalanced Yin and Yang, and lack of energy and blood which is essential to understand oriental thoughts are based, and is generally observed in weaker builds than solid builds. It also results from other internal problems than external impacts in many cases. This study focuses on beneficial drugs described in `Dongui Bogam` to implement the idea of Live Longer which every human being wants, and divides the beneficial drugs into drugs for vitalizing Yin, Yang, energy and blood. The drugs for vitalizing Yin are for treating the weak Yang of kidneys, and the drugs for vitalizing Yin are for facilitating the secretion of body fluids lost in a body. The drugs for vitalizing energy are for enhancing the capability of activity of human bodies when a patient experiences lower physiological functions and physical strength, and the drugs for vitalizing blood circulation are for forming blood to treat the symptom of insufficient blood in the liver and kidneys. In this study, exemplary 37 beneficial drugs are analyzed on the basis of the effects of medicinal herbs, and the energy and taste theory of Korean medicine, that is, Four Energies and Five Tastes. The advice is also described about caution while taking the beneficial drugs based on their properties and tastes, and the drugs that should not be taken. The drugs for vitalizing Yang included 43% of hot taste, 33% of sweet taste, and 71% of warm sensation, suggesting the main properties of hot taste, sweet taste and warm sensation. The drugs for vitalizing Yin included 55% of sweet taste, 56% of neutral property and 71% of cold property, suggesting the main properties of sweet taste, and neutral and cold properties. The drugs for vitalizing energy included 90% of sweet taste, and 50% of warm sensation or neutral properties, respectively, suggesting the main properties of sweet taste and warm sensation or neutral properties. The drugs for forming blood included 40% of sweet taste, 30% of bitter taste, 50% of neutral properties and 38% of warm sensation, suggesting the main properties of neutral sweet and bitter tastes and warm sensation. In general, the beneficial drugs had 50% of sweet taste, 45% of warm sensation and 43% of neutral properties, suggesting the warm sensation and neutral properties. The beneficial drugs were found almost not toxic, but the shell of reeve`s turtle was toxic and the peony under the blood-forming drug category was slightly toxic. As known from the result of this study, the beneficial drugs can be helpful for healthy living and longevity where taken to match the cause of disease, and improve the cause of and treat the relevant disease. If the beneficial drugs are taken on a regular basis before diseases occur in consideration of physical constitutions of patients, they can vitalize the fundamental energy, and make postnatal intestines healthy. This is the idea of `Preemptive Treatment` of the Preventive Medicine, and can enhance natural healing power of human bodies by enhancing the immune system thereof and normally keeping homeostasis of a human bod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