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생명 위기'의 시대, 기독교의 안식, 그리고 기독교교육

        류삼준,Ryu, Sam Jun 한국기독교교육학회 2021 기독교교육논총 Vol.- No.67

        본 연구는 현대사회가 과거에 비해 매우 심각한 '생명 위기'의 시대를 맞이한 것으로 보는 한편, 이러한 생명의 위기가 일반 교육은 물론 기독교교육에 있어서도 매우 시급하고 중요한 과제라는 점을 전제한다. 그 이유는 기독교가 생명을 소중하게 여기는 생명의 종교이며 이 생명의 위기에 대처해야 할 막중한 사명을 생명의 하나님께로부터 받았기 때문이다. 이에 본 연구는 기독교의 안식이 오늘날 생명의 위기와 밀접하게 관련된다는 전제하에 기독교교육이 생명 위기의 시대 가운데 실천해야 할 과제를 모색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삼는다. 보다 구체적으로 먼저 연구자는 현대사회를 성찰하여 오늘날 발생하는 주요 생명 위기의 현상에는 고의적 자해에 의한 죽음, 산업재해로 인한 사망 사고, 취약계층의 현실과 이에 대한 무관심 및 무감각, 그리고 자연환경의 파괴가 있다고 진단한다. 또한 이러한 생명 위기의 현상에 있어서 신자유주의, 성과주의, 소비지상주의와 물질만능주의, 이기주의와 인간중심주의가 그 원인으로 작용하고 있다고 비판한다. 그런 후에, 기독교의 안식에 대한 성서적 및 신학적 고찰을 바탕으로 생명의 위기와 긴밀하게 연관되는, 현대사회에서 기독교의 안식이 가진 목적과 의미를 삶과 생명의 주도권이 하나님께 있다는 사실의 인정, 생명력을 공급하시는 하나님과의 만남, 거룩한 삶으로서의 안식의 실천, '생명 사역'으로서의 안식에의 참여라고 해석한다. 끝으로 이러한 기독교의 안식이 가지는 목적과 의미를 바탕으로 기독교교육이 생명의 위기에 대처하기 위해서 적극적으로 실천해야 할 과제로 하나님께서 생명의 주관자가 되심을 일깨우는 교육, '생명문해력'을 함양하는 교육, 생명 위기에 저항하는 교육, 그리고 생명의 안녕과 평화를 추구하는 교육을 제안한다. The author considers that contemporary society has entered the era of 'life on earth in peril' as a very serious situation in comparison with the past, and assumes that this life-in-peril situation, known as 'life crisis,' is one of the most urgent and important issues in Christian education as well as in public education. This urgency and importance is mainly based on the belief that Christianity is the religion of life that values all living beings' life and all Christians have the sacred vocation to cope with this crisis of life on earth, given by the life-giving God. For this reason, this study aims at identifying some tasks that Christian education should perform in the era of imperiled life, premising that diverse life-threatening situations and circumstances in today's world are closely related to the Christian Sabbath. More specifically, first of all, this article analyzes some notable phenomena of the life crisis in the contemporary world, such as deaths from intentional self-harm (suicides), deaths from industrial accidents and disasters, the real-life situation of vulnerable populations, people's indifference and insensitivity to the situation, and natural environmental degradation, by reflecting on current global issues as well as issues in Korea. This paper also criticizes neoliberalism, productivism, consumerism, economic materialism, egotism, and anthropocentrism as ideologies for causing these phenomena. After the criticism, the author interprets, from biblical and theological perspectives on the Christian Sabbath, main purposes and meanings of the Sabbath for contemporary society that are deeply connected with the crisis of life on earth: confessing that God takes the initiative to govern every creature's living and being; building the relationship with the God who has given the power of life to all living beings; practicing the Sabbath rest by living a holy life; and participating in the Sabbath rest as 'life-giving ministry.' In conclusion, this article suggests Christian educational practices that confront the life crisis, rooted in the purposes and meanings of the Christian Sabbath: reminding participants of the belief that God is the source of life on earth; cultivating 'life literacy'; helping people to resist the crisis of life; and encouraging humans to pursue the well-being and peace of both humanity and the earth.

      • KCI등재

        인공지능 시대, 교회교육의 과제 : 아스머(Richard R. Osmer)의 실천신학의 네 가지 과제를 바탕으로

        류삼준 한국실천신학회 2023 신학과 실천 Vol.- No.86

        본 연구는 ChatGPT의 대유행으로 촉발된 인공지능이라고 하는 최근의 사회적 변 화와 시대적 요청에 대처하여 한국의 교회교육이 지향해야 할 과제를 제안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소고는 저명한 실천신학자이자 기독교교육학자인 아스머(Richard R. Osmer)가 제안한 실천신학의 네 가지 과제를 그 기초로 삼는다. 아스머의 실천신학의 과제들은 (1) 적절하고 유용한 자료를 수집하 고 이를 바탕으로 연구의 대상에 대한 올바른 이해를 추구하는 기술적-실증적 과제, (2) 연구 대상에 대한 이해에 더해 연구 대상과 관련된 상황, 원인, 이유 등에 대한 깊이 있는 분석을 시도하는 해석적 과제, (3) 앞선 두 과제의 결과를 바탕으로 종합학 문적인 접근을 통해 연구 대상과 관련된 신학적 및 윤리적 규범을 정립하는 규범적 과제, 그리고 (4) 정립된 규범을 바탕으로 기독교인과 교회가 실제로 실천에 옮길 수 있는 구체적이고도 실제적인 방안을 찾고 결단하며 실행하는 실용적 과제로 구성된 다. 이어서 본 연구는 이 네 가지 과제로부터 착안하여 한국교회가 실천하기에 힘쓸 교회교육의 과제로 (1) 인공지능 및 그 시대와 관련된 적절하게 선별된 자료를 바탕 으로 성도들로 하여금 인공지능의 시대를 명확하게 또 총체적으로 이해하고 분별하도 록 돕는 기술적-실증적 과제를, (2) 교인들로 하여금 인공지능에 대한 지식뿐만 아니 라 인공지능의 영향, 효과, 기저의 사상이나 신념 등을 기독교적 가치관 및 정신을 중 심으로 적절하게 파악하고 평가하도록 지원하는 해석적 과제를, (3) 하나님의 뜻과 인 간의 존엄성을 기초로 인공지능 시대에 요구되는 도덕적 및 윤리적 원칙을 교인들과 함께 (재)정립하는 규범적 과제를, 그리고 (4) 기독교인으로 하여금 이 원칙을 연속성 과 유연성의 조화, 상대적 약자에 대한 배려와 돌봄, 생명의 고귀함과 인간 존엄성의 수호라는 방향을 바탕으로 현실에서 구체적인 실천으로 바꿀 수 있도록 힘을 주는 실용적 과제를 제안한다. This study aims to propose the tasks that Korean church education should pursue in response to the recent societal changes and demands of the ‘artificial intelligence’(AI) era triggered by the unprecedented trend of ChatGPT. To achieve this goal, this paper is grounded in the four tasks of practical theology proposed by world-renowned practical theologian and Christian education scholar Richard R. Osmer. Osmer’s practical theology tasks consist of (1) the descriptive-empirical task of collecting appropriate and useful data and seeking a proper understanding of the subject matter of practical theology, (2) the interpretive task of delving into an in-depth analysis of situations, causes, reasons, and related aspects connected to the subject matter, in addition to the understanding, (3) the normative task of (re)establishing theological and ethical norms related to the subject matter through interdisciplinary approache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previous two tasks, and (4) the pragmatic task of searching, making decisions, and embodying concrete and practical ways of action for Christians and churches, grounded in these (re)established norms. Subsequently, this article suggests the tasks of Korean church education, aligned with these four foundational tasks, as follows: (1) the descriptive-empirical task that assists individuals in clearly and comprehensively understanding and discerning the AI era through appropriately selected resources, (2) the interpretive task that enables Christians to aptly scrutinize and evaluate not only knowledge about AI but also its impact, effects, underlying ideologies, or beliefs, within the context of Christian values and spirit, (3) the normative task that (re)constructs, in conjunction with congregations, moral and ethical principles demanded by God’s will and human dignity in the age of AI, and (4) the practical task that empowers communities to transform these principles into concrete actions of Christian faith and living in reality, based on a harmonious blend of continuity and flexibility, consideration and care for the vulnerable, and the preservation of the sanctity of life and human dignity.

      • KCI등재

        2015 개정 종교학 교육과정과 개신교 통일교육

        류삼준 한국종교교육학회 2020 宗敎敎育學硏究 Vol.64 No.-

        본 연구는 2015 개정 종교학 교육과정의 취지와 개신교계 종립학교의 비판 및 요구 사이의 접점을 찾는 작업의 하나로, 최근에 이뤄진 개신교 통일교육 및 종교교육의 연구 중 매우 드물게 2015 개정 종교학 교육과정과 개신교 통일교육 사이의 '비판적 (실천) 상관관계'를 시도하고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먼저 본 연구는 '비판적 (실천) 상관관계'에 앞서, 통일과 통일교육의 중요성이 상당한 바, 개신교 통일교육과 공교육이 각각의 특성과 장점을 바탕으로 종교학 교육과정에 대해 '통일이란 주제를 중심으로 서로 대화할 가능성과 필요성이 있음을 지적하고 있다. 이어서, 본 연구는 2015 개정 종교학 교육과정이 '다종교·다문화 감수성'의 함양, '비판적 성찰 능력'의 증대, 통일의 필요성에 있어서의 보편성, 다른 통일교육과의 대화 가능성으로서의 보편성, 또 학습자의 상황 및 특성을 반영하는 보편성의 확대라는 측면에서개신교 통일교육에 기여할 수 있음을 밝히고 있다. 그런 후에, 역으로 개신교 통일교육의 관점에서 종교학 교육과정의개선을 지향할 때, 향후의 종교학 교육과정은 그 내용에 '북한의 종교'를 포함할 것과, 평화와 갈등 해소의 추구를 포함한 종교의 사회적‧공적 역할을 보다 구체적으로 서술할 것, 그리고 환대, 돌봄, '평화 지향의 세계 시민'과 같은 종교와관련된 '통합역량'을 추가할 것을 제안하고 있다.

      • KCI등재

        '일상적 창의성'(everyday creativity)의 기독교교육적 함의에 대한 고찰

        류삼준 한국기독교교육학회 2016 기독교교육논총 Vol.48 No.-

        This study aims at discovering the Christian educational implications of ‘everyday creativity’ as a theory of contemporary creativity studies. For this purpose, by reviewing literature and past studies on creativity, the study reveals that ‘everyday creativity’ is a representative term of theories based on the universality and everydayness of creativity–regarding creativity as native to all human beings and maintaining that people need to unfold their creativity in every aspect of their lives. Then, by integrating main theories of several preceding and following scholars who have similar perspectives on creativity to Richards’ ‘everyday creativity’ into the term ‘everyday creativity,’ the study describes some important features of ‘everyday creativity’ as follows: First, ‘everyday creativity’ proposes that creativity is revealed in diverse forms and levels by all humans, not just by special and privileged persons. Second, it focuses on individual potential and lives in terms of the recognition and embodiment of creativity. Third, it values the creative process more than the creative product. Fourth, it regards creativity as an ability closely related to all aspects of life, and particularly with regards to the ordinary lives of people. Fifth, ‘everyday creativity’ assumes that humans are able to grow and develop their lives better through their creativity. Sixth, it claims that creativity can improve all humans’ health and well-being. Seventh, it assumes the connection between creativity and problem finding as well as problem solving. Subsequently, based on the concepts and features of ‘everyday creativity’ discussed previously, the study defines some essential implications for Christian education as follows: First, Christian education needs to consider each participant as a diverse individual. Second, it must acknowledge the development and actualization of creative potential within participants as an important task. Third, it needs to make creativity a persistent theme within lifelong education, not just for childhood education. Fourth, Christian education needs to expand its perspective and scope regarding creativity. Fifth, it needs to value the act of seeking meaning and beauty within the small things of everyday life. Sixth, it should regard creativity as one of the energies for practicing the participants’ faith. In conclusion, the study proposes some important themes necessarily discussed by the following studies for incorporating concepts and features of ‘everyday creativity’ into Christian education in the future, maintaining the necessity of the ‘critical correlational method’ between the psychological theories of ‘everyday creativity’ and Christian education. The first theme is a theological or Christian educational discourse on the publicity of creativity. Second, it is necessary to reflect on the Christian, theological, or religious elements and features in the concept of creativity Third, future studies need to establish Christian education’s own perspectives and theories about the meaning of creativity education, the educability of creativity, and educational methods for creativity education. Finally, the following studies require scrutinizing concrete situations where Christian education occurs, including situations unique to Korea, and finding practical ways to connect ‘everyday creativity’ with specific contexts. 본 연구는 현대 창의성 연구의 한 입장인 ‘일상적 창의성’의 개념과 특징이 기독교교육에 시사하는 바가 무엇인지를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우선 창의성 연구의 다양한 문헌들을 고찰하여, 창의성 연구에 있어서 창의성의 보편성 ― 창의성을 모든 인간이 가지고 있는 본성으로 보는 ― 과 창의성의 일상성 ― 인간의 모든 생활의 영역에서 창의성이 발휘될 필요가 있다는 ― 을 주창하는 입장이 있으며, 이러한 입장을 대표하는 용어가 ‘일상적 창의성’임을 밝힌다. 그리고 리차즈를 비롯하여 그의 이전과 이후의 많은 연구자들에 의해 주창되고 보완되어온 유사한 입장을 ‘일상적 창의성’이란 이름으로 종합하여 ‘일상적 창의성’의 주요 특징을 다음과 같이 서술한다. 첫째, ‘일상적 창의성’은 창의성을 특별한 사람의 전유물이 아닌 모든 인간에게서 다양한 형태와 수준으로 나타나는 것으로 본다. 둘째, 창의성의 식별 및 발현에 있어서 개인의 잠재력과 삶에 초점을 맞춘다. 셋째, 창의성과 관련하여 결과보다는 과정에 주목한다. 넷째, 창의성을 삶의 모든 면과 연관된, 특히 평범한 일상생활과 연관된 것으로 본다. 다섯째, 창의성의 향유를 통해 인간이 더 성숙하고 삶이 더 발전할 수 있다고 전제한다. 여섯째, 창의성이 인간의 건강과 안녕에 기여한다고 본다. 일곱째, 창의성을 문제의 해결만이 아닌 문제의 발견과도 관련되는 것으로 간주한다. 이어서 본 연구는 이와 같은 ‘일상적 창의성’의 개념과 특징을 바탕으로 기독교교육의 발전을 위해 다음과 같은 몇 가지 시사점을 제시한다. 첫째, 기독교교육은 모든 교육참여자를 각각의 개인으로 존중할 필요가 있다. 둘째, 교육참여자의 창의적 잠재력의 계발과 실현은 기독교교육의 중요 과제 중 하나이다. 셋째, 창의성은 아동기만이 아닌 인간의 전생애를 통해 교육되어야 한다. 넷째, 기독교교육은 창의성과 관련된 관점 및 연구 범위를 확대할 필요가 있다. 다섯째, 기독교교육에 있어서 삶의 소소한 부분에서도 그 의미와 아름다움을 발견하는 것은 중요하다. 여섯째, 창의성을 신앙적 앎의 실천을 위한 원동력 중 하나로 삼아야 한다. 끝으로, 본 연구는 ‘일상적 창의성’ 이론과 기독교교육학 사이의 ‘비판적 상관관계적’ 연구의 필요성을 전제하면서 앞으로 기독교교육이 ‘일상적 창의성’을 활용함에 있어서 필수적으로 논의되어야 할 후속 연구의 주제 몇 가지를 다음과 같이 제안한다. 첫째, 창의성의 공공성 측면에 대한 신학적 혹은 기독교교육적 논의가 필요하다. 둘째, 창의성의 개념과 관련된 기독교적, 신학적 혹은 종교적 요소에 대한 성찰이 필수적이다. 셋째, 창의성 교육의 의미와, 교육가능성, 그리고 교육방법에 있어서 기독교교육만의 독자적 입장과 이론의 정립이 중요하다. 넷째, 기독교교육의 구체적 현장, 특히 한국의 고유한 상황에 대한 고려를 통한 ‘일상적 창의성’의 실제적 활용 방안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 KCI등재

        2015 개정 종교학 교육과정과 개신교 종교교육

        류삼준,손원영 한국종교교육학회 2016 宗敎敎育學硏究 Vol.51 No.-

        이 논문의 목적은 2015년 9월, 교육부가 확정하여 고시한 초⋅중등학교 교육과정의 일부인 종교학 교육과정(2015 개정 종교학 교육과정)에 대한 개신교 종교교육적 의미를 밝히는 것에 있다. 이러한 목적을 바탕으로 본 논문은 우선 2015 개정 종교학 교육과정의 특징 및 장단점을 비판적으로 성찰하고 있다. 이러한 비판적 성찰의 결과에 따르면 이번 종교학 교육과정은 그 체계적 구성이 돋보이며 다문화⋅다종교 사회에 있어서 종교교육의 필요성을 역설하는 교양교육의 성격을띤다는 긍정적인 측면을 가지고 있다. 반면 그 종교학적 성격에 대한 지나친 강조로 인해 교육부와 종립학교 간의 갈등을 야기할 수 있으며 실효성에도 의문이 든다는 문제점도 가지고 있다. 그렇기 때문에 개신교계 종립학교가 이번 종교학 교육과정을 효율적으로 운영하기 위해서는 자신들의 정체성 및 설립이념을 견지하는 한편, 기존의 개신교 종교교육 및 교육과정의 개념을 재개념화하여 인성⋅영성교육적 종교교육, 성찰적 종교교육, 간종교교육, 예술을 통한 종교교육, 잠재적 교육과정을 활용한 종교교육을 실천할 필요가 있다. 또한 차후 개정될 종교학 교육과정은 신앙교육적 종교교육과 종교학적 종교교육의 조화를 현실화할 수 있는 원리를 토대로 그 실천 방안, 영성개념, 체험적 (혹은 참여적) 앎을 포함하고 일선 현장의 실태와 요구를 반영할 필요가 있다.

      • KCI등재

        '래버린스 걷기' 대한 고찰과 그 활용 방안

        류삼준 한국기독교교육학회 2023 기독교교육논총 Vol.- No.75

        연구 목적 : 본 연구는 이론과 실제를 다룬 다양한 문헌들을 바탕으로 아직 한국교회에 널리 소개되지 않은 기독교 영성훈련의 하나인 ‘래버린스 걷기’를 고찰하고 그 활용 방안을 제안하는 연구이다. 연구 내용 및 방법 : 이에 본 연구는 먼저 래버린스 걷기가 무엇인지를 역사적으로 고찰하여 래버린스 걷기가 바닥에 설치된 주로 하나의 경로를 가진 래버린스 위를 걸으면서 기도나 묵상을 하는 중세에 있었던 영성수련이었고 현재의 래버린스 걷기는 수백 년간 명맥이 끊겼던 전통을 20세기 중후반에 다시 재해석해서 실천해 온 것임을 밝힌다. 이어서 예수님의 고난과 구원, 세례, 순례, 정화 등을 상징하는 래버린스를 걷는 활동은 준비하기, 기도나 묵상을 하면서 걷기, 중심에 머물기, 돌아 나오기, 기록하고 나누기의 다섯 단계의 과정으로 구성됨을 설명한다. 이처럼 순례, 걷기, 기도, 묵상 등이 어우러진 래버린스 걷기는 일상으로부터의 벗어남, 하나님과의 만남 및 동행, 평안과 치유의 경험, 자아와 삶의 성찰, 삶의 변화를 위한 결단, 공동체의식의 함양 등의 의미와 역할을 지니고 있어 한국교회에서도 성도들의 신앙과 영성의 성숙을 도울 수 있기에 그 활용의 가치가 높다고 볼 수 있다. 결론 및 제언 : 이에 본 연구는 한국교회가 다양한 방법으로 기도를 실천하는 의미에서 예식 및 교회 활동의 일부로, 또 순례를 구현하는 차원에서 정적이며 비언어적 활동인 래버린스 걷기를 적극적으로 활용할 것을 제안한다. 이때 한국교회는 래버린스 걷기의 적절한 목적을 선정하고 래버린스를 제작하고 설치할 때 다양한 유의사항을 고려하며 몇 가지 중요한 규칙을 준수할 필요가 있다. Purpose of study: This study aims to explore ‘labyrinth walking,’ a lesser-known Christian spiritual practice within the Korean church. Additionally, it intends to propose ways for implementing labyrinth walking through literature reviews encompassing theory and practice. Research content and method: The article begins with its exploration by defining labyrinth walking from a historical perspective. It was a spiritual practice that existed in the Middle Ages, involving the traversal of a labyrinthine shape, typically a single path on the floor, often accompanied by prayer or contemplation. The contemporary spiritual practice of labyrinth walking was recovered and reinterpreted by Christian scholars and spiritual directors during the mid and late twentieth century. Additionally, within Christianity, labyrinth walking, rich with symbolism representing Jesus’ suffering and salvation, baptism, pilgrimage, and purification, comprises five essential steps: preparing, walking with prayer or contemplation, remaining in the center, returning, and journaling and sharing. By merging pilgrimage, walking, prayer, and meditation, the practice of walking the labyrinth can enable people to have an opportunity for retreat, to encounter and be accompanied by God, to experience moments of serenity and healing, to reflect on themselves, to create life-transforming resolutions, and to build a sense of community. As a result, many Korean churches should acknowledge the value of and utilize labyrinth walking to nurture faith and spirituality. Conclusions and Suggestions: Accordingly, this paper suggests some practical ways to employ labyrinth walking as a form of prayer, part of a ritual or religious activity, an embodiment of pilgrimage, and a tranquil and nonverbal experience. Furthermore, the study recommends that Korean churches establish proper goals, consider essential principles for labyrinth design and installation, and follow specific guidelines while conducting labyrinth walks.

      • KCI등재

        기독교 영성교육에 있어서 교수-학습과정의 원리에 대한 고찰

        류삼준(Sam Jun Ryu) 한국기독교교육정보학회 2016 기독교교육정보 Vol.0 No.50

        본 연구는 기독교 영성교육과 교수-학습과정, 각각의 중요성 및 이 둘의 연결에 대한 학문적 필요성을 전제로 기독교 영성교육의 교수-학습과정이 그 선정, 실행 및 평가에 있어서 지향해야 할 주요 원리를 성찰·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는 이러한 성찰과 제안의 토대가 되는 기독교 영성과 영성교육의 개념 및 특성을 살펴본 바, 기독교 영성을 인간의 실존적 본성이자 그 구체적인 존재양식으로 전제하고 있으며, 이를 바탕으로 기독교 영성교육은 곧 교육 참여자의 영적 존재로서의 자기 인식, 전인적 성숙과 변화, 하나님의 신비와 일상적 삶의 연결, 신앙적 실천, 삶의 변화와 향유를 돕고 격려하는 것을 그 목적과 내용으로 함을 밝히고 있다. 그런 후에 본 연구는 기독교 영성교육에 있어서 교수-학습과정은 다음과 같은 여섯 가지 원리에 근거할 것을 제안하고 있다. 첫째, 기독교 영성교육의 교수-학습과정은 교육참여자로 하여금 하나님의 현존과 진리의 경험을 기대하고 준비하도록 돕는 ‘개방성’의 원리에 근거할 필요가 있다. 둘째, 내면과 외면의 모든 것에 적극적으로 집중하고 경청하도록 격려하는 ‘민감성’의 원리에 입각할 필요가 있다. 셋째, 교육참여자 간의 서로에 대한 존중과 각자의 자기주도성에 바탕을 두고 유기적·인격적 관계를 추구하는 ‘상호주관성’의 원리를 바탕으로 할 필요가 있다. 넷째, 인간 존재의 모든 요소와 영역 간의 연계를 전제하는 ‘통전성’의 원리를 지향할 필요가 있다. 다섯째, 교육 행위에 직접적으로 참여함으로써 영성을 발현하도록 돕는 ‘참여성’의 원리에 근거할 필요가 있다. 여섯째, 교육참여자 간의 친밀감, 상호신뢰, 안전감, 책임감 및 협력 등을 장려하는 ‘공동체성’의 원리를 지향할 필요가 있다. This study aims at reflecting on and suggesting some essential principles of the teaching-learning process in Christian spirituality education as the principles of planning, implementing, and evaluating teaching methods and learning experiences for spiritual growth. For its purpose, the study identifies Christian spirituality as a basic human nature and its lived experiences. Based on this concept of Christian spirituality, this study also describes some important characteristics of Christian spirituality education as educating for people’s self-identification of being spiritual, holistic development and transformation, integrated life of mystery and everydayness, praxis, and changes and enjoyment in life. After this description, the study suggests six principles of the teaching-learning process in Christian spirituality education as follows. First, the principle of ‘openness’ means that the education needs to help participants expect the presence of God and truth. Second, the principle of ‘sensitivity’ states that the education should encourage Christians to turn their attention to inner and outer voices and movements. Third, the principle of ‘inter-subjectivity’ refers to the organic and reciprocal relationship among people based on mutual respect and self-directedness. Fourth, the principle of ‘wholeness’ implies the interconnectedness of all elements and aspects of human beings. Fifth, the principle of ‘participancy’ means that Christian spirituality education aims at helping participants actualize their spiritualities through learning. Sixth, the principle of ‘communality’ refers to the encouragement of people’s intimacy, mutual trust, safety, accountability and collaboration.

      • KCI등재후보

        코로나 이후 교회학교의 교사가 갖춰야 할 전문성에 대한 고찰 및 제언

        류삼준 ( Sam Jun Ryu ) 한국교회교육·복지실천학회 2022 교회교육·복지실천 연구 Vol.4 No.1

        본 소고는 코로나 이후라는 시대 상황에서 교회학교 교사에게 요구되는 전문성이 무엇인지를 성찰하고 이러한 전문성을 향상시키는 길을 제안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최근 현대사회의 특징으로 부각되고 있는 4차 산업혁명 및 코로나와 밀접하게 관련되는 전문성으로, (1) 개인의 성숙 및 관계의 강화를 추구하는 멘토링 역량, (2) 급변하는 사회에 필요한 자기주도성의 함양과 동기 부여에 힘쓰는 지도력(리더십), (3) 디지털 시대와 문화를 올바르게 분별하여, 코로나 이후를 살아가는 디지털 문해력, 그리고 (4) 교회학교 구성원 간의, 변화와 위기에 함께 대처하는 협업 능력을 제시하고 있다. 그리고 이러한 전문성의 향상을 위해 필요한 (1) 인식의 변화 및 연구 등에 힘쓰는 교회학교 교사 개인적 차원에서의, (2) 교사개인을 지원하고 다양한 형태의 교사교육을 제공하는 개별 교회 차원에서의, (3) 개인과 개교회를 구조적 및 재정적으로 지원하는 교단 및 공교회 차원에서의 실천 방향 및 방안을 제언하고 있다. This study aims to reflect on the professional competencies that equip church school teachers in the era of post-COVID-19, and to suggest the ways to improve these competencies. Accordingly, this paper proposes four competencies closely related to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and COVID-19 as notable characteristics of the contemporary world, as follows: (1) the mentoring competency to empower personal growth and relationships, (2) the leadership to strive for nurturing self-directedness and self-motivation necessary for a rapidly changing society, (3) the digital literacy to live after COVID-19 by properly discerning the digital age and culture, and (4) the ability to collaborate among members of the church school for coping together with changes and crises. In addition, the article suggests practical directions and processes necessary to promote these competencies, as follows: (1) the efforts to change perceptions and study at the individual level of a church school teacher, (2) the practices to support individual teachers and provide various forms of teacher education at the local church level, and (3) the tasks to empower individuals and local churches by offering structural and financial supports at the denomination and the universal church level.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