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리프팅 기반 이산 웨이블렛 변환의 디지트 시리얼 VLSI 구조

        류동훈,박태근,Ryu, Donghoon,Park, Taegeun 대한전자공학회 2013 전자공학회논문지 Vol.50 No.9

        본 논문에서는 리프팅 기반 일차원 (9,7) 이산 웨이블렛 변환(Discrete Wavelet Transform, DWT) 필터에 대한 효율적인 디지트 시리얼 VLSI 구조를 제안하였다. 제안한 구조는 연산을 디지트 단위로 처리하여 하드웨어 자원 소모량을 줄이고 승산기를 단순한 쉬프트와 덧셈 연산으로 대체하여 하드웨어를 최소화하였다. 적절한 데이터 비트할당을 위하여 PSNR을 분석하였고 이에 따라 입 출력 및 내부 데이터에 대한 비트를 정하였다. recursive folding 방식의 스케줄링을 적용할 때에 피드백에 의한 데이터 레이턴시로 인한 성능저하가 되지 않도록 설계하였다. 제안된 구조는 디지트 시리얼 구조를 통해 적은 하드웨어 자원을 사용하면서 100% 하드웨어 효율을 유지할 수 있도록 설계함으로써 하드웨어 비용과 성능을 동시에 고려하였다. 제안된 구조는 VerilogHDL로 모델링 하여 검증하였고 Synopsys사의 Design Compiler로 동부하이텍 0.18um 표준 셀 라이브러리를 사용하여 합성하였으며 2 input NAND 게이트 기준 3,770개의 게이트 수와 최대 동작주파수 330MHz의 결과를 얻었다. In this paper, efficient digit-serial VLSI architecture for 1D (9,7) lifting-based discrete wavelet transform (DWT) filter has been proposed. The proposed architecture computes the DWT in digit basis, so that the required hardware is reduced. Also, the multiplication is replaced with the shift and add operation to minimize the hardware requirement. Bit allocation for input, output, and the internal data has been determined by analyzing the PSNR. We have carefully designed the data feedback latency not to degrade the performance in the recursive folded scheduling. The proposed digit-serial architecture requires small amount of hardware but achieve 100% of hardware utilization, so we try to optimize the tradeoffs between the hardware cost and the performance. The proposed architecture has been designed and verified by VerilogHDL and synthesized by Synopsys Design Compiler with a DongbuHitek $0.18{\mu}m$ STD cell library. The maximum operating frequency is 330MHz with 3,770 gates in equivalent two input NAND gates.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통화당사자 일방의 동의를 받은 제3자 통화녹음의 통신비밀 보호법 위반 문제에 대한 재고찰 - 대법원 2002. 10. 8. 선고 2002도123 판결을 중심으로 -

        류동훈(Donghoon Ryu) 대검찰청 2023 형사법의 신동향 Vol.- No.78

        2022. 9. 29. 통신비밀보호법(이하 ‘통비법’이라고만 한다) 일부개정안(의안번호: 17633)이 발의되었다. 대화자 일방이 상대방 동의 없이 대화를 녹음하지 못하게 하고그 위반시 처벌한다는 것이 주요 골자다. 현행 통비법이 대화에 참여한 당사자 녹음의경우를 처벌하고 있지 않아 상대방의 사생활의 자유를 침해할 수 있다는 이유에서다. 당사자 녹음에 대해 불법성 인식이 없었던 상황에서 이에 대한 찬성과 반대의 의견이갈리고 있다. 그리고 이는 아래 2002년 선고된 대상판결에서부터 끊이지 않은 통비법의 주된 쟁점이었다. 사실관계는 이러하다. 피고인은 공소외 A를 고발할 목적으로 공소외 B로 하여금 A 에게 전화를 걸어 고발 관련 내용으로 통화를 하게하고 그 내용을 녹음한 것으로 공소제기되었다. 검사는 피고인이 ‘공개되지 아니한 타인간의 대화를 녹음’하였다고 주장하였다. 그러나 대법원은 전화통화는 –타인간의 대화가 아닌- ‘전기통신’에 해당함이 명백하다며, 전기통신의 ‘감청’은 제3자가 그 통신의 당사자인 수신인과 송신인의 동의를 받지 않고 전자장치나 기계장치 등을 사용하여 통신의 음향 등을 청취ㆍ공독하여그 내용을 지득하거나 채록하는 등의 행위를 하는 것이므로, 제3자인 피고인이 전화통화의 일방당사자인 공소외 B의 동의만을 받고 그 상대방인 공소외 A 모르게 통화내용을 녹음하는 것은 통비법이 금지하고 있는 ‘감청’에 해당한다고 판단하였다. 그러면서전화통화의 일방당사자가 그 상대방 모르게 통화내용을 직접 녹음하는 것은 통비법이금지하고 있는 ‘감청’에 해당하지 않는다고 하였다. 일방당사자가 직접 녹음하는 후자의 경우는 사생활 및 통신의 불가침을 국민의 기본권의 하나로 선언하고 있는 헌법 규정과 통신비밀의 보호와 통신의 자유 신장을 목적으로 제정된 통비법의 취지에 위배되지 않는다는 것이다. 헌법 규정과 통비법의 취지에 비추어 본다면 오히려 일방당사자가 상대방 모르게 직접 녹음하는 경우 역시 ‘감청’으로 보아 처벌해야 하는 것 아니냐는 반론이 제기되는 이유이다. 반론은 타당한가. 한편 대상판결은 피고인의 행위가 ‘감청’에 해당한다며 그를 처벌하면서도 그 감청행위에 ‘동의’한 일방당사자 공소외 B의 행위에 대해서는 아무런 언급을 하지 않는다. 검사가 공소외 B에 대해 공소를 제기하지 않았기 때문일 것이나, 이는 공판 과정에서도 제대로 검토되지 않았기 때문이다. 제3자가 개입된 경우는 일방당사자가 상대방 모르게 직접 녹음하는 -‘감청’에 해당하지 않는다는- 경우와는 달리 보아야 마땅하다. 당사자 사이 내밀한 통화내용이 제3자에게 공개 또는 누설되기 때문이다. 통비법은 제정이래 ‘감청’의 정의와 그 처벌 대상이 되는 행위 규정에 대해 내용면에서 개정된 적이없다. 이는 대상판결의 논리적 흠결에 기여하고 있다. 이에 본고에서는 대상판결에서 쟁점이 되었던 ⅰ) 전화통화가 ‘전기통신’인지 여부를 간단히 살펴본 후, ⅱ) 전화통화의 녹음이 ‘감청’인지 ‘대화녹음’인지 여부를 검토하고, ⅲ) 제3자가 일방당사자의 동의를 받아 녹음하는 경우와 일방당사자가 상대방 모르게 직접 녹음하는 경우를 다르게 취급하는 것이 타당한지 살펴본다. 그리고 ⅳ) 현행통비법의 입법 불비를 지적하며 그 개정을 제안하고자 한다. The Protection of Communications Secrets Act was enacted in 1993 with the aim of protecting the confidentiality of what is communicated by the public and to increase their freedom of communication. The sco pe of the restrictions on the confidentiality and freedom of communicati on and dialogue was minimized, and going through strict procedures pre scribed by law was mandated in applying the restrictions. Hence, in pri nciple, “wiretapping” without the consent of the concerned parties is pr ohibited and punishable. What is problematic is the concept of “wiretapping,” and the Supreme Court ruling below that had been made in 2002 is still giving rise to this problem. The facts are as follows. The defendant was indicted for asking B, w ho had not been indicted, to call A by phone and talk about the details related to the charges, and recording the conversation with the intention of accusing A, who had not been indicted. The prosecutor claimed th at the defendant had recorded an undisclosed dialogue between other pe ople. However, the Supreme Court made it clear that a phone call corre sponds to telecommunication, not to dialog between other people, and made a ruling that the act by the defendant, a third party, of recording the details of the call with just the consent of B, one party who had n ot been indicted, unbeknownst to A, the other party who had not been indicted, corresponds to “wiretapping,” which is prohibited by the Protec tion of Communications Secrets Act, since “wiretapping” is an act of ac quiring the knowledge of or recording the details by listening to the so und of a communication through the use of electronic or mechanical dev ices by a third party, without receiving the consent of the recipient and the sender of that communication. On the other hand, it was ruled that the act of directly recording the details of a phone call by one party of the call, unbeknownst to the other party, does not correspond to “wiret apping,” which is prohibited by the Protection of Communications Secret s Act. It means that the latter case, in which one party makes a recor ding directly, does not violate the intent of the constitutional provisions that declare the inviolability of privacy and communication as one of th e basic rights of the people, and the Protection of Communications Secr ets Act which was enacted with the aim of protecting the confidentialit y of what is communicated and to increase the freedom of communicati on. Judging by the intent of the constitutional provisions and the Protec tion of Communications Secrets Act, a counterargument can be raised t hat punishment is needed all the more since the case of one party mak ing a recording directly, unbeknownst to the other party, can also be s een as “wiretapping.” Is the counterargument appropriate? …

      • KCI등재

        착오로 이체된 가상자산의 임의 소비와 횡령·배임죄 - 대법원 2021. 12. 16. 선고 2020도9789 판결에 대한 비판적 검토를 중심으로 -

        류동훈 ( Ryu Donghoon ) 연세법학회 2023 연세법학 Vol.41 No.-

        Concerning the issue in which bitcoins that had been transferred by mistake were consumed arbitrarily, the Supreme Court denied the establishment of breach of trust (target ruling) by judging that the person who had arbitrarily consumed the transferred bitcoins does not correspond to a “person who has the custody of another's property” in breach of trust by arguing that virtual assets do not have to be protected to a degree that is equivalent to a legal tender when criminal law is applied since they are not regulated in accordance with a legal tender, according to the laws up to the present, and since they are accompanied by transaction risks in spite of the fact that virtual assets have characteristics that differentiate them from general assets. Is this a valid conclusion? First, we need to examine the nature of breach of trust. The recent position of the Supreme Court seems to partially shift from the existing betrayal theory which maintains that inflicting property damage by betraying the trust of others is the essence, to the violation of duty theory for business transactions which argues that the essence is the violation of duty regarding business transactions. From the attitude in which the establishment of breach of trust had been broadly acknowledged for even civil cases, based on the betrayal theory, it is an attempt to examine more rigorously whether or not it can be established from a position that is close to the violation of duty theory for business transactions, for which the limitation of scale is relatively clear. This is a desirable change according to the principle prohibiting analogical interpretation or extensive interpretation in the principle of legality or the principle of subsidiarity of the criminal law. However, since the meaning of violation of duty regarding business transactions is still ambiguous as well, it seems most reasonable to judge whether there is a benefit and protection of the law that is worth protecting penally so that the principle of legality is not violate, while following the principle of subsidiarity of the criminal law at an appropriate point between the betrayal theory and the violation of duty theory for business transactions. Then, do virtual assets have no criminal protection value like the judgment of the target ruling? With the revision of the Act on Reporting and Use of Certain Financial Transaction Information on March 24, 2020, a large part regarding virtual asset transactions has been included within the boundary of our legal system. The argument of the target judgment which denied the establishment of breach of trust, by denying the criminal protection value equivalent to a legal tender, is no longer appropriate.

      • KCI등재

        공소제기 후 수사기록 열람·등사권의 실질적 보장방안에 관하여 - 검사의 법원 결정 불이행의 문제를 중심으로 -

        류동훈(Ryu Donghoon) 대검찰청 2018 형사법의 신동향 Vol.0 No.60

        형사절차에서 검사가 가진 권한은 막강하다. 수사 밀행성에 따라 검사의 정보독점권도 강화된다. 이에 대해 피의자나 피고인에게 스스로를 보호할 수 있는 방안을 제공하여 주자는 것이 무기대등주의의 취지이다. 피의자나 피고인에게 검사와 같은 국가기관의 힘을 동등하게 부여하는 것이 가능하지 않다면, 검사가 보유한 증거나 정보에 대한 접근권을 보장하여 주는 것이 하나의 방안이 될 것이다. 여기에 증거개시제도의 도입 실익이 있다. 증거개시(Discovery)는 소송당사자 사이 각자의 상대방 또는 제3자로부터 소송 관련 증거자료의 수집을 위해 상호 요청에 따라 각 당사자의 보유·관리하는 정보를 공유 하도록 하는 변론 전 절차의 하나로, 우리 형사소송법은 2007년 개정으로 이를 제도화 하였다. 검찰과 피고인이 서로 대등한 위치에서 공격과 방어를 할 수 있도록 상호 보유·관리하고 있는 자료를 사전에 공유할 수 있게 하고, 이로써 사안의 쟁점, 해당 자료의 증거 활용성 여부 등을 미리 정리하여 둠으로써 피고인의 방어권 신장과 공판중심 주의의 강화에 기여코자 한 것이다. 그러나 도입 이후 10여 년이 지난 현재, 도입 당시의 기대를 충족할 만큼 제도가 효과적으로 운용되고 있는지 의문이다. 특히, 피고인에게 유리한 자료의 개시가 제도적으로 담보되지 못하고 있다는 사정은 증거개시제도의 존립실익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점에서 주목할 필요가 있다. 검사가 개시를 거부한 증거에 대해 법원이 개시 허용을 결정한 경우, 검사에게 법원 결정의 이행을 강제할 현행법상 수단은 존재하지 않는다. 검사는 법원의 결정을 무시하고 최초의 판단대로 해당 증거를 개시하지 않을 수 있고, 그렇다면 실질적 무기대등주의의 실현을 위한 증거개시제도의 도입 취지는 형해화되어 버린다. A prosecutor’s rights in criminal cases are extremely powerful. The secret nature of investigation adds power to their so-called ‘information monopoly.’ This is where ‘the Principle of Equal Weapons’comes in, which is referred to as giving the defendant a means to protect him/herself. If the defendant or suspect is not able to exercise corresponding rights as to that of government authorities, namely the prosecution, the best scenario in that case would be granting them an access to evidence or information held by the prosecutor. This highlights the practical aspect of discovery. Discovery process is one of the pre-trial procedures, which enables the parties in a dispute to share information upon mutual request. In Korea, this process was institutionalized after the Criminal Procedure Law was amended in 2007. The intent behind this was to allow the defendant and prosecutor to share materials they have in advance, thereby enabling them to decide before trial whether they would use these materials as case evidence. Consequently, discovery seeks to strengthen the defendant’s defense rights as well as reinforcing trial-oriented court proceedings. Ten years have passed since the adoption of discovery, yet it is questionable whether the process is effective enough to satisfy people’s expectations that rose in its initial stage. In particular, we must pay attention to the fact that in current circumstances where the defendant is not institutionally guaranteed with disclosure of evidence to his/her advantage, the very existence of discovery process could be jeopardized. Even if the court decides to permit discovery refused by the prosecutor, there is no means to compel the prosecutor to comply with the decision. The prosecutor can simply ignore and adhere to his/her initial plan not to disclose requested evidence, which then makes this process aimed to realize ‘the Principle of Equal Weapons’ obsolete.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