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더덕 추출물이 마크로파지 활성과 발효 중 젖산균 성장에 미치는 영향

        임상동,김기성,도정룡,Lim Sang-Dong,Kim Kee-Sung,Do Jung-Ryong 한국축산식품학회 2006 한국축산식품학회지 Vol.26 No.1

        더덕의 마크로파지 활성 효과를 평가하고, 발효유에 첨가 할 경우 젖산균 성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실시하였다. NO 분비능과 $IL-1{\alpha}$는 더덕 열수 추출물을 $1,000\;{\mu}g/mL$ 첨가하였을 때 유의성 있게 증가하였다. $TNF-{\alpha}$는 더덕 열수추출물 및 알콜 추출물 공히 $1,000\;{\mu}g/mL$ 첨가하였을 때 유의성 있게 증가하였다. 마크로파지 활성은 더덕 알콜 추출물 보다 열수 추출물이 더 높았다. 더덕 열수 추출물이 젖산균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 결과, 더덕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젖산균 성장이 억제되었고, pH는 완만히 감소됨에 따라 발효유에 더덕 열수 추출물을 첨가할 경우 Set type보다는 Stirred type이나 Drink type으로 해야 발효유 제조에 적합할 것으로 보인다. We examined the macrophage activity of Codonopsis lanceolata and its effect on the growth of lactic starter culture when it was added to fermented milk. Nitric oxide(NO) and interleukin-1${\alpha}(IL-1{\alpha})$ were increased significantly(p<0.05) by addition of Codonopsis lanceolata water extract at $1,000\;{\mu}g/mL$. Tumer necrosis factor-${\alpha}(TNF-{\alpha})$ was increased significantly (p<0.05) by addition of Codonopsis lanceolata water extract or 70% ethanol extract at $1,000\;{\mu}g/mL$. Water extract of Codonopsis lanceolata showed higher macrophage activity than 70% ethanol extract. Growth of lactic starter culture was inhibited by the increased addition of Codonopsis lanceolata water extract, resulting in less decrease in pH. A stirred type or drink type fermentation process seemed mote suitable than a set type in proper production of Codonopsis lanceolata extract added fermented milk.

      • KCI등재

        능이버섯 추출물의 생리활성 효과

        이혜진(Hye-Jin Lee),도정룡(Jeong-Ryong Do),정성근(Sung Keun Jung),김현구(Hyun-Ku Kim)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14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43 No.5

        능이버섯의 추출용매 및 추출물의 농도에 따른 생리활성 효과를 측정하였다. 능이버섯 분말과 추출용매의 비율을 1:50으로 하고 물, 30%, 60% 및 90% 에탄올을 추출용매로 사용하였다. 수율 측정 결과, 추출용매에 따라 각각 52.10%, 46.90%, 41.50% 및 32.20%로 에탄올 농도가 낮을수록 추출 수율이 높았다. 능이버섯의 DPPH 라디칼 소거능은 60% 에탄올 추출물이 4 mg/mL일 때 40.40%의 활성으로 가장 높았고, 농도 의존적인 경향을 나타냈다. 총 폴리페놀 함량은 DPPH 라디칼 소거능과 같이 60% 에탄올 추출물이 가장 많았고, 1 mg/mL에서 16.23 mg/g으로 측정되었다. SOD 유사활성에서는 능이버섯 1, 2, 4 mg/mL 농도가 56.30~77.05%의 활성으로 표준물질인 ascorbic acid 10 mg/mL의 56.19%보다 유의적으로 우수한 활성을 보였다. 아질산염 소거작용 측정 결과, 산성조건인 pH 3.0에서 높은 소거능을 보였고 추출용매에 따라 30% 에탄올 추출물의 아질산염 소거능이 가장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ACE 저해 활성에서는 모든 추출물이 52.67%~89.52%로 높은 활성을 나타냄에 따라 능이버섯의 다양한 생리활성 효과를 알 수 있었다. 이에 따라 능이버섯에서 유래한 천연 기능성 식품으로서의 이용 가능성을 엿볼 수 있었으며, 나아가 능이버섯의 최적 추출조건 확립 등의 연구를 통해 활성이 우수한 천연 항산화제의 개발 가능성을 높일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Physiological properties of Sarcodon aspratus extracts were investigated. Yields of water, 30, 60, and 90% ethanolic extracts were 52.10, 46.90, 41.50, and 32.20%, respectively. The 2,2-diphenyl-1-picrylhydrazyl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60% ethanolic extract was 40.40% at a concentration of 4 mg/mL, which was highest of all the extracts. The polyphenol content of 60% ethanolic extract was the highest at 16.23 mg/g at a concentration of 1 mg/mL. Superoxide anion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were 56.30~77.05% at concentrations of 1, 2, and 4 mg/mL, which were better than the ascorbic acid activity (56.19% at 10 mg/mL) (P<0.05). Nitrite-scavenging ability was the most effective in 30% ethanolic extract. A pH level of 3.0 was the most effective for all extracts. Angiotensin-converting enzyme inhibitory activities of Sarcodon aspratus extracts were from 52.67 to 89.52%.

      • KCI등재

        반응표면분석에 의한 능이버섯 추출물의 추출조건 최적화

        이혜진(Hye-Jin Lee),정성근(Sung-Keun Jung),도정룡(Jeong-Ryong Do),김현구(Hyun-Ku Kim)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15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44 No.3

        능이버섯의 수율과 항산화 활성을 측정하여 효율적 추출조건을 예측하기 위해 마이크로웨이브 에너지, 에탄올 농도, 추출시간의 요인 변수를 중심합성법에 따라 설정하여 반응표면분석을 통해 최적화 조건을 설정하였다. 능이버섯 추출물의 수율, 전자공여작용, 총 폴리페놀 함량, SOD 유사 활성에 대한 반응표면의 회귀식 R<SUP>2</SUP>값이 각각 0.97, 0.90, 0.80 및 0.87로, 수율, 전자공여작용 및 SOD 유사 활성이 각각 P<0.001, P<0.05 및 P<0.05 수준에서 유의성이 인정되었다. 능이버섯은 요인 변수에 따라 수율은 마이크로웨이브에너지의 영향을 가장 많이 받았고, 에탄올 농도에 따른 영향도 있었다. 그 외 종속변수인 전자공여능과 SOD 유사 활성은 에탄올 농도에 따른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추출물의 각 특성을 모두 만족시키는 최적의 추출조건의 범위는 superimposing 하여 마이크로웨이브 에너지 78~88 W, 에탄올 농도 39~57%, 추출시간 3.5~9분으로 예측되었다.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RSM) was used to monitor extraction characteristics of extracts from Sarcodon aspratus. Based on a central composite design, independent variables were microwave power (30∼150 W), ethanol concentration (0∼100%), and extraction time (1∼9 min). Dependent variables were yield, electron-donating ability, total phenol contents, and SOD-like activity. Coefficients of determination (R<SUP>2</SUP>) for dependent variables ranged from 0.80 at 0.97. The maximum extraction yield was 50.28% under conditions of 125.1 W microwave power, 18.67% ethanolic concentration, and 7.06 min extraction time. The maximum extraction electron-donating ability was 22.14% under conditions of 31.09 W, 45.76%, and 4.32 min. The maximum extraction total polyphenol content was 30.54 mg tannic acid equivalent/g at 122.54 W, 48.05%, and 8.36 min. The maximum extraction SOD-like activity was 33.44% at 121.17 W, 47.42%, and 8.41 min. Based on superimposition of four dimensional RSM with respect to extraction yield, electron-donating ability, total polyphenol content, and SOD-like activity obtained under various extraction conditions, optimum ranges of extraction conditions were found to be microwave power of 78∼88 W, ethanol concentration of 39∼57%, and extraction time of 3.5∼9 min.

      • KCI등재

        알긴산 올리고당이 고콜레스테롤식이를 급여한 마우스의 지질대사에 미치는 영향

        백수연(Su-Yeon Back),김현구(Hyun-Ku Kim),정승기(Seung-Ki Jung),도정룡(Jeong-Ryong Do)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14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43 No.4

        본 연구는 고콜레스테롤 식이를 급여한 마우스의 지질대사에 알긴산 올리고당이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실험동물은 4주령 된 수컷 apoE 마우스를 사용하였으며, 정상군, 고콜레스테롤 식이대조군, 알긴산 올리고당 5%와 10% 첨가군으로 나누어 6주간 급여하였다. 실험식이는 AIN-93G 식이를 기본으로 하여 콜레스테롤(1%, w/w)을 혼합하였으며, 알긴산 올리고당을 각각 5%와 10% 수준으로 혼합하였다. 실험기간 동안 증체량은 고콜레스테롤 식이대조군에 비해 알긴산 올리고당 10% 첨가군이 약 7.6%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P<0.05). 장기조직 중 신장 주변지방과 부고환지방의 무게는 고콜레스테롤 식이대조군이 정상군에 비해 각각 42.6%, 27.6%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P<0.05). 반면 알긴산 올리고당 첨가군은 신장 주변지방과 부고환지방 무게가 고콜레스테롤 식이대조군보다 2배 이상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P<0.05). 고콜레스테롤 섭취는 혈청 중 총 콜레스테롤, 중성지방, LDL-콜레스테롤 수준을 정상군보다 각각 16%, 12%, 47.1% 유의적으로 증가시켰으며, 반면에 알긴산 올리고당 10%를 섭취한 경우 고콜레스테롤 식이대조군보다 각각 57.5%, 51.4%, 82.9% 유의적으로 감소시켰다(P<0.05). 혈청 HDL-콜레스테롤 함량은 실험군간 유의적 차이는 크게 나타나지 않았으나, 전체 콜레스테롤에 대한 HDL-콜레스테롤 비율에서 알긴산 올리고당 첨가군이 유의적으로 높았다(P<0.05). 간 조직 내 지질 수준은 고콜레스테롤을 섭취했을 경우 정상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증가하였으나, 알긴산 올리고당 10%를 섭취했을 때 고콜레스테롤 식이대조군보다 총 콜레스테롤 함량은 3배 이상, 중성지방 함량은 33.5%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P<0.05). 고콜레스테롤 식이군에서 나타난 분변 내 총 콜레스테롤 함량은 알긴산 올리고당 10% 첨가군에서 정상군보다 21%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P<0.05). 이상의 실험 결과 고콜레스테롤 식이와 알긴산 올리고당을 함께 섭취한 마우스는 체중 감량과 장기 내 지방의 중량을 감소시켜 비만 예방효과가 있고, 혈액, 간지질 및 분변 지질 수준의 개선 효과가 높아 지질대사와 관련된 만성질환 예방에 효과가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alginate oligosaccharide on lipid metabolism in mice fed a high-cholesterol diet for 6 weeks. Male apoE mice were assigned to four groups: normal diet group (N), high-cholesterol diet group (HC), HC with 5% alginate oligosaccharide group (HC-AOL), and 10% alginate oligosaccharide group (HC-AOH). Epididymal adipose tissue and kidney adipose tissue weights were significantly reduced in the HC-AOH group by 131.4% and 148.4%, respectively, as compared to the HC group. Serum total cholesterol (TC), triglyceride (TG), and LDL-cholesterol levels were also significantly reduced in the HC-AOH group by 57.5%, 51.4%, and 82.9%, respectively, as compared to the HC group. Hepatic TC and TG levels in the HC-AOH group were significantly reduced by 72.3% and 33.5%, respectively, as compared to the HC group. These results indicate that alginate oligosaccharide might improve lipid metabolism and reduce fat accumulation.

      • SCOPUSKCI등재

        해조성분 강화 기능성소금에 대한 연구

        김영명(Young Myoung Kim),변지영(Jee Young Byun),남궁배(Bae Namgung),조진호(Jin Ho Jo),도정룡(Jung Ryong Do),인재평(Jae Pyung In) 한국식품과학회 2007 한국식품과학회지 Vol.39 No.2

        해조성분 강화 기능성소금 3종(Hizikia mineral salt, fucoidan salt, laver salt)을 제조하여 일반적 품질특성 및 무기성분 조성, 용해도, 관능특성 및 ACE 저해활성과 bile acid 결합력을 알아보았다. 수분함량은 Hizikia mineral salt의 경우 대조시료와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fucoidan salt와 laver salt는 상대적으로 높은 수분함량을 나타내었다. 염도는 해조성분 강화 기능성소금 3종 모두 대조사료 보다는 약간 낮은 값을 나타내었고 pH는 Hizikia mineral salt의 경우 11.34보 다소 높은 값을, fucoidan salt와 laver salt은 6.88과 6.53으로 중성에 가까운 값을 나타내었으며, ORP는 -229㎷에서 38㎷로 월등히 낮은 값을 나타내었다. 기능성 소금의 L, a, b 값은 모두 정제염 보다는 약간 어두운색을 나타내었다. 무기물 함량은 Hizikia mineral sal에서 혈압 저하에 효과가 있는 무기성분인 K? 함량이 다량 함유되어 있었으며 용해도는 Hizikia mineral salt가 다소 떨어지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나 큰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관능특성을 알아본 결과 Na? 이외의 미네랄 성분을 다량 함유하고 있는 Hizikia mineral salt를 제외한 나머지 fucoidan salt, laver salt에서는 색을 제외한 모든 항목에서 높은 점수를 받아 조미기능성 염으로서도 사용가치가 기대되었다. 또한, laver salt는 54.8% 수준의 ACE 저해 활성값을 나타내었으며, fucoidan salt는 54.1-80.7% 수준의 높은 bile acid 결합특성을 각각 나타냄으로서 콜레스테롤 대사 및 혈압조절 기능성을 갖고 있는 것으로 사료되었다. In an attempt to develop functional salts having beneficial health effects, we experimentally prepared three functional salts by fortification with soluble seaweed minerals (Hizikia mineral salt, HMS), fucoidan (fucoidan salt, FS) and laver extracts (laver salt, LS). To characterize the functional salts, their physicochemical properties and in vitro functionalities, such as pH, color, mineral composition, solubility, oxidation-reduction potential, sensory properties, angiotesin converting enzyme (ACE) inhibitory activity, and bile acid binding capacity were investigated. The functional salts revealed slightly lower NaCI concentrations, but showed a variety of pH values compared with conventional table salt. The pH values of HMS, FS, and LS were 11.3, 6.8, and 6.5, respectively. The oxidation-reduction potentials (ORP) of the functional salts varied from -229 mV to 38 mV, significantly lower than refined salt. The functional salts were significantly darker in color than refined salt, and the mineral composition of HMS was considerably enriched compared to refined salt, particularly in potassium ion. As a result of the sensory evaluation, FS and LS were comparatively palatable in saltiness, pungency, bitterness, and overall acceptance compared with refined salt. It was also found that one functional salt had ACE inhibitory activity (54.8% in LS) and another had bile acid binding capacity (80.7% in F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