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유아의 창의적 성향 및 자기조절 능력이 놀이성에 미치는 영향

        노진형(Jin Hyeong Noh),고희선(Hee Seon Koh) 한국아동학회 2019 아동학회지 Vol.40 No.4

        Objectives: This study analyzed the influence of creative disposition and self-regulation on childrens playfulness. Methods: The participants were 485 children (aged 3-5) attending kindergartens in C city. The data were analyzed by means of descriptive statistics, Pearson’s correlation,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using SPSS 23.0. Results: First, a significantly high positive correlation was found between creative disposition, selfregulation, and playfulness. Second, children’s playfulness was mostly affected by specialty, a sub-factor of creative disposition; by self-evaluation, a sub-factor of self-regulation; and by independence-patience, another sub-factor of creative disposition. Conclusion: The findings demonstrate how creative disposition and self-regulation can contribute to the improvement of childrens playfulness.

      • KCI등재

        IPA 기법을 통한 민주시민교육에 대한 유아교사의 중요도-실행도 분석

        노진형(Noh, Jin-Hyeong),손환희(Son, Hwan-Hee)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9

        목적 본 연구는 유아교육현장의 민주시민교육에 대해 유아교사들이 중요하다고 인식하는 내용과 실행되고 있는 내용은 무엇인지를 IPA분석을 통해 살펴보았다. 방법 먼저 민주시민교육에 대한 이론적 검토를 바탕으로 교사용 설문지를 작성하여 부산광역시와 경상남도에 소재한 유치원과 어린이집에 재직 중인 교사 275명 대상으로 2020년 11월 13일부터 11월 30일까지 조사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민주시민교육에 대한 중요도와 실행도의 평균과 표준편차를 산출하고 대응표본 t-검증과 중요도-실행도 분석(IPA)을 실시하였다. 결과 첫째, 민주시민교육 인식은 전체적으로 중요도에 비해 실행도가 낮았으며, 하위요소별로는 자타 문화 이해, 인간의 존엄성, 합리적 의사결정, 공익과 공공선, 합의 도출 과정 순으로 중요도-실행도에 대한 인식 간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IPA 매트릭스를 통한 민주시민교육에 대한 유아교사들의 중요도와 실행도 차이를 알아본 결과, 중요도와 실행도가 모두 높아 지속유지 영역에 분류된 요소는 인간의 존엄성, 공익과 공공선, 합의 도출 과정으로 나타났으며, 자타 문화 이해와 합리적 의사결정은 중요도와 실행도가 모두 낮은 우선순위 영역으로 분류되었다. 결론 민주시민교육에 대해 유아교사들이 중요하게 인식하는 요인과 실재 수행하는 정도 간의 비교하고 분석한 결과를 토대로 유아교육현장에서 민주시민교육을 활성화하는 교육적 여건 조성과 유아교사의 민주시민교육에 대한 지원 방안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Objectives This study examined what early childhood teachers perceive as important and what is being implemented for democratic citizenship education in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field through IPA analysis Methods After questionnaire for teachers was made based on the theoretical review of democratic citizenship education, a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on teachers in kindergartens and day care centers located in Busan and Gyeongsangnam-do from 13 November to 30 November 2020, and the response data of 275 people were analyzed. Results First, Perception of democratic citizenship education was generally lower in performance than in importance. By sub-factors, differences in perception of importance and performance were found in the order of understanding on culture, human dignity, rational decision-making, public interest and public good, and consensus-building process. Second,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difference in importance and performance of early childhood teachers on democratic citizenship education through the IPA matrix, the elements classified in the sustainable maintenance area (with high levels of importance and performance) were human dignity, public interest and public good, and consensus-building process. And importance and performance of understanding on culture and rational decision-making were classified as low priority areas. Conclusion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measures to reconsider early childhood teachers awareness of democratic citizenship education and to improve the quality of teacher education were discussed.

      • KCI등재

        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들의 그림책 읽기 경험과 의미

        노진형 ( Noh Jin Hyeong ),박순선 ( Park Soon Sun ) 한국유아교육학회 2016 유아교육연구 Vol.36 No.4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들의 그림책 읽기 경험과 그 의미를 알아보기 위한 것으로 4명의 어머니가 참여하였다. 2015년 12월 1일부터 2016년 3월 31일까지 주 1회 총 17회 실시되었으며. 한 회당 2시간 30분 정도 시간이 소요되었다. 어머니들이 의논하여 총 4권의 책을 선정하였고, 이를 연구 참여자의 집을 번갈아가며 모여서 책을 읽고 면담을 실시하여 녹음하였으며, 녹음된 자료는 연구자가 당일 전사하였다. 전사된 자료는 차회기에 연구 참여자들에게 나누어주고 확인하게 하였으며, 면담내용을 확인하기 위해 개인당 1-2회추가 면담을 실시하였고, 매회기별 그리고 수시로 저널을 작성하였다. 자료의 분석과 해석의 타당성을 높이기 위해 해석된 내용을 어머니들에게 다시 보여주는 연구 참여자 검증과정 (member check)과 자료의 다각화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그림책 읽기는 어머니들이 자신의 부모에 대한 분노와 공감을 통해 부모를 이해하는 경험을 하였다. 또한 자녀가 원하는 엄마의 모습으로 기다려주고, 들어주고, 웃어주는 엄마의 모습도 보였다. 이러한 그림책 읽기 경험은 소통과 치유의 매개자로서 그림책을 재발견하고 자신을 반성하게 하여, 어머니로서 성장하도록 하는 기회를 제공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그림책을 활용한 부모교육의 필요성을 제안하고자 한다. This study examined mothers’ experience and the meaning of reading picture books among mothers with children. The participants were 4 mothers and meet once in a every week for 17 week. It takes 2hours and 20 minutes for each meetings. The dialogues between mothers and the researcher in the process of the reading were analyzed. First, The experiences of reading books together were indicated to be the understanding of family-of-origin and family-of-origin parenting attitude and the understanding the relationships between child’s behavior and mothers parenting behavior, marital quarrels. Second, reading picture books allowed that mothers realize the parenting role needed by their child and tried to. The results of this study revealed that picture books had a meaning as a agent of healing and communication and friendly conversation with reading picture books provided opportunities of feeling of growth through self reflection.

      • KCI등재

        유아의 자기효능감과 정서조절능력이 또래유능성에 미치는 영향

        노진형(Noh, Jin Hyeong) 한국유아교육·보육복지학회 2014 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Vol.18 No.3

        본 연구는 유아의 자기효능감과 정서조절이 또래 유능성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봄으로써 유아의 또래 유능성을 증진시킬 수 있는 방안을 탐색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대상은 부산시 및 경남지역에 소재한 유치원 및 어린이집 유아 301명이다. 연구결과 유아의 자기효능감은 또래유능성과 유의미한 상관을 보였으며 특히 자기 효능감의 하위 변인인 사회정서적 효능감이 또래유능성과 가장 높은 상관이 있었다. 또한 유아의 정서조절능력과 또래 유능성과의 상관을 살펴본 결과 정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정서조절이 높을수록 또래유능성도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아의 자기효능감과 정서조절 역시 유의미한 정적 상관이 보고되었는데 유아의 자기효능감이 높을수록 자신의 정서를 조절하고 다른 사람의 감정을 이해하는 적응적 정서조절 행동이 높았으며, 분노유발 및 공격적 상황에서 자신의 부정적 정서를 적 절하게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유아의 또래유능성에 영향을 미치는 가장 영향력 있는 변인은 자기효능감의 하위 변인인 사회정서적 변인으로 설명력이 60%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effects of preschooler’ self-efficacy and emotion regulation on their peer competence.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301 young children aged 3 to 5 and their 23 teachers of kindergartens and child care centers in Busan and Kyungnam province. Data were analyzed by correlation, and multiple linear regression analysis through SPSS 14.0 program. The results of the study as follows. First, young children’s self-efficacy and emotion regulation were positively related to young children’s peer competence. Second, sub-variables of self-efficacy accounted for 60% of total scores on peer competence of young children. Finally, the implication for child guidance and research limitation were discussed.

      • KCI등재

        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종이그림책과 전자그림책에 대한 인식 및 활용실태 비교

        강혜원(Kang, Hye-Won),노진형(Noh, Jin-Hyeong) 한국교원대학교 유아교육연구소 2021 한국유아교육연구 Vol.23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종이그림책과 전자그림책에 대한 인식과 가정에서의활용실태의 차이를 살펴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경상남도 C시의 유치원과 어린이집에 재원하고 있는 유아의어머니 202명을 연구대상으로 하여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종이그림책과 전자그림책에 대한어머니의 인식은 그림책이 갖추어야 하는 기준, 책을 읽어주는 시기와 계기, 책의 효과 및 책을 읽어주는즐거움에 있어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종이그림책과 전자그림책의 활용실태에 있어서도 책의구입방법, 구입시 영향을 미치는 요인, 책을 읽어주기 시작한 시기, 책 읽는 빈도, 책을 읽는 시간대, 한번읽는데 걸리는 시간, 읽는 장소, 함께 읽는 사람, 읽을 때의 상호작용 및 유아가 이해하지 못하는 경우의대처법에서 차이가 나타났다. 유아의 문해 환경으로서 종이그림책과 전자그림책의 가능성과 한계에 대해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differences in perceptions of paper and electronic picture books of mothers and their utilization at home. A survey was conducted with 202 mothers of young children in C city of the South Gyeongsam Province. The data from the survey was analyzed using SPSS 23.0 for Windows.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ed that mothers’ perceptions of paper and electronic picture books were very different. They tended to believe that paper picture books were more suited for children, but also that electronic picture books were more focused on the acquisition of knowledge, making them more suited for children above the age of 3, thereby suggesting a difference in perception of both the effectiveness and enjoyment of books for children. There were also differences in how, when, and why picture books were bought, as well as when and where the picture books were read and peer interaction in regards to reading picture books. The results of the study suggest that it is necessary to provide more information for mothers with young children in regards to picture books, and that it is important that more high-quality electronic picture books are produced institutionally. Since there is a difference in how mothers tend to use picture books based on whether they are paper or electronic, education on how to utilize them to benefit an young children s development is also significant. Given the importance of a parent’s role in the prevention of media addiction in young children, there is an additional need for concrete guidelines on how to let children interact with picture books.

      • KCI등재

        어머니의 정서표현 양가성과 자녀와의 상호작용 간의 관계에서 어머니-교사 협력의 매개효과

        박선미(Park, Sun-Mi),노진형(Noh, Jin-Hyeong) 한국교원대학교 유아교육연구소 2020 한국유아교육연구 Vol.22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어머니의 정서표현 양가성과 어머니-유아 상호작용 간의 관계에서 어머니-교사협력의 매개효과를 알아보는데 있다. 이를 위해 C시의 유치원과 어린이집에 재원하고 있는 만 3세~만 5세유아의 어머니를 대상으로 하여 2018년 1월 19일부터 2018년 1월 31일까지 설문지를 배부, 수거하여 최종312부를 자료로 활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수집된 자료는 SPSS 23.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어머니의 정서표현 양가성, 어머니-교사 협력 및 어머니-유아 상호작용 간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어머니의 정서표현 양가성은 어머니-교사 협력 및 어머니-유아 상호작용과부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어머니-교사 협력은 어머니-유아 상호작용과 정적인 상관이 있는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어머니-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력을 살펴본 결과 어머니의 정서표현 양가성이어머니-교사 협력보다 영향력이 더 높게 나타났고, 설명력은 20%였다. 즉, 어머니의 정서표현 양가성이높을수록 어머니-유아 상호작용은 낮아짐을 의미하며, 어머니-교사 협력이 높을수록 어머니-유아 상호작용은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어머니-교사 협력은 어머니의 정서표현 양가성과 어머니-유아 상호작용과의관계를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어머니-유아 상호작용을 증진시키기 위해서 유아교육공동체 의식 형성 및 공동양육자로서 교사와의 협력을 통해 어머니에 대한 개인적, 정서적 지원이 제공되어야함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mediating effects of parent-teacher cooperat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mother s emotional expression ambivalence and mother-child interaction. In this study, 312 mothers of children aged 3-5 in C City were surveyed from January 19-31, 2018.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23.0.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parent-teacher cooperation and mother-child interactions. The ambivalence in mother s emotional expression was found to have a negative correlation with mother-teacher cooperation and mother-infant interaction, Second, ambivalence in a mother’s emotional expression had greater impact on mother-child interactions than on mother-teacher cooperation. Parent-teacher cooperation was found to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mother s emotional expression ambivalence and mother-child interaction. It was discussed that legitimate action is required to provide personal and emotional support for mothers, such as developing mediation programs related to emotion. The results also imply a need for father’s participation in household chores and child rearing since it enhances the ambivalence in a mother’s emotional expression.

      • KCI등재

        유아교육기관 원장의 변혁적 리더십이 교사효능감과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이경순(Lee Kyeong Sun),노진형(Noh Jin Hyeong) 한국육아지원학회 2013 육아지원연구 Vol.8 No.1

        본 연구는 유아교육기관 원장의 변혁적 리더십이 교사의 효능감과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 보기 위하여 실시되었다. C시에 소재한 유치원 및 어린이집 근무하는 교사 408명의 교사가 참여하였으 며 수집된 자료는 SPSS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통계처리하고, AMOS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원장의 변혁적 리더십과 교사의 효능감, 교사의 직무만족도 간의 관계를 구조화한 연구모형에 대한 검정을 실 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원장의 변혁적 리더십은 교사효능감과는 비교적 낮은 상관이, 교사의 직무만 족도와는 높은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둘째, 원장의 변혁적 리더십은 교사효능감과 교사의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쳤고, 교사효능감은 직무만족에 다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 결과 원장의 변혁적 리더십은 교사의 직무만족에 직간접적으로 영향력을 미치는 중요한 변인임을 알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the director's transformational leadership on efficacy and job satisfaction of early childhood teachers. The data collected from 408 teachers working at a kindergarten and childcare center located in Changwon.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with SPSS 14.0 and AMOS 19.0. The research findings we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director's transformational leadership perceived by teachers had a low level of correlation with teacher efficacy. Second, there were close correlations between the director's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nd job satisfaction in the order of relationships with the director and colleagues, working environment, wages and promotions, job satisfaction, and social recognition. The director's transformational leadership perceived by teachers had significant impacts on job satisfaction. Those findings need to develop programs and in-service training to promote the leadership of the directors of early childhood educational institutes and study on the strategies and factors to promote the director's transformational leadership.

      • KCI등재

        보육교사의 소명의식과 주관적 경력성공의 관계에서 협동적 조직문화의 병렬다중매개효과

        윤지현(Youn Ji-Hyeun),노진형(Noh, Jin-Hyeong) 한국유아교육·보육복지학회 2021 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Vol.25 No.3

        본 연구는 보육교사의 소명의식과 주관적 경력성공, 어린이집의 협동적 조직문화를 살펴보고, 소명의식이 주관적 경력성공에 미치는 영향을 협동적 조직문화의 다양한 변인이 매개하는지를 병렬다중매개효과를 통해 검증하였다. 연구의 대상은 경남지역에 소재한 어린이집에 근무하는 보육교사 221명이다. 연구도구로 소명의식, 협동적 조직문화, 주관적 경력성공을 사용하였으며, SPSS 22.0와 PROCESS Macro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상관분석, 병렬다중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보육교사의 소명의식, 어린이집의 협동적 조직문화의 그 하위변인, 주관적 경력성공 간의 정적으로 유의한 관련성이 나타났다. 둘째, 보육교사의 소명의식과 주관적 경력성공의 관계에서 교사의 협동성, 협동적 지도성, 동료지원, 학습동반자의 병렬다중매개효과를 살펴본 결과에 따르면 소명의식과 주관적 경력성공 간의 관계에서 교사의 협동성, 동료지원, 학습 동반자가 유의한 수준에서 병렬다중매개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는 보육교사의 주관적 경력성공에 영향을 미치는 소명의식과 어린이집의 협동적 조직문화의 중요성을 입증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보육교사의 주관적 경력성공에 대한 논의와 연구의 한계 및 향후 연구 방향에 대해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s between calling, and subjective career success of child care teachers, and the collaborative culture of child care centers, Further, the study aimed to verify the effects of various variables of collaborative culture on calling and subjective career success through parallel multiple mediating effect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221 teachers from child care centers in Gyeongsangnam-do. This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parallel multiple model verification method of SPSS 22.0 and PROCESS Macro program. The result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 among calling, collaborative culture and subjective career success. Second, According to a study of the parallel multiple mediation effects of collaborative leadership, peer support, and learning companion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alling and subjective career success, the relationship between calling and subjective career success was found to be complex at a signigicant level of cooperation, peer support, and learning partner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meaningful in that they prove the importance of calling and the collaborative culture in promoting the subjective career success of child care teachers. Based on the results, the study identified the limitations of the discussion and research on the subjective career success of child care teachers and suggested future directions for study.

      • KCI등재

        유아교사의 시민의식과 교육공동체 구현 실천행동이 민주시민교육 실행도에 미치는 영향

        손환희(Son, Hwan-Hee),노진형(Noh, Jin-Hyeo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7

        본 연구는 교육현장에서 민주시민교육의 필요성이 강조되는 시점에 민주시민교육을 실행하는 데 있어 유아교사의 시민의식과 교육공동체 구현 실천행동이 미치는 영향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에 유치원과 어린이집에 근무 중인 유아교사 총 275명을 대상으로 시민의식 척도와 교육공동체 구현 역량 척도, 민주시민교육 실행 척도를 사용하여 자료를 수집하고 기술통계, 상관분석 및 중다회귀분석을 이용하여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유아교사는 시민의식, 첫째, 교육공동체 구현 실천행동과 민주시민교육 실행도를 모두 보통 이상의 수준으로 인식하는 경향이 있었다. 둘재, 유아교사의 시민의식은 교육공동체 구현 실천행동 요인과는 .52~.56, 민주시민교육 실행 요인과는 .33~.42, 그리고 교육공동체 구현 실천행동 요인과 민주시민교육 실행 요인 간에는 .34~.57 범위의 유의한 정적 상관을 보였다. 셋째, 중다회귀분석 결과, 민주시민교육 실행도에 대한 유아교사의 시민의식과 교육공동체 구현 실천행동 요인의 설명력은 33%이며, 특히 교육공동체 구현 실천행동 요인 중에서 동반자 역할 수행을 위한 심리적 하위 요인이 가장 큰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토대로 교사의 민주시민교육 역량 증진을 위해 교사가 갖는 시민의식과 교육공동체를 구현하고자 하는 교사의 실천행동이 중요함을 알게 해주었으며, 구성원 간의 따뜻하고 긍정적인 관계가 강조되는 교육공동체 구축을 지원하는 교사 민주시민교육 및 유아교육기관 컨설팅 프로그램의 개발 방향에 관한 시사점을 제공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This study aims to find out the effectiveness of teachers democratic civic consciousness and actions for building an educational community on implementing democratic citizenship education. To do this, data were collected from 275 early childhood teachers using scales for checking three factors and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follows. First, teachers tended to perceive three factors at a higher level than normal. Second, the democratic civic consciousness of teachers showe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the factor of actions for building an educational community and democratic citizenship education implementation. And, there was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e factors of actions for building an educational community and the implementation of democratic citizenship education. Third, as a result of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explanatory power of teachers democratic civic consciousness and actions for building an educational community on the degree of democratic citizenship education implementation was 33%. Particularly, it was found that the psychological sub-factors for the performance of the partner role had the greatest influence among the factors for actions for building an educational community. Based on this, implications were provided on the direction of the development of teacher democratic citizenship education and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 consulting programs in order to enhance the teacher s capacity for democratic citizenship education.

      • KCI등재

        유아교사의 자아탄력성과 교사-유아 상호작용과의 관계에서 사회적 자본의 매개효과

        김보배(Kim, Bo-Bae),노진형(Noh, Jin-Hyeong) 한국교원대학교 유아교육연구소 2022 한국유아교육연구 Vol.24 No.1

        본 연구는 교사의 자아탄력성과 교사-유아 상호작용 간의 관계에서 유아교사의 사회적 자본이 매개적 역할을 하는지를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C시 소재의 어린이집에 재직 중인 교사 총 257명을대상으로 자아탄력성 척도, 사회적 자본 척도, 교사-유아 상호작용 척도를 사용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자료분석을 위해 SPSS 23.0을 활용하여 상관분석과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매개효과의 유의성을 확인하기 위해 Sobel test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유아교사의 자아탄력성, 사회적 자본 및 교사-유아상호작용 전체 및 하위 요인 간 정적 상관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유아교사의 자아탄력성과사회적 자본이 높을수록 교사-유아 상호작용이 높게 나타남을 의미한다. 둘째, 사회적 자본은 교사의 자아탄력성과 교사-유아 상호작용 간 관계에서 부분 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교사-유아상호작용의 질을 높이기 위해 교사의 자아탄력성에 관심을 기울여야 하며 이와 함께 유아 교사의 사회적자본 증진을 위한 방안 모색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potential mediating effects of teachers’ social capital in the relation between ego-resiliency and teacher-child interactions. Data were collected from 257 teachers from childcare centers in G city through a survey conducted using an ‘ego-resiliency scale’, a ‘social capital scale’, and a ‘teacher-child interaction scal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through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the Sobel test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mediating effect in the study. The results foun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eachers’ ego-resiliency, social capital, and teacher-child interactions. Moreover, teachers’ social capital had a marked partial mediating effect on teachers’ ego-resiliency and teacher-child interactions. These results provide basic data on teachers’ ego-resiliency and implicates the importance of teachers’ ego-resiliency that improves the quality of teacher-child interaction and early childhood teachers’ social capital.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