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 전시-P-46 > 폐 MDF의 분리수거안

        노정관,조현진,박병대 한국목재공학회 2018 한국목재공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018 No.1

        산림청의 “목재의 지속가능한 이용에 관한 법률(2012년 제정)”이 추구하는 목재의 탄소저장 기능을 증진하고 목재를 지속적으로 이용함으로써 기후변화에 효율적으로 대응하기 위해서는 산림으로부터의 체계적이고 안정적인 목재의 생산과 공급도 중요하지만 폐기되는 목재나 목질재료의 물질로서 재활용 체제의 확립도 매우 중요하다. 특히 국내에서 생산량이 가장 많지만 전혀 물질로서 재활용되고 있지 않는 MDF는 가구, 건축내장재 및 포장재 등으로 사용되고 그 수명을 다해 폐기되어 타 목질폐기물과 혼재되어 있을 때에는 다른 목질재료의 재활용에도 방해가 된다. 따라서 다양한 목질재료가 혼재하는 목재폐기물을 효과적으로 재이용하고 폐 MDF도 다시 MDF 제조용으로 원료화하여 재이용하기 위해서는 MDF의 분리수거가 절대적으로 필요하다. 국내의 폐기물 관리는 환경부의 “폐기물관리법(1986년 제정)”과 시행령, 시행규칙과 각각의 행정규칙 및 자치법규에 의해 관리되고 있다. 2016년도의 국내 전체 폐기물발생량은 151,601천톤/연이며 그 중 1.3%인 1,939천톤/연(폐가구 포함)이 폐목재류였으며(전국 폐기물 발생 및 처리 현황, 환경부), 그 39.5%인 766천톤/연이 폐 MDF인 것으로 추정된다. 본 연구에서는 폐기 MDF를 효율적으로 분리수거하기 위해 발생원별 현재의 수거, 수집 및 처리 관리의 주체를 조사하고 분리수거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생활폐목재의 주체는 자치단체장이며 자치단체나 대행업체인 수집·운반 업자, 중간·최종처리업자 및 폐기물 재활용 업체, 사업장시설폐목재는 환경부와 각배출사업자가 주체이고, 자가 또는 위탁에 의해 허가받은 수집운반업체와 폐기물 처리업자가, 건설폐목재는 건설공사 발주자가 주체이며, 건설폐기물 수집운반업체 및 중간처리업자가 처리 및 관리하고 있으며, 각 발생원과 사업장별 적절한 분리수거 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1) 노정관.조현진,박병대. 2016 한국목재공학회 춘계 학술발표 요지집. p. 262-263. 2) 노정관.조현진,박병대. 2017 한국목재공학회 춘계 학술발표 요지집. p. 35.

      • < 전시-P-45 > 폐 MDF재생섬유에 대한 반응성염료계의 고착특성

        주선경,노정관 한국목재공학회 2018 한국목재공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018 No.1

        국내에서 가장 많이 생산되는 목질재료 중 현재 물질로서 전혀 재활용이 되고 있지 않는 폐 MDF를 인테리어 성형 소품 제조용의 원료로 재활용하기 위하여 전년도에는 황, 적, 청색의 반응성 염료(클로로 트리아진계와 비닐슬폰계), 직접염료(디아조계), 배트염료(퀴논계)를 사용한 재생목질섬유의 염색특성을 비교 검토하였다. MDF 재생염색섬유의 경우 셀룰로오스 염색에 주로 사용되는 염료에 의해 염색이 비교적 용이하게 이루어진다는 것과, 버진섬유와 재생섬유간의 염색특성에는 크게 차이가 없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그러나 염색한 재생섬유의 자외선 촉진 열화처리에 의한 변색의 정도를 색차에 의해 비교한 결과, 자외선의 조사 시간이 증가됨에 따라 색차가 증가하였으며, 염료별로는 직접염료의 일광견뢰도가 가장 불량하였으며, 이어 반응성염료 및 배트염료의 순이었다<sup>1~3)</sup>. 따라서, 폐기되는 MDF로 부터 얻은 재생섬유를 인테리어 소품의 제조에 활용하기 위해서는 앞으로 최적의 염색조건에 대한 검토와 일광견 뢰도의 향상에 관한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폐 MDF 재생염색섬유의 자외선에 의한 변퇴색성 개선을 위하여 국내산 리기다소나무로 제조한 MDF를 다시 해리하여 얻은 폐 MDF 재생섬유에 대해 반응성 염료(Reactive Red H-E3B, Reactive Red RB 133%)의 고착특성과 자외선에 의한 변색 특성을 검토하였다. 반응성 염료에 의해 염색된 폐 MDF 재생염색섬유의 일광견뢰도는 미반응 염료의 잔존유무 및 고착정도에 의해 좌우되며, 소핑처리와 고착처리에 의해 자외선에 의한 변퇴색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었다. 1) 주선경, 노정관. 2017. MDF용 섬유와MDF 재생섬유의 염색성 비교. 2017 한국목재공학회 춘계 학술발표 요지집. p 31. 2) 주선경, 노정관. 2017. 폐 MDF 염색섬유의 자외선에 의한 변색. 2017 한국목재공학회 추계 학술발표 요지집. p 25. 3) 주선경, 노정관. 2017. 폐MDF를 이용한 염색재생섬유 제조. 목재공학 Vol. 45(3). 297-307.

      • SCOPUSKCI등재
      • SCOPUSKCI등재

        요소 멜라민 수지 접착제의 겔화성 및 접착특성에 미치는 수지조성과 첨가물의 영향

        노정관 한국목재공학회 1999 목재공학 Vol.27 No.1

        To accelerate the curing and to improve the bonding properties of urea-melamine-formaldehyde (UMF) resin adhesives for plywood, the effects of resin compositions and additives on gelation time and bonding strength were discussed. The gelation time of UMF resin prepared by simultaneous reaction with urea(U), melamine(M) and formaldehyde(F) at M/U molar ratio 0.2 was shortened as the molar ratio of formaldehyde to urea was increased. However, at F/U molar ratios higher than 2.5, the amounts of free fomaldehyde of resin could not satisfy with KS standard. Therefore, it was difficult to increase the amount of formaldehyde in resin composition for the purpose of fast gelation time. With increasing the molar ratio of melamine to urea(M/U) from 0.3 to 0.6 at constant F/U molar ratio 3.4, the gelation time of UMF resin was slightly decreased, while gradually increased at M/U molar ratio, higher than 0.6. The gelation properties of UMF resin and bonding strength of UMF-bonded plywood could be enhanced by using ammonium chloride and p-toluene sulfonic acid as a curing-agent together with wheat flour and corngluten powder as a extender.

      • SCOPUSKCI등재

        페놀·레조르시놀 수지의 합성과 접착성능

        노정관 한국목재공학회 1993 목재공학 Vol.21 No.1

        The phenol·resorcinol·formaldehyde resin (PRF) adhesives which are curing at ambient temperature for structural purposes were synthesized. A PRF resin is produced according to the two-stage reaction system. In first-stage, a low-condensed resol or methylolated phenol were prepared from phenol by reaction with a formaldehyde in alkaline condition. The molar ratio of phenol to formaldehyde was 1.0∼1.4. And in second-stage, resorcinol was added to combine with the methylol group of a low-condensed resol(R/P molar ratio 0.3). The glue-joint strength, pot-life and workability of this synthetic PRF resin were superior to conventional ambient temperature setting adhesives such as oilic urethane or water based polymer-isocyanate resin for wood adhesives.

      • SCOPUSKCI등재

        합판용 페놀수지 접착제의 속경화

        노정관 한국목재공학회 1995 목재공학 Vol.23 No.3

        To accelerate the cure of phenolic resin adhesives for plywood. the complexation with melamine resin and the addition of cure-accelerating agents were discussed. The hot-pressing temperature and time of phenol resin could be decreased by complexation with melamine resin. but the wet glue-joints strength of phenol·melamine resin was lower than that of ordinary phenol resin in case of plywood using spruce veneer at core layer. Among the tested cure-accelerating agents, the sodium carbonate showed the greatest effect on shortening gelation time of phenolic resin. In addition, in the manufacturing scale test. the hot-pressing time of phenol resin with the addition of 5 parts sodium carbonate could be shortened about 20% compared with ordinary phenol resin which had same glue-joints propert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