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硏究論文(연구논문): 디지털증거의 진정성립 증명과 증거능력- 형사소송법 제313조 제1항의 해석과 관련한 판례의 비판적 검토 -

        노수환 ( Su Hwan Roh ) 법조협회 2015 法曹 Vol.64 No.8

        디지털 증거는 잠재성, 변조용이성, 독립성, 대량성, 비노출성 등의 특징이 있으므로 그에 수반하여 디지털 증거만에 특유한 증거능력의 요건이 필요하다. 우선 모든 디지털 증거는 무결성·동일성, 신뢰성, 원본성 등이 인정되어야 증거능력을 부여받을 수 있다. 디지털 증거가 전문증거인 경우에는 위와 같은 요건 외에도 전문법칙의 예외조항에서 정한 요건을 갖추어야 한다. 디지털 증거가 진술증거로서 전문증거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전문법칙이 적용되어 제313조가 적용되는데, 판례는 이 경우에 디지털 문서파일의 작성자가 공판정에서 성립의 진정을 인정하지 않으면 그 증거능력을 인정하지 않고 있다. 그런데 이와 같이 해석하면 범죄자가 사적으로 작성한 문서들은 수사기관이 적법한 절차에 따라 압수하게 되어도 피고인이 성립의 진정을 부인하기만 하면 이를 증거로 할 수 없게 되는 불합리한 결과가 된다. 신용성 있는 상태에서 작성된 피고인의 자백을 증거로 쓸 수 없는 결과 실체적 진실발견을 통한 사법정의의 실현이 무산되는 결과가 된다. 피고인 스스로 작성한 범죄사실의 자백 증거를 피고인의 의사에만 의존하여 증거능력 유무를 부여하도록 하는 것은 사실상 증거의 세계에서 이를 완전히 배제시키는 것이나 다름없으므로 법관의 자유심증주의를 현저하게 침해하는 것이라고 하지 않을 수 없다. 이와 같은 해석은 제313조의 입법취지와 2007년도의 형사소송법의 개정 취지를 모두 무시하는 해석이어서 부당하다. 나아가 만일 그 증거가 유죄를 입증하는 결정적인 증거인 경우에는 피해자의 재판절차 진술권과 평등권을 침해하는 결과까지 초래할 수 있다. 따라서 제313조에서 "작성자의 진술에 의하여 그 성립의 진정함이 증명된 때"라 함은 작성자가 성립의 진정함을 "인정"하는 진술을 하는 경우에만 가능하다고 해석해서는 아니된다. 이와 같은 판례의 해석은 변경되어야 한다. 오히려 제313조에 의한 성립의 진정의 증명은 작성자의 진술과 제출된 다른 모든 증거들을 종합하여 성립의 진정이 증명되는 경우로 해석되어야 한다. 이 경우 작성자의 진술은 성립의 진정을 직접 인정하는 진술이 아니어도 가능하다. 하지만 작성자의 진술을 들어야 하므로 작성자에게 그 증거에 대하여 다툴 기회를 부여하게 되고 작성자가 피고인 이외의 제3자인 경우에는 피고인에게 반대신문의 기회도 부여하게 되어 공판중심주의와 직접주의에 반하지 않게 된다. 아울러 제313조의 규정은 제312조의 개정에 발맞추어 합리적으로 개정될 필요가 있다. 종전의 불합리한 대법원 판례와 불필요한 논쟁을 종식시키기 위해서도 개정이 필요하다. 그리고 위 개정조문에는 디지털 증거가 포함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Ascribing to the unique characteristics of digital evidence ? such as its great potential, it being relatively easier to be tampered with, independence, its massive quantity, and it not being openly exposed ? there certainly exists a need for a fitting set of criteria on the admissibility of digital evidence. First and foremost, the prerequisite criteria for any digital evidence to be admitted are flawlessness·identification, reliability, originality, and so forth. In the case that digital evidence is hearsay evidence, it also needs to fulfill the criteria set forth in the exceptional clause of hearsay evidence. When digital evidence falls under the category of hearsay evidence as statements of evidence, the exclusive rule of hearsay is applied and hence Article 313 is applied. If the author of the digital document does not admit the authenticity of the evidence in the courtroom, the legal precedent is that the admissibility of that evidence is to be denied. Yet, such interpretation carries an unreasonable result that, even when the investigative agency seizes evidence under due process, the documents which the criminal compiled in private cannot be admitted as evidence if the defendant simply denies the authenticity of the evidence. Because the defendant``s admission made under conditions of reliability cannot be admitted, the realization of judicial justice through the finding of substantial truth is to founder. Determining the admissibility of evidence solely depending on the will of the defendant when the evidence is the admission of the facts of criminal conduct written by the defendant himself is essentially no different from completely excluding it from being considered as evidence. Consequently, such result can be said to significantly infringe upon the principle of free evaluation of evidence vested in the judge. In other words, such interpretation is an unjustified one that neglects the legislating purpose of Article 313 and the purpose of the 2007 Criminal Procedure Act revision. Furthermore, if the evidence in question is one that decisively proves the guiltiness of the defendant, the right to state in hearing proceedings and the right to equality of the victim can be greatly infringed upon. Therefore, the wording of Article 313 - "if it is proven to be genuine by the maker or stater thereof by his testimony" Interpretation of the Korean Criminal Procedure Act comes officially from The Korean Legislation Research Institute, specifically in its official translation of statutes of the Republic of Korea. - should not be interpreted to mean that the Article is applicable only when the author makes a testimony ``admitting`` the authenticity of the evidence. Such interpretation by the legal precedent must be altered. Rather, the verification of the authenticity of the evidence according to Article 313 should be interpreted to mean "when the authenticity of evidence is proven considering not only the testimony of the maker or stater but also all other points of evidence." In this case, the testimony of the author does not necessarily have to be one that directly admits the authenticity of evidence. Nonetheless, because the testimony of the author must be heard, the opportunity to argue against the evidence is guaranteed to the author, and when the author is a third party other than the defendant himself the opportunity of cross-examination is guaranteed to the defendant. As a result, this sort of interpretation does not infringe on the principle of trial-based determination nor on the principle of directness. In addition, Article 313 needs to be rationally revised in accordance with the revision of Article 312. This is all the more so in order to bring an end to the previous irrational Supreme Court legal precedent and unnecessary debate on the matter in question. Moreover, the revision of the Article should include provisions on digital evidence as well.

      • KCI등재

        계속범과 상태범의 구별기준에서 본 재산국외도피죄의 구성요건 고찰

        노수환(Roh Soo hwan),이진국(Lee Jin kuk) 성균관대학교 법학연구소 2016 성균관법학 Vol.28 No.3

        계속범과 상태범의 구별은 실체형법의 영역뿐만 아니라 형식형법인 형사소송법의 영역에서 많은 영향을 미친다. 구성요건 유형으로서 계속범과 상태범의 구분의 출발점은 범죄구성요건 그 자체에 대한 규범적 평가이다. 시간적 계속성(위법상태의 유지)이라는 기준은 계속범을 인정하기 위한 필요조건에 불과하다. 특정한 구성요건을 계속범으로 인정하기 위한 충분조건은 행위자가 창출한 위법한 상태를 기수 이후에도 고의적으로 유지하거나 범죄행위를 중단 없이 지속함으로써 당해 구성요건에 대한 형법적 비난이 선행되는 위법행위 뿐만 아니라 기수 이후의 위법상태의 유지에 대해서도 가해질 수 있는 것이어야 한다. 계속범의 인정요소로서 ‘불법성의 강화’의 관점에서 보면 재산국외도피죄의 구성요건은 그러한 도피행위를 함으로써 국가재산의 손실을 가져올 위험을 창출하는 것에 국한되어 있을 뿐이고, 도피 이후의 위법상태가 계속되는 동안 국가재산의 손실에 대한 불법성이 더욱 강화된다고 보기 힘들다. 따라서 재산국외도피죄는 상태범으로 보아야 하고, 공소시효도 재산의 도피시점부터 기산해야 한다. In der vorliegenden Arbeit haben die Autoren um die Unterscheidungskriterien zwischen Dauer- und Zustandsdelikte unter dem Blickwinkel des Delikts gegen die Vermögensflucht nach Ausland gemäss §4 des Gesetzes zum Strafqulifizierung der bestimmten Strafgesetzen diskutiert. Die Dogmatik des Dauerdelikts ist in der koreanischen Strafrechtswissenschaft noch nicht genügend erklärt worden. Der Ausgangspunkt der Differenzierung zwischen Dauer- und Zustandsdelikte müsste die Tatbestände als solche sein, um die Formalisierung des Straftatbestand gewährzuleisten. Dauerdelikte in diesem Sinne sind nur solche Straftaten, bei denen der Täter den von ihm geschaffenen rechtswidrigen Zustand willentlich aufrechterhält oder die deliktische Tätigkeit ununterbrochen fortsetzt, so dass sich der strafrechtliche Vorwurf nicht nur auf Herbeiführung als auch auf die Aufrechterhaltung des rechtswidrigen Zustandes bezieht. Unter diesen Gesichtspunkte soll der Tatbestandstypus des in dieser Untersuchung thematisierten Delikts gegen die Vermögensflucht nach Ausland nicht als Dauer- sondern als Zustandsdelikt angenommen werden. Somit beginnt die Verjährung dieses Delikts mit der Schaffung der Vermögensflucht.

      • KCI등재

        사회변화에 따른 형법상 문서개념 해석의 한계

        노수환(Roh, Soo-Hwan) 성균관대학교 법학연구소 2013 성균관법학 Vol.25 No.4

        Recently, the Supreme Court of Korea sentenced not guilty upon the use of the sending image-file, denying document-conception. Because it is stipulated in the Criminal Act of Korea(§ 234) that any person who utters any 'document', drawing or special media records, such as electromagnetic records, etc., made by the crime as prescribed in Articles 231 through 233, shall be punished by the same penalty as prescribed for the respective crime. By the way, the reason is why the use of the sending image-file don't come under 'document'. So, I think that the argument of the decision is appropriate in two points of view. First, It is not rational to admit unlawful uttering of document, because the use of the sending image-file don't include to unlawful 'uttering' of document. Secondly, the vacuum of the legislation can't be replaced with interpretation of the law. But, according to TiTle 18, chapter 25-474(b) in America, it is stipulated that the term "analog, digital, or electronic image" includes any analog, digital, or electronic method used for the making, execution, acquisition, scanning, capturing, recording, retrieval, transmission, os reproduction of any obligation or security, unless such use is authorized by the Secretary of the Treasury. Anyway, I think that we should study a document-conception whether to include the use of the sending image-file in this case.

      • KCI등재

        영상녹화물의 증거능력과 그 증거조사 방법

        노수환(Roh, Su Hwan) 성균관대학교 법학연구소 2015 성균관법학 Vol.27 No.3

        현행 형사소송법상 해석에 치중할 경우에는 문리적 해석, 입법자의 의사 해석 그리고 법체계적ㆍ종합적 해석상 영상녹화물의 독립적인 증거능력을 부정하는 것 이 타당하다. 그러나 입법 정책의 문제로 바라볼 경우에는 법 제244조 제1항의 성 격을 법현실의 측면에서 고찰하여 조서가 작성되지 않아 영상녹화물만 존재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영상녹화물의 독립적인 증거능력 인정의 필요성은 부 정할 수 없다. 입법 정책적으로 영상녹화물의 독립적인 증거능력을 인정하는 취지의 개정 법률 안이 국회에 제출되기에 이른 현 시점에서 영상녹화물의 증거조사 방법을 세밀하 게 규정하는 것이 그 증거능력 인정여부에 관한 다툼보다 더 중요하다는 전제로 영상녹화물의 증거능력이 인정된다면 그 증거조사 방법은 어떠해야 하는지를 구체적으로 제시하였다. 즉 영상녹화물과 함께 녹취서 작성을 의무화하여 함께 증거로 제출하게 함으로써 법관에 의한 증거조사 시간을 단축시키고, 실체적 진실의 발견이라는 형사소송법의 대원칙을 실현하는데 기여하게 하고, 수사기관으로서도 수사의 편의성을 도모하게 하고, 국민의 신속한 재판을 받을 권리가 실질적으로 보장되도록 하는 방 안이 필요하다. An independent admissibility of video recordings of evidence should be denied under an interpretation of the current criminal procedural law context, an intention of legislators and a law enforcement. However, in the view of a legislative policy, considering Article of 244 (1) as a realistic aspect, the necessity of an independent admissibility of video recordings of evidence couldn't be denied because there is a possibility of a certain situation that there is no interrogatory files but just a video recordings of evidence left. Now the revised legislative bill which admits an independent admissibility of video recordings of evidence was turned in to the National Assembly. In the view of a legislative policy, detailed regulations of the examination of video recordings is more important than a debate of whether or not recognized it. For this purpose, what regulations of the examination of video recording should be is reviewed. In short, by making investigative agency submit a contemporaneous note(transcript of video recordings) with a video recordings as well, time of examination of evidence could be shortened, finding of substantial truth as the guiding philosophy on criminal procedure could be achieved, investigative agency could consult their own convenience, and people’s quick right to trial could be guaranteed as a real right. Those measures are necessary.

      • KCI등재

        진술거부권 고지 없이 얻은 진술에 기초한 2차적 증거의 증거능력

        노수환(Roh, Su-Hwan) 성균관대학교 법학연구소 2010 성균관법학 Vol.22 No.3

        While it is true that the exclusion of the "fruits of the poisonous tree" doctrine has been extended through the purged taint exception, inevitable discovery exception, and the independent source exception, the Supreme Court of the United States supported the doctrine largely unchallenged. However, recently the Supreme Court held that the doctrine does not apply when secondary evidence was obtained without Miranda warning, acknowledging its admissibility. In interpreting the Section 308-2 of our Criminal Procedure law, it is debatable if it’s admissible or not when a testimony was obtained as secondary evidence, without Miranda warning. About this debate our Supreme Court did not take the same opinion as the U.S. Supreme Court, in 2008도11437; the right to silence is not mere a procedural privilege - it is an integral and essential part of basic human rights guaranteed by the Constitutional law - therefore secondary evidences cannot be "always admissible"; however if the testimony is voluntary enough even without Miranda warning the evidence can be exceptionally admissible. This is remarkable in that it provided quite specific guidelines with the admissibility of secondary evidences.

      • 디지털 증거의 압수ㆍ수색 절차상 당사자의 참여권 및 별건 관련성 없는 증거의 압수 요건 - 대법원 2015. 7. 16.자 2011모1839 전원합의체 결정 -

        노수환 ( Roh Su Hwan ) 법조협회 2016 최신판례분석 Vol.65 No.7

        수사기관이 전자정보에 대한 압수·수색을 함에 있어 저장매체 또는 하드카피나 이미징 복제본을 수사기관 사무실로 옮긴 다음 이를 탐색하여 혐의사실과 관련된 정보를 문서로 출력하는 일련의 과정도 전체적으로 하나의 영장에 기한 압수·수색의 일환으로보아야 하고, 수사기관 사무실에서의 관련 정보의 탐색, 출력 과정에 피압수자측을 참여하게 하여야 하며, 본 대법원 전원합의체 결정은 위와 같은 이론을 재확인한 것이다. 수사기관 사무실에서 하드카피나 이미징 복제본으로부터 관련성 있는 전자정보의탐색, 출력 작업은 이미 종결된 압수절차 이후에 단지 수사기관의 내부적인 압수물 확인행위 또는 압수물의 분석작업에 불과하므로 당사자의 참여권이 인정될 필요가 없다는 견해가 있지만 대용량의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전자정보에 대한 압수·수색은 사생활의 비밀과 자유, 정보에 대한 자기결정권, 재산권 등을 침해할 우려가 크므로 포괄적으로 이루어져서는 아니되고, 이를 수사기관의 재량에만 맡겨서는 아니된다. 다만 당사자의 참여권을 보장하는 것만으로는 충분하지 아니하므로 관련 정보의 탐색, 추출절차에 관한 입법적인 해결이 필요하다. 본 결정은 하나의 압수·수색영장에 의하여 절차가 진행되어 압수·수색이 종료된 경우에는 압수·수색 과정을 단계적 개별적으로 구분하여 그 처분의 위법이나 취소 여부를 판단할 것이 아니라 당해 압수·수색 과정 전체를 하나의 절차로 파악하여 전체적으로 압수·수색 처분을 취소할 것인지를 따져야 한다고 판결하고 있다. 그러나 검사는 적법한 압수처분에 기하여 수집된 증거를 사용할 수 있다고 보아야 하므로 그 이후에 이루어진 다른 압수처분에 어떠한 잘못이 있다고 해서 적법하게 수집된 증거의 효력까지 소급하여 부정할 것은 아니므로, 대법원의 이 부분 결정은 타당하다고 할 수 없다. 또한 본 결정은 압수·수색이 종료되기 전에 혐의사실과 관련된 전자정보를 적법하게 탐색하는 과정에서 우연히 발견된 별도 범죄혐의에 대한 전자정보에 대해서 수사기관은 더 이상의 추가 탐색을 중단하고 법원으로부터 별도 범죄혐의에 대한 압수·수색 영장을 발부받아 당사자의 참여권을 보장하는 경우에 적법하게 압수·수색을 할 수 있다고 판시하였다. 원래의 혐의사실과 관련된 전자정보를 탐색하는 과정에서 이와 무관한별도의 범죄사실에 대한 전자정보의 압수를 용이하게 하면 원래의 혐의사실에 기한 전자정보의 압수·수색은 수사기관으로 하여금 별건 범죄혐의사실에 대한 단서를 찾기 위한 수단으로 전락시킬 우려가 있고 포괄영장을 허용하는 결과를 초래하므로 이 부분판시는 원래의 범죄사실과 관련성이 없는 별건 전자정보의 압수요건을 엄격히 요구하는 것이라고 보아야 한다. 따라서 혐의사실과 관련된 전자정보의 탐색은 적법한 방법이어야 하고, 별도 범죄혐의에 대한 전자정보는 우연히 발견되어야 하며, 그 탐색과 발견의 절차가 적정한 것인지에 대한 법원의 판단을 받기 위하여 추가 탐색은 중단되어야 한다. 이와 같은 요건을 갖춘 것인지는 향후 개개의 사례들에 대한 판결을 통해서 구체적인 기준이 정립될 것으로 생각된다. When investigators search and seizure a digital evidence, a series of processes that moving the storage media, hard copy or imaging replicas to investigator’s office then navigating them to output information related to the allegations in the document should be a part of search and seizure by one warrant, and the possessor of the seized should be present in the process of related information’s seeking and printing in investigator’s office, the court in this case, sitting en banc, reaffirms above theories. There is a view which the party’s right of participate don’t need to be recognized because the process of seeking and printing a related digital evidence from a hard copy or imaging replicas in investigator’s office is only investigator’s internally confirming act or analyzing process of seizures after terminating official search process. However, search and seizure a digital evidence which might include a huge information have a risk for an invasion to the freedom of privacy and personal life, personal information control right and property right so that should not be done comprehensively, and not be at the discretion of the investigator’s authorities. But it is not sufficient to ensure the party’s right of participate so requires legislative resolution on the seeking-related information, extraction procedures. The court says, when the process is terminated after proceeding by one warrant of search and seizure, it should be determined whether the illegal disposal of canceled by whole search and seizure process as one procedure, rather than individually separating the process, step by step. However, prosecutor might use the evidence already collected by legally seizure, since that is not made to be denied retroactive effect to that evidence in another seizure made by wrong, so this part of the supreme court decision can not be said to be reasonable. The court also says, when a material for separate crime is found in the legal seizing process for a related-digital information, the process should be suspended and investigator should ask the court for a search warrant then ensure the party’s right of participate. This part of the supreme court decision can be translated that the requirements of seizure of the material for the irrelevant crime is strictly required because the search and seizure a digital evidence for the original allegations might be used for seeking process of the irrelevant crime and it might cause allowing comprehensively warrant. Accordingly, seeking an allegation related digital evidence should be a legally proceeded, digital information for an allegation of a separate crime should be discovered by accident, and an additional seeking should be suspended for receiving the discretion of the court whether the process is appropriate. Whether the requirement is considered to be established with a specific criteria through the decision for the individual cases in the future.

      • KCI등재

        외국환거래법상 필요적 몰수·추징 규정에 관한몇 가지 고찰

        노수환(Roh, Su Hwan) 성균관대학교 법학연구소 2017 성균관법학 Vol.29 No.2

        거주자가 비거주자와 대통령령으로 정한 금액 이상의 자본거래를 하면서 신고 없이 비거주자로부터 국내로 돈을 송금받은 위반행위에 대하여 그 송금된 돈을 필요적으로 몰수·추징하여야 한다는 외국환거래법의 규정은 형벌 본래의 기능과 목적을 달성함에 있어 필요한 정도를 현저히 일탈함으로써 최소침해의 원칙에 위배된다. 위 규정은 헌법 제37조 제2항의 과잉금지원칙에 반하고, 헌법상 보장된 사유재산권을 합리적 근거 없이 과도하게 침해하는 것이며, 법관의 양형결정권을 과도하게 제한하고 있어 위헌이라고 할 것이다. 따라서 위 규정은 몰수·추징 규정을 삭제하거나 임의적 몰수·추징으로 조속히 개정되어야 한다. 대법원이 특별법상의 필요적 몰수·추징 규정을 ‘징벌적’이라고 해석하면서 몰수대상물을 취득하지도 아니한 모든 공범에 대하여 공동연대추징하도록 인정하고 있는 것은 법률상 근거 없는 해석의 한계를 벗어난 것으로서 죄형법정주의에 어긋난다. 이와 같은 추징 집행방식은 형법의 개인책임원칙에 어긋나며 일정한 경우에는 추징의 징벌적 성격을 부여하는 의미를 퇴색시키고 있다. 따라서 적어도 외국환거래법의 필요적 몰수·추징 규정을 징벌적 추징이라고 해석하면서 공동연 대추징을 인정하는 대법원의 태도는 즉시 시정되어야 한다. 이에 관하여 형성된 대법원 판결이 확고하다고 하여도 판례 변경을 두려워 하지 말고 하루 속히 새로운 판례의 법리를 정리해 주어야 한다. The regulation of the Foreign Exchange Transactions Act which states that the illegal remittance toward Korea from a non-resident without a declaration during a capital transaction of more than the amount set by the presidential order has to be compulsorily confiscated and charged is a violation of the Constitution since it violates the excess prohibition principle of the Second Clause of Article 37 of the Constitution since it goes against the principle of minimum violation by markedly deviating from the necessary degree when it comes to satisfying the original functions and objective of punishment, excessively infringes the private ownership of property guaranteed by the Constitution without any rational ground, and immoderately limits the judge s right to decide the weighing of an offense. Thus, the aforementioned regulation should remove the confiscation and collection regulation or be amended as random confiscation and collection as soon as possible. The fact that the Supreme Court is acknowledging the collective responsibility of confiscation with regard to all accomplices who had not even acquired the targets of confiscation by interpreting the necessary confiscation and collection regulation of the special law as punitive goes against the principle of legality since it has gone past the limit of judicial groundless interpretation. Such a way of conducting collection violates the criminal law s individual responsibility principle and in some cases fades the meaning of imposing punitive character of collection. Therefore, the attitude of the Supreme Court acknowledging the collective responsibility of confiscation while interpreting the necessary confiscation and collection regulation of the Foreign Exchange Transactions Act as a punitive collection should immediately be corrected.

      • KCI우수등재

        최신판례분석 : 디지털 증거의 압수ㆍ수색 절차상 당사자의 참여권 및 별건 관련성 없는 증거의 압수 요건 - 대법원 2015. 7. 16.자 2011모1839 전원합의체 결정 -

        노수환 ( Roh Su Hwan ) 법조협회 2016 法曹 Vol.65 No.7

        When investigators search and seizure a digital evidence, a series of processes that moving the storage media, hard copy or imaging replicas to investigator’s office then navigating them to output information related to the allegations in the document should be a part of search and seizure by one warrant, and the possessor of the seized should be present in the process of related information’s seeking and printing in investigator’s office, the court in this case, sitting en banc, reaffirms above theories. There is a view which the party’s right of participate don’t need to be recognized because the process of seeking and printing a related digital evidence from a hard copy or imaging replicas in investigator’s office is only investigator’s internally confirming act or analyzing process of seizures after terminating official search process. However, search and seizure a digital evidence which might include a huge information have a risk for an invasion to the freedom of privacy and personal life, personal information control right and property right so that should not be done comprehensively, and not be at the discretion of the investigator’s authorities. But it is not sufficient to ensure the party’s right of participate so requires legislative resolution on the seeking-related information, extraction procedures. The court says, when the process is terminated after proceeding by one warrant of search and seizure, it should be determined whether the illegal disposal of canceled by whole search and seizure process as one procedure, rather than individually separating the process, step by step. However, prosecutor might use the evidence already collected by legally seizure, since that is not made to be denied retroactive effect to that evidence in another seizure made by wrong, so this part of the supreme court decision can not be said to be reasonable. The court also says, when a material for separate crime is found in the legal seizing process for a related-digital information, the process should be suspended and investigator should ask the court for a search warrant then ensure the party’s right of participate. This part of the supreme court decision can be translated that the requirements of seizure of the material for the irrelevant crime is strictly required because the search and seizure a digital evidence for the original allegations might be used for seeking process of the irrelevant crime and it might cause allowing comprehensively warrant. Accordingly, seeking an allegation related digital evidence should be a legally proceeded, digital information for an allegation of a separate crime should be discovered by accident, and an additional seeking should be suspended for receiving the discretion of the court whether the process is appropriate. Whether the requirement is considered to be established with a specific criteria through the decision for the individual cases in the fut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