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Exploring the Factors Affecting the Adoption of Environmentally Friendly Vehicles

        Minjung Roh(노민정),Han-Suk Lee(이한석) 한국콘텐츠학회 2018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8 No.7

        본 연구는 친환경 자동차의 조기 수용을 유도하는 요인들에 대해 조사하고 있다. 미국, 독일, 그리고 일본의 3개국 자동차 소유자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친환경 자동차의 조기 수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정서적, 인지적, 행동적 요인들로 구분하여 살펴보았다. 실증 결과, 정서적 및 인지적 요소들은 조기 수용에 상당히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었으며, 행동적 요인 또한 자동차 사용 맥락과 관련해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즉, 환경 중심적 가치관과 녹색기술에 대한 지식 정도가 증대될수록 친환경자동차의 조기 수용의사는 증진되는 것으로 밝혀졌으며, 행동적 요인 차원에서는 자동차를 통근(vs. 여행) 등의 정규적, 실용적 (vs. 쾌락적) 목적으로 사용하는 비중이 커질수록 친환경자동차에 대한 조기수용의사가 고양되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러한 일련의 결과는 친환경자동차의 조기수용을 독려하려면 소비자 개인의 자동차 사용 맥락 및 국가별 차이를 충분히 고려하여야 함을 보여주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This study investigates the factors that induce the early adoption of environmentally friendly vehicles. We measure the affective, cognitive, and behavioral factors influencing the early adoption intentions of car owners in three countries (the US, Germany, and Japan). We find that affective and cognitive factors are significant, but behavioral factors are only partially significant. Specifically, eco-centric values and knowledge about green technology are significant in explaining early adoption intent. However, of the behavioral factors, usage context is significant, whereas commute distance is not significant in explaining early adoption intent. Finally, between-country differences indicate that any policy to increase the adoption of environmentally friendly vehicles should be fine-tuned for each country.

      • KCI등재

        항공사 충성도가 모바일 앱 구전의사에 미치는 조절효과: 국내 항공사 마일리지 적립 고객에 대한 비교

        노민정 ( Minjung Roh ) 한국항공경영학회 2018 한국항공경영학회지 Vol.16 No.4

        2015년 모바일 앱을 활용한 항공 결제시스템이 국내 시장에 첫 선을 보인 이래, 최근 이에 대한 이용률이 급증하고 있는 추세이다. 다방면에 걸쳐 모바일 앱을 활용한 정보 검색 및 쇼핑, 결제가 보편화 되면서 항공권 결제에 있어서도 모바일 앱의 활용률이 대폭 인상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이에 항공사들도 소비자들의 모바일 앱 활용률을 높일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면서 여러 시책들을 시행하고 있는데, 이러한 시책들은 종종 소비자들에게 실제적인 행동 변화를 일으킬 만큼 충분히 효과적이지 못했다는 비판에 직면해왔다. 이에 본 연구는 혁신 수용의 관점에서 항공권 결제와 관련한 모바일 앱의 활용을 촉진시킬만한 특성 차원에는 어떠한 것들이 있는지, 또한 이러한 특성 차원의 영향으로 형성된 호의적 태도가 어떤 조건 하에서 보다 적극적 구전의사로 표출될 것인지에 대해 조사하여 보았다. 특히, 태도와 구전의사 간에 관계에 있어 충성도(loyalty)에 의한 조절효과를 상정함으로써 항공사의 여러 유인책에도 불구하고 왜 여전히 긍정적 구전 전파에 있어서는 소극적인지 보다 상세히 살펴보고자 하였다. 시장 선도항공사 및 후발항공사 충성고객 총 158명을 대상으로 수집한 자료를 바탕으로 시행한 실증 분석 결과는 태도가 구전의사에 미치는 정(+)의 영향이 후발항공사에 대한 충성 그룹에서보다 시장선도항공사에 대한 충성 그룹에서 보다 증폭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었다. 이는 시장선도 항공사가 후발 항공사보다 구전 커뮤니케이션 측면에서 보다 유리한 경쟁우위를 확보하고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라 할 수 있다. Since the airline payment system that used mobile apps first appeared in the domestic market in 2015, the usage rate has been rapidly increasing recently. As information search, shopping, and payment using mobile apps have become commonplace across various domains, it seems that the usage rate of mobile apps is also greatly increased even in airline tickets payments. Airline companies are thus nowadays more actively pursuing several measures to increase the utilization of mobile apps, but these measures have often faced the criticism that they have not been effective enough to prompt actual behavior changes. This study thus investigates the characteristics that facilitate the use of mobile apps for the purchase of airline tickets from the viewpoint of innovation adoption, and how the favorable attitude formed by the influence of these characteristic dimensions could be manifested as more active word-of-mouth intention. Specifically, by positing the moderating role of loyalt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ttitude and word-of-mouth intention, this study attempts to shed further light on why consumers are still hesitant in positive word-of-mouth despite of various incentives of airline companies. The empirical analysis based on the data collected from 158 loyal customers for domestic airlines showed that the positive effect of attitude on word of mouth intention was more pronounced for the loyalty group of the market leader than for the market followers. This results confirms that the market leader has a better competitive advantage over the market follower, in terms of word-of-mouth communications.

      • KCI등재

        관계의 유대지향성 및 자기표현성향이 구전활동에 미치는 영향

        노민정(Minjung Roh),주우진(Wujin Chu) 한국콘텐츠학회 2018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8 No.3

        소셜미디어 상에서 소비자로서의 자신을 얼마나 드러낼 것인지의 여부는 자기표현에 따른 긍정적 보상과 부정적 위협 중에서 어느 것에 보다 초점을 맞출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긍정적 보상과 부정적 위협중에서 어느 것에 보다 초점을 맞추게 될 것인지의 여부는 자신을 드러내고자 하는 관계의 상대방이 누구인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자기표현의 청중을 관계의 유대지향성에 따라 구분한다고 할 때, 직장동료와 같이 업무파트너로서 이해 증진에 목적을 두는 관계 상대방은 도구적 유대지향성의 청중이라고 하는 반면 학창시절 친구와 같이 우정과 같은 감정적 유대를 기반으로 하는 관계 상대방은 표현적 유대지향성의 청중이라고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직장동료와의 관계에서처럼 도구적 유대지향성이 강한 상대방에 대해서는 자기표현의 실패로 인한 부정적 위협의 여파가 자기표현의 성공으로 인한 긍정적 보상보다 더욱 치명적일 수 있기 때문에 긍정적 보상보다는 부정적 위협의 예방에 초점을 맞춰 수세적으로 자기표현을 하려 든다고 예측하여 보았다. 실증결과는 페이스북 상에서 직장동료들의 비중이 증가할수록 수세적 자기표현에 의한 매개 효과는 증대되는 데 반면, 쟁취적 자기표현에 의한 매개 효과는 감소하고 있음을 확인시켜 주고 있었다. The decision to actively reveal oneself as a consumer on social media depends on whether the focus is more on positive rewards than negative threats associated with self-presentation, that is, who the other party is in that relationship. The audience of self-presentation could also be divided into expressive and instrumental ties: work partners can be classified as an audience of instrumental ties, whereas school friends can be regarded as an audience of expressive ties. This study accordingly predicted that people would focus more on prevention of negative threats than positive reward, exhibiting defensive self-presentation in relationships with strong instrumental ties because the fallout from negative threats due to failed self-presentation have a more detrimental effect than a positive reward from successful self-presentation. The empirical findings thereby indicated that as the proportion of coworkers increased among Facebook friends, the mediation effect through defensive self-presentation increased, whereas such effect through acquisitive self-presentation decreased.

      • KCI등재

        리뷰의 품질이 리뷰의 유용성에 미치는 영향: 리뷰 별점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노민정(Minjung Roh) 한국디지털콘텐츠학회 2021 한국디지털콘텐츠학회논문지 Vol.22 No.6

        As online commerce becomes more popular, the use of product-related reviews has been increased. The present study focused on the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attributes of product reviews to examine the conditions under which such product reviews are more highly evaluated in terms of their usefulness. Specifically, this study focused on the text review quality among the qualitative attributes of the review and on the review star ratings among the quantitative attributes, thereby attempting to investigate the interaction effect of the two variables on the perceived review helpfulness. Using a total of 1,739,977 customer reviews concerning the tool’s category on amazon.com and performing the subsequent analysis based on natural language processing package and negative binomial regression, this study found that review quality has positively affected the perception of review helpfulness, and the positive effect of review quality on review helpfulness is maximized with the moderate level of star ratings.

      • KCI등재

        사회적 공정성에 대한 지각 및 계층상승 가능성에 대한 기대가 정서적 우울에 미치는 영향

        노민정(Minjung Roh) 한국콘텐츠학회 2021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21 No.1

        본 연구는 사회적 공정성에 대한 인식과 그로 인한 계층상승 가능성에 대한 기대감이 개인의 정서적 우울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나아가 그러한 영향력이 어떠한 조건 하에서 보다 증폭되거나 완화되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자신이 속한 사회의 공정성에 대한 인식이 보다 향상될수록 개인은 스스로의 계층상승에 대한 보다 낙관적 기대를 품게 되지만, 그러한 공정성에 대해 부정적으로 인식할수록 계층상승 가능성에 대해서도 보다 비관적으로 기대를 하게 될 수 있다. 아울러 이러한 기대의 저하는 계층 상승이라는 소기의 성과를 달성할 가능성이 낮다는 것을 의미함으로써 개인의 정서적 우울을 보다 심화시킬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계층상승 가능성의 저하로 인한 정서적 우울의 심화는 개인의 (1)사회적 자본 및 (2)경제적 자원이 결핍되어 있을 때 보다 두드러지게 심화될 수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일련의 가설들에 대한 검증을 위해 한국갤럽이 한국행정연구원의 의뢰로 수집한 총 8000명에 관한 설문자료를 활용하였으며, 분석 결과 본 연구의 모형은 지지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향후 공정성 제고 및 우울증 예방에 관한 정책의 수립과 연구 모형의 정립에 있어 이론적 토대를 마련하는데 기여하여 줄 수 있을 것이다. This paper aims to examine the effects of perceived social fairness and upward social mobility on the individual emotional depression. Specifically, this study investigates the conditions under which the effects are more or less pronounced for the sake of shedding more ligh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cognitive and psychological factors. The key proposition of this study is that as one holds more favorable beliefs about the fairness of the society to which (s)he belong, (s)he would have more optimistic expectations for the possibility of his or her own upward social mobility. Moreover, the decrease of this expectation could exacerbate his or her emotional depression with the expectation that (s)he might not get what (s)he deserves despite his or her time and effort put into achieving such goals. This study also adds further boundary conditions to these effects, such that the decrease of emotional depression is more pronounced when (1)social capital and (2)economic resources are scarce (versus abundant). To test these predictions, this study used the survey data on a total of 8000 people collected by Gallup Korea at the request of the Korea Institute of Public Administration. The analyses provided support for the proposed model of the present study. These results should contribute to laying the theoretical foundation for the establishment of policies and research models on the enhancement of fairness and prevention of depression in the future.

      • KCI등재

        COVID-19 시대 사회안전망 평가와 정부신뢰가 증세 수용에 미치는 영향: 소득 수준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노민정(Minjung Roh) 한국콘텐츠학회 2020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20 No.12

        COVID-19 팬데믹의 장기화로 인해 우리는 유례없는 사회경제적 위협에 직면해 있다. 인적 교류의 통제로 보건의료 측면에서의 위협 뿐 아니라 경제 활동 위축에 따른 부담에까지 동시에 노출되어 있다. 이러한 상황은 우리가 그간 위기상황에 대비해 마련해 놓았던 사회안전망에 대해 재점검해 볼 기회를 마련해 주었다. 본 연구는 이러한 맥락에서 사회안전망에 대한 평가가 정부의 신뢰도 및 정부 주도의 증세 정책에 대한 수용에 미치는 영향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COVID-19가 팬데믹 국면으로 접어든 이후인 2020년 5월, 전국의 성인남녀 1000명을 대상으로 시행한 설문조사의 자료를 토대로 분석을 시행하였다. 분석 결과, COVID-19 발발 이후 우리나라의 사회안전망에 대한 평가는 정부에 대한 신뢰에 정(+)의 영향력을 미치고 있었으며, 이는 개인의 증세 정책에 대한 수용을 보다 증진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울러, 정부 신뢰의 증세수용에 대한 정(+)의 영향력은 소득 수준이 높아질 때 보다 증폭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일련의 결과는 향후 코로나 이후를 대비한 정책과 시스템의 재정비에 있어 이론적 기틀을 마련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With a long-lasting pandemic of COVID-19, we have faced unprecedented socioeconomic threats. The regulation of human exchange has exposed us not only to the threat of health and medical care problems, but also to the burden of the contraction of economic activity. The outbreak of COVID-19 did give us an opportunity to reexamine the social safety net which has been prepared for such crisis situations. The current study, in this vein, aims to investigate the impact of evaluations of social safety nets on the trust in government and on individual willingness to accept tax increases. To this end, this study has explored the data from a survey conducted on 1,000 adult men and women across the country (South Korea) in May, 2020, when COVID-19 has entered a pandemic phase. The analysis result then has shown that the evaluation of social safety net after the outbreak of COVID-19 had a positive impact on the trust in the government, which in turn led to the increase of the willingness to accept tax increases. Moreover, the positive impact of trust in government on the willingness to accept tax increases has been more amplified when the income level was increased. These results could contribute to laying the theoretical foundation for restructuring the policies and systems for the post COVID-19 era.

      • KCI등재

        제품과 유통망 원산지 일치 여부가 중국 소비자들의 해외직접구매에 미치는 영향 및 항공물류산업에의 영향

        이한석 ( Han-suk Lee ),노민정 ( Minjung Roh ) 한국항공경영학회 2018 한국항공경영학회지 Vol.16 No.3

        중국 소비자들의 해외직접구매의 증가는 물류산업의 발전에 기여하고 있다. 중국 소비자들은 해외제품 구매 시 중국 온라인 쇼핑몰 또는 해외 온라인 쇼핑몰을 이용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해외브랜드 제품 구매 시 소비자들이 해외 쇼핑몰과 자국 쇼핑몰 중 어떤 것을 더 선호하는가에 대하여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실험조사를 통해 가설 검증을 시도하여 보았다. 실증 결과, 중국 소비자들은 한국 화장품을 구매하는데 있어 중국 쇼핑몰 보다는 한국 쇼핑몰을 더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제품품질, 유통점에 대한 신뢰, 구매의도의 측면에서도 더욱 높은 평가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이러한 쇼핑몰 선택에 있어서 자민족주의는 별다른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조사의 결과는 기존에 언급되었던 원산지 효과와 관련하여 해외직접구매를 촉진하기 위해서는 해당 소비자들이 속해 있는 지역 유통망 뿐 아니라 제조 원산지가 속해 있는 해외 온라인 쇼핑몰의 문턱도 전격적으로 낮출 필요가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라 할 수 있다. 아울러 항공물류산업의 활성화와 관련하여서는 국내 쇼핑몰에 대한 해외 소비자들의 접근성을 높여줄 수 있도록 정책적 제도 마련이 뒷받침 되어야 한다는 것을 보여주는 것이라 수 있다. 항공면세품 판매와 관련해서도 대한민국 국적기의 경우 대한민국 상품 판매시 제품-유통 브랜드 일치성을 적극적으로 홍보할 필요가 있음을 고려할 수 있다. The increase of overseas online shopping purchase in Chinese contributes to the development of airfreight logistics industry. Chinese consumers can buy products from Chinese shopping mall or foreign shopping mall. This research shows which shopping mall would be more preferred by Chinese consumers in cases where they attempt to buy foreign brands. To explore this issue, we performed the experimental research. The results showed that Chinese consumers prefer Korean shopping malls to Chinese shopping malls in cases where buying Korean cosmetic products. More specifically, Chinese consumers evaluated Korean shopping malls more favorably than Chinese shopping malls in terms of product quality, shopping mall trust, and purchase intention. However, the results showed no significant effects of Ethnocentrism in their selections of shopping malls. The results indeed reveal that firms should lower not only the barriers to local distribution network to which the consumers directly belong, but also the threshold of overseas online shopping mall where manufacturing firms’ origin belongs, thereby to further promote overseas direct purchasing. In relation to airfreight logistic industry, firms are also required to provide a pathway for accessing Korean shopping mall more easily in view of foreign consumers, whereas policy makers are recommended to prepare an institutional platforms to increase accessibility of foreign consumers to Korean shopping mall. Regarding the sales of duty-free products in the airplane, Korean airplane companies are recommend to emphasize the country-of-origin matching between airplane brand and duty-free brand to increase revenue.

      • KCI등재

        소비자에서 투자자로

        이한석(Hansuk Lee),노민정(Minjung Roh),김송미(Songmi Kim) 한국산업경영학회 2015 경영연구 Vol.30 No.4

        온라인을 통한 소비자들의 적극적인 참여 형태인 크라우드 펀딩은 소비자의 역할이 단순히 제품과 서비스의 소비에서 그치지 않고 적극적인 생산 및 투자 과정의 개입으로까지 확대되었다는데 의의가 있다. 본 연구는 이에 크라우드 펀딩의 도입에 따른 소비자 역할의 변화를 크라우드 펀딩 참여에의 영향 요인들을 탐색해 봄으로써 조망해보고자 하였다. 세 번의 실험이 크라우드 펀딩 참 여에의 주요 요인을 탐색할 목적으로 진행되었다. 첫 번째 실험에서는 해석수준이론에 따른 소비자들의 심리적 거리가 크라우드 펀딩 참여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살펴보았다. 두 번째 실험에서는 지각된 보상의 공정성이 크라우드 펀딩 참여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세번째 실험에 서는 사회적 영향력에 따른 소비자들의 동조효과가 크라우드 펀딩 참여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살펴보았다. 분석결과, 소비자들의 크라우드 펀딩 참여의사에는 지각된 보상의 공정성만이 유의한 영 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러한 결과는 크라우딩 펀딩 프로젝트 기획 시 소비자들의 공정성 지각을 보다 함양할 수 있는 정보 포맷의 개발 필요성을 실증적으로 입증하였다는 데에 그 의의가 있다. Crowd funding, the practice of consumers’ proactive participation via the Internet, has gained significance as the role of consumers has expanded from mere consumption of products and services to active intervention in the production and investment process.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changes in consumers’ roles with the introduction of crowd funding by examining the factors that have led them to participate in crowd funding. Three experiments were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key factors affecting their participation in crowd funding. The first experiment used the construal level theory to examine the influence of the psychological distance perceived by consumers on their participation in crowd funding. The second experiment examined the influence of the perceived fairness of rewards on participation in crowd funding. The third experiment attempted to determine the factors that had influenced consumers’ agreement based on their social influence, and the second. The study’s findings show that the perceived fairness of rewards has the greatest influence in leading consumers to participate in crowd funding. This study is significant because it proposes an elaborate and delicate theoretical framework towards the future study on crowd funding–related fields, and demonstrates the need to develop an information format that can further enhance consumers’ fairness perception in devising a crowd-funding projec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