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초등 각 교과의 쓰기 활동 양상 분석

        노들 ( Roh¸ Deul ),옥현진 ( Ok¸ Hyounjin ) 한국작문학회 2021 작문연구 Vol.- No.50

        각 교과의 학습 과정에서 쓰기 활동의 중요성이 부각됨에 따라 이러한 활동을 지원하기 위한 국어과 쓰기 영역의 역할도 중요해지고 있다. 타 교과의 쓰기 활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국어과와 타 교과 간의 상호 이해와 소통이 중요하다는 인식하에 본 연구에서는 타 교과의 쓰기 활동 요구를 파악하고 지원 방안을 탐색하려는 목적에서 초등 4학년과 6학년의 각 교과 교과용 도서에 나타난 쓰기 활동의 양상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사회, 체육, 도덕 등의 교과에서 쓰기 활동의 빈도가 높게 나타났으며, 설득 목적의 쓰기 활동에 비해 정보 전달이나 친교 및 정서 표현 목적의 쓰기 활동에 대한 빈도가 훨씬 높게 나타난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타 교과의 쓰기 활동 수준을 장르 유형과 매체 유형을 중심으로 분석해 본 결과 초등 국어과의 범위를 넘어서는 활동을 일부 확인할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타 교과의 쓰기 활동에서 학습자의 쓰기 과정을 지원하기 위한 정보를 얼마나 충실히 제공하고 있는지 분석해 본 결과 전반적으로 관련 정보가 부족하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타 교과에서 학습자의 쓰기 활동을 촉진하기 위해 개선해야 할 사항, 국어과 쓰기 영역에서 타 교과 쓰기 활동을 지원하기 위해 개선해야 할 사항에 대해 논의하였다. As the importance of writing is highlighted in the learning process of each subject area, the role of writing education is also gaining importance in supporting these writing activities in Korean Language Arts. As it recognized the importance of mutual understanding and communication between Korean Language Arts and other subject areas to facilitate writing activities in the subject areas, this study analyzed the patterns of writing activities in elementary fourth and sixth-graders’ textbook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frequency of writing activities in subject areas such as society, physical education, and moral education was higher, and that the frequency of writing activities for informative and literary texts was much higher than for persuasive texts.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level of writing activities in other subject areas based on genre and media types showed that there are activities beyond the scope of elementary Korean Language Arts. Finally, the analysis of how faithfully information is provided to support learners’ writing process in other subject areas confirmed that the relevant information is generally insufficiently presented. Accordingly, we discussed what needs to be improved to promote learners’ writing activities in other subject areas and to support other subject areas’ writing activities in Korean Language Arts.

      • KCI등재

        디지털 기반의 교과 리터러시 교육을 위한 시론: 초등학교 교과서 사례 분석을 중심으로

        노들 ( Roh Deul ),서수현 ( Seo Suhyun ),옥현진 ( Ok Hyounjin ) 한국작문학회 2020 작문연구 Vol.0 No.44

        각 교과에서 디지털 매체를 기반으로 한 학습 활동이 증가함에 따라 국어과의 도구적 역할도 디지털 매체 기반의 학습 상황으로까지 확대되어야 할 필요성이 커지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디지털 매체 기반의 학습의 토대로서 디지털 기반의 교과 리터러시라는 개념을 제안하고 관련 연구를 촉구하는 목적에서 초등 제 교과의 교과서에 나타난 디지털 매체 기반의 학습 활동 양상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디지털 기반 학습 활동은 2학년 단계에서부터 나타나기 시작하며, 5-6학년군에 와서 급격히 증가하는 양상을 보였다. 또한 수학을 제외한 대부분의 교과에서 디지털 기반 학습 활동이 비교적 고르게 나타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교과서에 제시된 활동들은 전반적으로 학습자의 실제 디지털 리터러시 발달 수준보다 높은 수준을 요구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를 해결하기 위해 교과서에 디지털 기반 학습 활동을 돕는 비계가 제시되기도 하였으나 교과마다 그 편차는 큰 것으로 나타났다. 국어 교과서에 제시된 디지털 기반 학습 활동은 타 교과의 디지털 기반 학습 활동을 지원하기에 양적으로도 많이 부족할뿐만 아니라 학습 과정에 대한 안내도 구체적이지 못하였다. 이러한 분석 결과를 토대로 마지막 부분에서는 타 교과의 디지털 기반 학습 활동에 대한 추가적인 분석이 필요하다는 점, 교과 리터러시에 대한 재개념화 논의가 필요하다는 점, 교실에서 나타날 수 있는 다양한 유형의 디지털 격차를 해소하기 위한 방안이 필요하다는 점을 언급하였다. As digitally-mediated learning increases in each subject, there is a growing need to extend the role of the Korean Language Arts to the digital media-based learning situation. Therefore, this study proposed the concept of digital content literacy and aimed to analyze the aspects of digitally-mediated learning activities in the textbooks of elementary subject to promote related research. The results showed that digitally-mediated learning activities began to appear from the 2nd grade level and showed a sharp increase in the 5-6th grade level. It also showed that digitally-mediated learning activities appeared relatively evenly in most subjects except math. The activities presented in the textbooks generally showed a higher level than the actual level of digital literacy development of learners. To solve this, scaffolding to help digitally-mediated learning activities were presented in the textbooks, but the variation was large for each subject. The digitally-mediated learning activities presented in Korean textbooks were not quantitatively insufficient to support activities in other subjects, and the guidance on the learning process was not specific. Based on the results, the last part emphasized that additional analysis of digitally-mediated learning activities of other subjects, discussion of reconceptualization of subject literacy, and ways to bridge the various types of digital gaps that may appear in the classroom are needed.

      • KCI등재

        비대면 수업에서 초등학생의 디지털 리터러시 수준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

        노들 ( Roh Deul ),김희동 ( Kim Heedong ) 국어교육학회 2021 國語敎育學硏究 Vol.56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코로나 19로 인해 실시된 비대면 수업에서 디지털 리터러시 활동을 할 때 교사들이 인식하는 초등학생들의 디지털 리터러시 수준을 분석하여 그 교육적 방안을 모색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서울시에서 근무하고 있는 초등교사 9명을 대상으로 반구조화된 인터뷰를 하였으며, 인터뷰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부분의 초등 학습자들이 기초적인 디지털 기기 조작 기능에 어려움을 보였으며, 둘째, 새로운 플랫폼에 대한 적응력이 낮았다. 셋째, 디지털상에서 장문의 작문 활동을 하는데 어려움을 보였고, 넷째, 장르와 소통 공간을 인식하는 데에도 어려움을 겪고 있었다. 따라서 이를 해결하기 위해 먼저 초등 학습자들의 디지털 리터러시 수준에 대한 보다 명확한 진단이 필요하며, 성취기준을 제시함으로써 디지털 리터러시에 대한 보다 명시적인 교육을 할 필요가 있다고 보았다. This study aimed to analyze the levels of digital literacy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as identified by teachers conducting digital literacy activities in non-face-to-face classes during the COVID-19 pandemic and to propose suitable educational measures. Semi-structured interviews were held with nine elementary school teachers working in Seoul.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most elementary learners encountered difficulties in managing basic digital device functions; second, they showed low adaptability to new platforms; third, they encountered difficulties in doing writing on digital platforms; and fourth, they also found it difficult to recognize genres and communication spaces. Therefore, to address these issues, it is necessary to determine the levels of digital literacy among elementary learners and provide more explicit training on digital literacy by introducing achievement criteria.

      • KCI등재

        우리나라 초등 6학년 학습자들의 디지털 리터러시 성취 수준 탐색

        노들 ( Roh¸ Deul ),윤하영 ( Yoon¸ Hayoung ),옥현진 ( Ok¸ Hyounjin )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21 교육문화연구 Vol.27 No.4

        디지털 미디어의 영향력이 갈수록 커짐에 따라 디지털 리터러시에 대한 교육적 요구 또한 증가하고 있으나, 우리 초중등 교육과정은 아직 그 요구를 충실히 반영하지 못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디지털 리터러시의 내용 요소를 체계적으로 마련하기 위한 방안의 하나로 초등 학습자의 실제 과제 수행 과정을 분석하여 디지털 리터러시 수준을 진단하고 이를 토대로 우선적으로 고려해야 할 디지털 리터러시 내용 요소를 추출하고자 하였다. 이 연구에는 초등학교 6학년 학생 20명이 참여하였으며, 연구자들은 이들이 수행한 과제를 분석하여 디지털 리터러시의 수준을 진단하였다. 분석 결과 대다수의 학습자들이 ‘평가하기’ 범주에서 낮은 성취 수준을 보인 반면, ‘제작하기’ 범주에서는 전반적으로 높은 성취 수준을 보였다. 또한, ‘조작하기’ 범주에서는 학습자들 사이의 편차가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이를 토대로 다음과 같은 결론 및 제언을 제시하였다. 첫째, 향후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을 계획할 때 절반 이상의 학습자들이 낮은 성취 수준을 보인 평가하기 범주를 중점적으로 고려할 필요가 있다. 둘째, 학습자들의 디지털 리터러시 수준에 영향을 미친 요인에 대한 심층적인 연구가 뒷받침될 필요가 있다. 셋째, 학습자들 사이에서 보이는 디지털 리터러시의 편차를 줄이기 위해 초등 저학년 단계부터 매체적응교육을 포함한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을 지속적이고 체계적으로 실시할 필요가 있다. Despite the increasing need for digital literacy education due to the high influence of the digital media, the national curriculum has not been able to meet the educational demands. In response, this study analyzed the actual level of elementary school learners’ digital literacy and extracted digital literacy elements that should be considered first as part of a systematic plan to prepare content elements for digital literacy education. In this study, 20 sixth grade students participated and researchers analyzed the tasks the students performed and diagnosed the level of their digital literacy. According to the analysis, the majority of learners showed a low level of achievement in the “evaluation” category, while the overall level of achievement in the “production” category was high. Furthermore, the deviation between learners was noticeable in the manipulation’ category. On this basis, the following conclusions and suggestions were presented: First, when planning future digital literacy education, the curriculum should focus on the evaluation category in which more than half of the learners showed a low level of achievement. Second, in-depth research on factors that have affected learners' digital literacy levels is required. Third, digital literacy education, including media adaptation education, needs to be continuously and systematically implemented from the lower grade of elementary school to close the gap in students’ digital literacy skill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