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초등 교사의 과학 교육 과정의 구성에 대한 인식과 과학의 본성에 대한 관점과의 상관

        김명호 ( Myong Ho Kim ),남일균 ( Il Kyun Nam ),권성기 ( Sung Gi Kwon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 2010 초등과학교육 Vol.29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s between elementary school teachers` points of view about the organization of the science curriculum and their views on the nature of science (NOS). We surveyed 132 elementary school teachers` view points about these two kinds of views, analyzed the data by their variables, and compared the two viewpoints with their personal details. The elementary school teachers thought the science curriculum should be emphasized through the process more than contents. They thought the contents of the science curriculum should be integrated rather than separated. As teachers` career progressed, they focused on the contents more than the process. On the other hands, because elementary school teachers showed the NOS views as relativism, deductivism, decontextualism, content, and instrumentalism, when we plotted sub-viewpoints of NOS in process-content dimension, we thought it would be similar distributions with point of views on the organization of science curriculum. However, there was no meaningful relation. This showed that teachers` views on the organization of the curriculum and the NOS are totally different. These findings suggest further research is needed to find how factors influence elementary school teachers` views on the organization of the science curriculum and what inclinations can occur in science classes with their different views.

      • 태양광 에너지 학습에 대한 초등학생들의 흥미 특성 분석

        남일균, 권성기, 임성민 大邱敎育大學 科學敎育硏究所 2016 과학·수학교육연구 Vol.39 No.-

        교육적 패러다임의 변화와 지속발전이라는 새로운 시대적 담론의 등장은 태양광 에너지 학습에 대한 과학적 소양교육 강화의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특히 태양광 에너지는 중등과학의 다른 에너지 주제들과 연결되어 있고 태양광 에너지와 관련된 개념들은 초등학생들의 일상생활 속에서 구성되고 있기 때문에 태양광 에너지에 대한 더욱 효과적이고 실제적인 과학교육의 모델이 제시되어야 할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맥락에서 초등학생들의 태양광 에너지학습에 대한 흥미의 특성을 분석하였다. 3개 초등학교와 G시의 교육지원청 영재교육원에서 수학중인 초등학생과 초등 영재학생 299명에 대한 요인분석 결과 태양광에너지 학습에 대한 초등학생들의 흥미는 주제, 동기, 활동차원으로 분리 되었다. 주제 차원은 어떤 의미 있는 하위차원을 가지지 않았고 반면 동기차원은 도구적 동기와 과정적 동기로 구분되었다. 활동차원은 역시 정보 수용, 지식 생산 그리고 체험 활동으로 분리 되었다. 초등학생들은 성별, 태양광 에너지에 대한 선행학습의 정도와 유형, 장래희망과 연구대상 학생들의 집단별 특징에 따라 태양광에너지 학습에 대한 다양한 다차원적 특징들을 보여주었고 이러한 연구의 결과는 효과적인 태양광에너지 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해 초등학생들의 이러한 흥미의 특징을 반영해야 함을 시사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