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IEKCI등재
      • KCI등재

        Burkholderia pyrrocinia CAB08106-4 균주를 이용한 마늘 흑색썩음균핵병의 생물학적 방제

        한광섭,김병련,김종태,함수상,홍기홍,정창국,남운규,유승헌,최재을 한국식물병리학회 2013 식물병연구 Vol.19 No.1

        White rot caused by Sclerotium cepivorum was reported to be severe soil-born disease on garlic. Disease progress of white rot of garlic (Allium sativum L.) was investigated during the growing season of 2009 to 2011at Taean and Seosan areas. The white rot disease on bulb began to occur from late April and peaked in late May. The antifungal bacteria, Burkholderia pyrrocinia CAB08106-4 was tested in field bioassay for suppression of white rot disease. As a result of the nucleotide sequence of the gene 16S rRNA, CAB008106-4strain used in this study has been identified as B. pyrrocinia. B. pyrrocinia CAB080106-4 isolate suppressed the white rot with 69.6% control efficacy in field test.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B. pyrrocinia CAB08106-4isolate could be an effective biological control agent against white rot of garlic. Sclerotium cepivorum에 의한 흑색썩음균핵병은 마늘에큰 피해를 주는 중요한 토양병이다. 충남 서산 및 태안의마늘 재배농가 포장을 중심으로 2009년부터 3년간 조사한 결과, 흑색썩음균핵병은 4월 하순부터 발생을 시작하고, 5월 중순에 발병이 급격히 증가하여 5월 하순에는 최고 발병률을 나타내었다. 본 시험에 사용된 길항미생물CAB008106-4 균주는 16S rRNA gene의 염기서열 분석결과 Burkholderia pyrrocinia로 확인되었다. B. pyrrociniaCAB08106-4 균주는 흑색썩음균핵병에 대하여 69.6%의포장방제효과를 보였다. 이러한 결과로 B. pyrrociniaCAB08106-4는 마늘에 발생하는 흑색썩음균핵병에 대하여 효과적인 생물적 방제제로 활용이 가능함을 확인할 수있었다.

      • KCI등재

        나리에서 분리한 잎마름병균의 살균제에 대한 감수성 변화와 포장 방제

        함수상,경기천,김병련,한광섭,최종진,남운규,유승헌 한국식물병리학회 2013 식물병연구 Vol.19 No.1

        국내 나리 주산단지에서 분리한 Botrytis elliptica 48개균주와 Botrytis cinerea 23개 균주를 대상으로 농가포장에서 사용되고 있는 살균제에 대한 약제저항성 검정을 실시하였다. 살균제 benomyl과 mancozeb에 대한 EC50 값은500−1,000 μg/ml로 시험에 사용된 모든 약제 중에서 가장 높게 나타나 이 약제들은 나리재배 포장에서 잎마름병에 대한 방제 효과가 거의 없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또한 나리 재배농가에서 잎마름병 방제약제로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dicarboximide계 procymidone 살균제와iprodione 살균제의 경우, EC50 값 5−50 μg/ml은 각각93.7%와 100%이었고, diethofencarb/carbendazim 합제와fludioxonil 살균제의 EC50 값 0−0.1 μg/ml 범위는 각각98.0%와 93.8%이었다. 한편, 비가림 포장 재배에서의 잎마름병 방제 효과는 발병 직후 iprodione 약제, diethofencarb/carbendazim 합제, fludioxonil 약제를 교호적으로 4회 살포하였을 때 가장 우수하였다. Forty eight isolates of Botrytis elliptica and 23 isolates of B. cinerea from several locations in Korea were tested for resistance to fungicides used in the farmer's fields. Isolation frequency of B. elliptica having EC50 (effective concentration of 50%) value 500−1000 μg/ml to benomyl and mancozeb appeared highly, suggesting that the two fungicides are not effective in controlling leaf blight of lily in the field. The isolates were tested for resistance to fungicides procymidone and iprodione which were most commonly used in the farmer's fields. The rates of EC50 value 5−50 μg/ml to procymidome and iprodione were 93.7% and 100%, respectively, and those of 0−0.1 μg/ml to diethofencarb+carbendazim and fludioxonil were 98.0% and 93.8%, respectively. In the rain-protected cultivation, control of leaf blight of lily was the most effective when iprodine,diethofencarb+ carbendazim, and fludioxonil were sprayed alternately four times during the growing seas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