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유아의 마음이론 및 어머니의 언어통제가 유아의 사회적 유능감에 미치는 영향

        남연정(Nam, Younjung),김희태(Kim, Wheetai) 한국열린교육학회 2014 열린교육연구 Vol.22 No.2

        본 연구는 유아의 성과 연령에 따른 마음이론, 어머니의 언어통제 유형 및 유아의 사회적 유능감의 차이와 마음이론 및 어머니의 언어통제 유형이 유아의 사회적 유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110명의 유아와 그들의 어머니를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마음이론 발달에서 성과 연령차가 나타났으며, 어머니의 언어통제 유형과 유아의 사회적 유능감에서 성차가 나타났다. 마음이론과 사회적 유능감과의 관계에서 마음이론의 하위 요소인 믿음이해와 대인관계기술과는 정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어머니의 언어통제 유형의 명령지향적 언어통제와 사회적 유능감의 대인관계 기술, 사회적 규범이해에서 부적 상관이 나타났다. 마음이론과 어머니의 언어통제 유형이 사회적 유능감에 미치는 영향력을 알아본 결과 어머니의 명령지향적 언어통제가 유아의 사회적 유능감의 정서조절, 정서성, 사회적 규범이해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이며, 어머니의 명령지향적 언어통제와 믿음이해가 대인관계기술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유아의 사회적 유능감 증진을 위한 계획에 있어서 성차를 고려하여야 하며, 마음이론과 어머니의 언어통제가 유아의 사회적 유능감에 영향을 미치고 있으므로 이를 사회적 유능감 증진에 필요한 요인으로 다룰 수 있음을 시사한다. This study aimed to find out the effect of young children's theory of mind and mother's language control patterns on young children's social competence and the difference between theory of mind, mother's language control patterns, and social competence according to young children's gender and age. 110 young children and their mothers were analysed using several tests with rating scales.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gender and age difference in the theory of mind, in mother's language control patterns and in young children's social competence. A positive correlation and a negative correlation appeared in imperative-oriented control of the mother's language control patterns, in achievement of interpersonal skills for social competence, and in understanding of social norms. This study showed that theory of mind and mother's language control patterns were effective for young children's emotional control, emotionality, understanding of social norms, and trust understanding toward elevating young children's social competence. This study also showed that mother's imperative-oriented control was effective for young children's achievement of interpersonal skills. This study therefore implies that young children's gender and age difference should be considered for their social competence, and also that the theory of mind and mother's language control have affected young children's social competence, which should be treated as a necessary factor for social competence improvement.

      • KCI등재

        보육교사의 정서노동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 사회적지지와 행복감의 직렬이중매개효과

        남연정(Nam, Younjung),김희태(Kim, Wheetai)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sequential mediation effect of social support and happiness in the influence of childcare teachers emotional labor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data were collected from 206 childcare teachers working in G-City in Gyeongsangbuk-do. For data analysis, SPSS 22.0 and SPSS Process Macro v3.5 were used. and each variable was calculated Pearson s product-monent correlation. In order to investigate the mediation effect of social support and happiness in the influence of emotional labor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sequential mediation effect was conducted using Model 6 of the PROCESS Procedure for SPSS Version 3.5 distributed by Hayes (2013).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Each variable showed a significant positive (+) correlation for each. Second, Emotional labor had a positive effect on social support and happiness and social support had a positive influence on happiness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Happiness was also foun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Third, it was found that social support and happiness had a fully medi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labor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The high emotional labor of childcare teachers receive to the social support of organizational members, and the socially supported childcare teachers have a higher sense of happiness, suggesting that they can increase organizational immersion as a result. 본 연구는 보육교사의 정서노동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에서 사회적지지와 행복감의 이중매개효과를 파악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경상북도 G시에 근무하는 어린이집 보육교사 206명을 대상으로 2020년 3월 27일부터 4월 20일까지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의 분석은 SPSS 22.0과 SPSS Process Macro v3.5를 사용하였다. 각 변인간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Pearson의 적률상관계수를 산출하였으며, 정서노동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에서 사회적지지와 행복감의 매개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Hayes(2013)에 의해 보급된 PROCESS Procedure for SPSS Version 3.5의 Model 6을 사용하여 직렬이중매개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각 변인들은 모두 각각에 대해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둘째, 정서노동은 사회적지지, 행복감에 정적 영향을 미쳤고, 사회적 지지는 행복감과 조직몰입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행복감 또한 조직몰입에 정적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사회적지지와 행복감은 정서노동과 조직몰입과의 관계에서 완전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보육교사의 높은 정서노동은 조직 구성원의 사회적지지를 이끌어 내고, 사회적지지를 받은 보육교사는 행복감이 높아져 이는 결과적으로 조직몰입을 높일 수 있음을 시사한다.

      • KCI등재

        보육교사 전문성 측정도구 개발 및 타당화 : 영아보육교사를 중심으로

        남연정(Nam, Younjung) 한국열린교육학회 2021 열린교육연구 Vol.29 No.1

        본 연구는 영아를 담당하는 보육교사의 전문성 측정도구를 개발하고 신뢰도 및 타당도를 검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최종 개발된 측정도구의 타당화를 위한 연구대상은 서울, 경기 및 충청지역의 어린이집에서 영아반을 담당하고 있는 보육교사 569명이었다. 연구 결과 영아보육교사의 전문성 척도는 총 70문항으로 구성되었으며, 하위요인은 지식적 능력, 인성적 자질, 돌봄 능력, 관계적 능력, 보육과정운영 등 5요인이었다. 본 척도의 신뢰도 범위는 .88에서 .95로 나타났으며, 전체 신뢰도는 .98이었다. 본 연구는 영아보육교사의 전문성에 대한 개념 탐색과 영아보육교사의 전문성을 측정할 수 있는 척도가 충분하지 않은 상태에서 영아를 담당하는 보육교사의 전문성을 측정하기 위한 타당도와 신뢰도가 확보된 도구를 개발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n effective instrument which could evaluate the level of infant-toddler child-care teachers professionalism as well as explore factors constituting their professionalism. In order to verify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each item with respect to professionalism, data was collected from 569 child-care teachers across “Infant-toddler” classes in Seoul, Gyeonggi-Do, Incheon, and Daejeon province. The results revealed that the professionalism self-evaluation scale for infant-toddler child-care teachers consisted of five subfactors divided into 70 items. Those subfactors were knowledge-based competence, personality quality, caring ability, cooperative ability, and ability to handle child-care curriculum. The analysis was conducted to verify that these five subfactors were proper in term of organizing professionalism, drawing results that ranged from .87-.88 between the five subfactors, and the total average provided a high positive correlation as well as .56 to .76 among each subfactor. This result confirmed that each of the subfactors bore an organic relationship and formed a single job. The model of the professionalism self-evaluation scale for infant-toddler child-care teachers developed in this study were confirmed as suitable.

      • 다문화 감수성을 활용한 유아교사의 젠더 감수성 교육 탐색

        문명희(Myounghee Moon),남연정(Younjung Nam) 한국영유아교육실천학회 2023 영유아교육실천연구 Vol.1 No.2

        본 연구는 글로벌 시대에 즈음하여 유아교육의 방향이 어떻게 되어야 하는지를 다문화 감수성을 활용한 유아교사의 젠더 감수성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이를 위해 다문화 감수성을 활용한 유아교사들의 젠더 감수성에 대한 국내·외 학술지 60여 편과 교육과정 문서, 교육부 웹페이지, 매체 등을 분석대상으로 삼았고 다문화 감수성을 활용한 유아교사들의 역할과 자세, 교육철학 등을 기준으로 분석하였다. 분석결과는 유아교사의 젠더 감수성 기회 갖기와 유아교사의 젠더 감수성 교실 조성하기로 나눠볼 수 있다. 먼저, 유아교사의 젠더 감수성 기회 갖기는 유아들의 다양한 젠더 인정하기, 여러 유아와의 사회적 상호작용하기, 공감하고 정서적으로 지원하기, 유아발달에 적합하도록 제안하고 질문하기, 유아 개별 특성을 고려하기이다. 둘째, 유아교사의 젠더 감수성 교실 조성하기는 일상생활 속에서 젠더 실천하기, 유아 개개인을 차별 없이 존중하기이다. 이를 위하여 유아교육에 적합한 다문화 감수성을 활용한 유아교사를 위한 젠더 감수성 교육이 이루어질 필요가 있음을 제안하는 바이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gender sensitivity of early childhood teachers using multicultural sensitivity to determine what direction early childhood education should be in the global era. For this purpose, about 60 domestic and foreign academic journals, curriculum documents, Ministry of Education web pages, and media on the gender sensitivity of early childhood teachers using multicultural sensitivity were analyzed, and the roles, attitudes, and education of early childhood teachers using multicultural sensitivity were analyzed. It was analyzed based on philosophy, etc. The results of the analysis can be divided into providing opportunities for early childhood teachers to be gender sensitive and creating gender sensitive classrooms for early childhood teachers. First, opportunities for early childhood teachers to be gender sensitive include acknowledging children’s diverse genders, interacting socially with many children, empathizing and providing emotional support, making suggestions and asking questions appropriate for children’s development, and considering children’s individual characteristics. Second, creating a gender-sensitive classroom for early childhood teachers involves practicing gender in daily life and respecting each child without discrimination. To this end, we propose that gender sensitivity education for early childhood teachers utilizing multicultural sensitivity appropriate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needs to be provid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