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국내 이용 주요 조사료원의 영양소 함량 및 반추위 In situ 소실율 평가

        나영준,이경원,홍경희,임종수,김명화,김경훈,이상락,Na, Young Jun,Lee, Kyung Won,Hong, Kyung Hee,Lim, Jong Soo,Kim, Myeong Hwa,Kim, Kyeong Hoon,Lee, Sang Rak 한국초지조사료학회 2013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Vol.33 No.4

        This study is conducted to estimate the nutrient compositions and in-situ ruminal disappearancerates of roughage sources which are commonly used in South Korea. Twelve types of roughage sources are being selected based on surveys from more than 50 farms, and 12 samples from various farms and companies are collected and analyzed for their nutritive components and minerals. Two Hanwoo steers (BW $526{\pm}14$ kg) with ruminal cannula are used to investigate in situ ruminal degradability. Five roughage sources, timothy hay, alfalfa pellet, rice straw, klein grass hay and tall fescue straw, are all selected from 12 roughage sources above for further experiments. Overall, the nutrient components and minerals from the 12 roughage sources have shown low values when comparing with standard tables of feed compositions in Korea. In situ dry matter disappearance rate is recorded as high in order of klein grass, timothy, alfalfa pellet, tall fescue and rice straw. In situ crude protein disappearance rate is high in order of alfalfa pellet, klein grass, timothy, tall fescue and rice straw. 본 연구에서는 국내에서 반추가축에게 주로 이용되는 조사료원들의 영양소 함량 및 반추위 in situ 소실율을 평가하기 위해서 수행하였다. 착유우 30두 이상의 50여개 농가를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를 토대로 선정한 12종류의 조사료를 다양한 수입원을 고려하여 확보한 다음, 주요 영양소 성분과 미네랄을 분석하였다. 또한 그 중 5개의 조사료원(티모시, 알팔파펠렛, 볏짚, 클라인글라스 및 톨페스큐)을 선정하여 반추위 cannula가 장착된 거세 한우 2두(평균체중 $526{\pm}14$ kg)를 이용하여 반추위 in-situ 소실율을 평가하였다. 조사한 조사료원들의 영양소 함량은 한국표준사료성분분석표에 비하여 전반적으로 낮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최종 반추위 in-situ 건물 소실율은 클라인글라스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티모시, 알팔파 펠렛, 톨 페스큐, 볏짚 순으로 낮아졌다. 최종 조단백질 소실율은 알팔파 펠렛이 가장 높았으며 클라인 글라스, 티모시, 톨페스큐, 볏짚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 다중 누진제 도입을 통한 피크 부하 감소

        나영준(Young-Jun Na),최낙현(Nak-Hyun Choi),권상혁(Sang-Hyuk Kwon),윤용태(Yong-Tae Yoon),이상성(Sang-Sung Lee) 대한전기학회 2009 대한전기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Vol.2009 No.7

        에너지 절약은 매우 큰 이슈이다. 현재 우리나라에서는 요금체계에 누진율을 적용함으로써 전기에너지 절약을 실현하고 있다. 하지만 에너지 소모를 증가시키는 피크부하 발생을 억제하기에는 부족한 면이 많다. 이러한 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역 누진제를 추가로 적용한 다중 누진제를 제시한다. 피크부하 발생을 억제하면서 기존의 이윤을 유지하는 방안을 마련한다. 밤에 역 누진제를 적용함으로써 밤의 전력사용량을 증가시키고 낮의 전력 사용량을 감소시켜서 시간별 전력 수요편차를 줄이고 낮의 기존 누진제 체계에 선형적인 요금 증가로 역 누진제 사용에 의한 이윤 감소를 어느정도 보충할 것이다. 이러한 방법을 통하여 피크부하 발생을 줄이고 결과적으로 에너지 절약을 실현할 것이다.

      • 스마트 미터 도입에 따른 가치 측정 방안

        장영식(Young-Sik Jang),최태섭(Tae-Seop Choi),나영준(Young-Jun Na),윤용태(YongTae Yoon),이상성(Sang-Seung Lee) 대한전기학회 2009 대한전기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Vol.2009 No.11

        국내 및 해외에서는 기존의 미터링 체제에서 보다 발전된 시스템을 도입을 통해서 전기에너지 절감에 초점을 맞춘 프로젝트가 진행되고 있다. 예를 들면, 그리스의 경우에서는 Tailored Information을 개별사용자들에게 제공하여 에너지 절감을 유도하는 프로젝트를 진행하였고, 우리나라의 경우는 현재 제주도 실종단지를 통해서 가격정보제공을 통해서 사용자들의 에너지 절감을 유도하고 있다.[1][4] 즉, 최근 전력산업의 구조적인 측면에서 많은 변화가 일어나고 있으며, 그 중 우리나라에서 가장 활발한 부분이 녹색성장이라는 이름 하에서 실시되고 있는 스마트 그리드 부분이다. 정부에서 추진하는 이 과분이다. 성공여부를 위한 경분학적인 부분에서 먼저 접근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스마트 그리드라는 정책 하에서 살필 수 있는 스마트 미터의 보급을 원활이 하기위한 소비자 수익성 증대방안으로 효율적인 메커니즘에 대한 연구가 될 것이다.

      • Demand Response 시장에서 LSE의 전략

        이호철(Ho-Chul Lee),나영준(Young-Jun Na),유태현(Tae-Hyun Yoo),노준우(Jun-Woo Noh),이상성(Sang-Seung Lee),윤용태(Yong Tae Yoon),박종근(Jong-Keun Park) 대한전기학회 2010 대한전기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Vol.2010 No.7

        본 논문에서는 수요자원시장 즉, Demand Response(DR)시장이 개설되어 운영될 경우 LSE(Load Serving Entity)의 전략에 대해 연구하였다. LSE는 수요감축으로 인해 소매판매량이 줄어들어 수입이 줄어드는 측면도 있지만 도매시장의 가격하락으로 전력구입 비용이 감소한다는 인센티브가 있다. 따라서 DR자원 활용에 대한 비용을 LSE가 보상하고 있으며 DR자원시장에 LSE가 참여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런 환경에서 LSE는 DR자원의 참여량을 결정하여 자신의 수익을 최대화하는 전략을 취할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자신의 수익을 최대화하는 LSE의 전략을 제안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