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신증후 출혈열에서 동반된 자발성 부신 출혈 1 예

        나영숙,조문숙,박원도 인제대학교 1997 仁濟醫學 Vol.18 No.4

        신증후 출혈열은 바이러스에 의한 일종의 급성 전염성 출혈성 질환군으로 특징적인 3대 주증상인 발열, 출혈 증상 및 신병증을 유발한다. 출혈 증상은 모세혈관의 취약성, 각종 혈액 응고인자의 감소, 혈소판 수 및 응집능 감소 등에 의해 자발성 출혈 혹은 경미한 외상 등으로 전신의 어느 조직에서나 발생할 수 있는데 약 10-30%에서 임상적으로 문제가 되는 출혈성 합병증을 동반한다. 본 저자들은 신증 후 출혈열을 진단받은 후 자발성 부신 출혈을 동반한 경우를 치험하였기에 문헌 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Hemorrhagic fever wish renal syndrome is the designation for a group of acute infectious hemorrhagic illnesses caused by viruses, which developes three main characteristic symptoms, such as fever, hemorrhage, and renal insufficiency. Hemorrhage can be developed on any tissue of body by spontaneous bleeding or minor trauma, which is caused by fragility of capillaries, decrease of many sorts of coagulation factors, and decrease of platelet count and dysfunction, such hemorrhage brings about clinically significant hemorrhagic complication in 10-30%. We experienced one case of spontaneous adrenal hemorrhage as complication of hemorrhagic fever with renal syndrome in 23-year-old female. We report this case with reviewing literatures.

      • KCI등재후보

        최저재판매가격유지행위의 규제

        나영숙 한국법경제학회 2011 법경제학연구 Vol.8 No.2

        The Monopoly Regulation and Fair Trade Act(hereinafter‘MRA’) reguires‘unjustness or lack of justifying factors’, o‘r anti-competitiveness or unfairness’in order to establish the illegal acts of collaboration, merger, abuse of dominance, and unfair trade practices. Only the main clause of the article 29 (1) stipulates that resale price maintenance(hereinafter‘RPM’) is prohibited, not requiring any normative factor. The same provision allows maximum RPM to be legal by relying on the exception clause. This raises the interpretive issue whether exceptions can also be allowed to the minimum RPM. In order to solve the issue, we should first clarify what the reason for prohibiting resale price maintenance is. Some argues that it is prohibited because it coerces other enterprises’ will. This opinion finds its ground in article 2, paragraph 6 in that the concept of‘ forcing or binding’is used to define RPM. However,‘forcing or binding’here simply means ‘effectively enforceable’or‘not just being the expression of hope’, and not necessarily means ‘mandating involuntary acceptance’. The decision of the Supreme Court of Korea, 99두 11141, also finds the meaning in this way. Under the market economy where‘freedom of contract’is guaranteed, accepting others’ request is just part of voluntary contract or trade, in consideration of getting corresponding benefit from the other party in return. Therefore,‘forcing or binding’the level of resale price in article 29 (1) should be understood as suggesting voluntarily acceptable condition unless proved otherwise. This leads us to the finding that the reason for RPM to be prohibited lies in its possible‘anti-competitive’effect. In other words, it is prohibited because RPM limits the degree of price competition on distributional level. If RPM is prohibited because of its anti-competitiveness, whether or not we should allow exceptions for minimum RPM will depend on whether it can bring any pro-competitive effect. Scholars have agreed that minimum RPM can have pro-competitive effect. Furthermore, in Leegin case of 2007 the Supreme Court of the U.S. held that it would change the approach to minimum RPM from per se illegal to rule of reason. This implies that the pro-competitive effect of minimum RPM is not ignorable. According to Leegin, the illegality of minimum RPM should be decided after considering both the intra-brand anti-competitive effect and the interbrand pro-competitive effect. Considering the possible pro-competitive effect of minimum RPM, it would be unconstitutional if we totally ban the conduct without any exception. More specifically, first it would infringe the freedom of businesses by excessive prohibition; and second, it would infringe the right to equal treatment since other violations under the MRA allow justifying factors. The exemption under the article 29 (2) is only open to a certain scope of products, still remaining the issue of unconstitutionality. Foreign competition laws of the U.S., EU, and Japan also allow minimum RPM to be justified when its final effect is pro-competitive. Therefore, it would be desirable that we add an exception clause explicitly for the minimum RPM in article 29 (1). However, even under the current statute the main clause of article 29 (1) should be interpreted in the way that minimum RPM is allowed once its procometitiveness is proved. This interpretation would make the provisions of the MRA harmonized each other, and conformed to the constitutional principles. Additionally the following arguments support this way of interpretation: first, the Supreme Court of Korea held in its 89다카29075 decision that‘unjustness’was required to establish RPM when there was no exception clause at all even for maximum RPM; second, the current conditional clause for maximum RPM can be interpreted as an exemplification, and not denying its possible application to minimum RPM when there is certain pro-competit... 독점금지 및 공정거래에 관한 법률(이하‘공정거래법’이라 함)은 경제력집중에 관한 규제가 아닌 한, 이 법의 위반이 되는 행위에 대하여‘부당성 또는 정당한 이유 없음’또는‘실질적 경쟁제한성 또는 공정한 거래를 저해할 우려’라고 하는, 행위에 대한 일정한 규범적 판단을 요구하고 있다.‘최저재판매가격유지행위’를 규정한 제29조 제1항 본문만이 이러한 규범적 판단 없이 당해 행위 유형에 해당하기만 하면 바로 위법이 되는 것처럼 규정되어 있다. 최고재판매가격유지행위의 경우에는 같은 항의 단서를 통하여 일정한 규범적 정당화 사유가 존재하면, 위법을 면할 수 있는 길이 열려 있다. 이는 최저재판매가격유지행위의 경우에도 위에 준한 규범적 판단을 통한 정당화를 허용할 것인지, 아니면 제1항 본문을 문자적으로 해석하여 최저재판매가격유지행위라는 행위의 유형을 충족하는 한 절대적으로 금지된다고 해석할 것인지의 해석상의 문제를 제기한다. 이 문제를 논하려면 재판매가격유지행위의 위법성의 본질에 대한 규명이 선행되어야 할 것이다. 공정거래법 제2조 제6호가‘강제 내지 구속’의 개념을 사용하여 재판매가격유지행위를 정의한 것을 근거로, 재판매가격유지행위의 위법성의 본질을 의사억압성에 있다고 주장하는 견해가 있으나, 여기서의‘강제 내지 구속’의 개념은 재판매가격유지행위가 성립하기 위한 전제로서‘실효성 있는’조건이 부가될 것을 규정한 것에 지나지 않으며 반드시‘비자발적 구속’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라고 보아야 한다. 대법원 99두11141 판결도 같은 취지로 판시하고 있다. 계약자유의 원칙이 인정되는 시장경제체제하에서는 일정한 제약을 부담하는 것은 이에 상응하는 반대급부를 받음으로써 개인의 만족을 증가시키려는 계약, 즉 거래의 성립의 일부로 흔히 있는 일이고, 이때 부담하는 제약은‘자발적 구속’이라고 보아야 할 것이다. 재판매가격유지행위를 성립시키는 구속도 의사억압성에 관한 별도의 입증이 없는 한, 원칙적으로 자발적 구속이라고 보아야 할 것이다. 그렇다면 재판매가격유지행위의 위법성의 본질은‘경쟁제한성’에서 찾아야 할 것이다. 즉, 일정한 실효성 있는 구속력을 수반하여 가격유지의 부담을 거래상대방으로 하여금 지게 함으로써, 그 상품 또는 용역의 가격이 지정된 범위 내로 고정되어 가격경쟁을 제한할 가능성에서 위법의 본질을 찾아야 할 것이다. 재판매가격유지행위의 위법성의 본질이 경쟁제한성에 있다면, 최저재판매가격유지행위에 대하여 예외를 인정할 것인가의 문제는 최저재판매가격유지행위가 경쟁에 미치는 효과와 직결된다. 국내외 학자들의 지배적 견해는 최저재판매가격유지행위가 친경쟁적 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는 것에 대해서 긍정한다. 뿐만 아니라, 2007년 미국의 Leegin 판결은 그러한 친경쟁적 효과가 단순히 존재할 뿐 아니라 미국 경쟁법상 최저재판매가격유지행위에 대하여 적용되던 법 원칙을‘당연위법’에서‘합리의 원칙’으로 전환할 만큼, 유의미하게 다수 존재한다는 것을 적극적으로 확인해 주었다. 이 판결에 따르면, 최저재판매가격유지행위의 효과는 상표 내 경쟁제한효과와 상표 간 경쟁촉진효과를 비교형량하여 결정하여야 하며, 상표 간 경쟁촉진효과로는 비가격고객서비스 촉진, 신규 진입의 촉진, 소비자의 선택의 폭 증진 등이 있을 수 있다. 최저재판매가...

      • KCI등재

        역지불합의에 대한 경쟁법적 규율 : 우리나라와 미국 판례의 비교 분석을 중심으로

        나영숙 한국경제법학회 2015 경제법연구 Vol.14 No.1

        ‘Reverse payments’ occur when a patentee and a patent infringement defendant settle an infringement litigation with an arrangement under which the patentee pays the alleged infringer to stay out of the market for the period of time covered by the settlement. How to treat reverse payments under the competition laws depends on the policy choice between the protection of patent rights and the protection of competition. The Supreme Court of Korea established a fundamental principle in the treatment of reverse payments under the Monopoly Regulation and Fair Trade Act(“MRFTA”), by its decision of Feb. 27, 2014 in the Donga-GSK case. According to the ruling, even reverse payments incurring anti-competitive effects within the patents’ potential exclusivity shall not be automatically exempted from the application of the MRFTA. The exemption occurs only when the synthesized consideration of two policies of patent and competition in each case recognizes the act as a justifiable exercise of patent rights. The ruling was held in the context where the U.S. Supreme Court took the position prioritizing the protection of competition over the protection of patent rights, overthrowing the so-called ‘scope test’. Although the Supreme Courts’ rulings in Korea and the U.S. share the same policy direction, the application of the MRFTA to the reverse payment cases involves unique features and presents challeges reflecting Korea’s legal structure and the reality of its pharmaceutical industry, namely: first, anti-competitiveness is considered repetitively in article 59 and in article 19(1); second, how willingly the MRFTA should intervene when the anti-competitiveness of reverse payments occur within the scope of patents’ exclusivity, and how it should be adapted to the reality of Korea’s pharmaceutical industry; and third, the influence of strong and complex regulatory schemes on prices of pharmaceutical products intertwines with the impact of the concerned agreements. 역지불합의란 특허권자인 신약 개발사가 자신과 특허 분쟁 중인 복제약 개발사에게 일정 대가를 지불하여 특허 분쟁을 종결하고, 당해 복제약 개발사의 시장 진입을 일정 기간 지연하기로 하는 합의를 말한다. 이러한 합의를 경쟁법적으로 어떻게 평가하고 규율할 것인지의 문제는 특허권자의 권리보호와 경쟁의 보호라는 가치 사이의 선택을 요한다. 우리나라 대법원은 2014년 2월 27일에 동아제약과 GSK(Glaxo Group Limited와 주식회사 GlaxoSmithKlein)의 부당한 공동행위에 대한 판결을 통하여 역지불합의에 대한 경쟁법적 평가의 근간을 이루는 법리를 설시하였다. 이에 의하면, 역지불합의의 내용이 특허의 잠재적인 배타적 효력의 범위를 초과하지 않는다고 하더라도 반드시 독점규제및공정거래에관한법률의 적용이 면제되는 것은 아니며, 특허권의 정당한 행사에 해당하는지 여부를 특허와 경쟁의 원리를 모두 고려하는 이원적(二元的) 분석에 의하여 개별적으로 판단하여 적용면제 여부를 결정하게 된다. 이러한 대법원의 판시는, 미국 연방대법원이 2013년 6월 17일 Actavis 판결에서 역지불합의에 대하여 종전의 특허범위 기준보다 더 경쟁의 보호에 충실한 법적 기준을 세운 것과 같은 맥락에서 이해될 수 있다. 그런데, 이와 같이 우리 대법원과 미국 연방대법원이 경쟁의 보호에 치중하는 정책을 택하였다는 점에서는 동일하지만, 구체적으로 역지불합의에 대하여 공정거래법을 적용할 때에는 우리 법과 제약산업에 특유한 현상과 해결해야 할 과제들이 드러나게 된다. 공정거래법의 적용제외에 관한 제59조의 판단과, 부당한 공동행위에 관한 제19조 제1항의 위법성 판단에서 ‘경쟁제한성’이 중복하여 고려되는 체계적인 문제점, 역지불합의의 경쟁제한적 효과가 특허의 배타적 효력의 범위 내에서 일어났을 경우 공정거래법의 개입의 정도를 정할 때 우리나라 제약산업의 현실을 고려하여야 하는 점, 그리고 경쟁제한성 판단에 약가에 관한 규제의 영향이 함께 고려되어야 하는 점 등이 그것이다.

      • KCI등재

        재판매가격유지행위 규제의 개선방안

        나영숙(Youngsoog Na) 한국비교사법학회 2015 비교사법 Vol.22 No.2

        최근 최저재판매가격유지행위를 규율하고 있는 독점규제 및 공정거래에 관한 법률(이하 ‘공정거래법’이라 한다) 제29조 제1항에 대한 개정 움직임이 가시화되고 있다. 그런데, 현재의 개정 논의는 당해 행위에 대한 원칙적 금지와 예외적 허용이라는 현행 규정의 형식을 유지한다는 것을 전제로 이루어지고 있는데, 과연 이 형식이 재판매가격유지행위의 경제적 효과와 균형을 이루는 것인지 검토해 볼 필요가 있다. 재판매가격유지행위의 경제적 효과에 관한 미국에서의 이론적, 경험적 연구들에 의하면 재판매가격유지행위는 ‘원칙적으로 반경쟁적인 행위’라고 할 수 없다. 재판매가격유지행위가 친경쟁적인 효과를 가져오는 경우가 흔히 있고, 반경쟁적 효과를 가져오는 경우는 드물다고 한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현행 공정거래법 제29조 제1항의 규제형식이 적절하지 않음을 시사한다. 물론, 우리나라 특유의 시장구조, 기업행태 등에 관한 추가적 연구가 이루어져야 하겠지만, 재판매가격유지행위의 경제적 효과에 대한 충분한 검토 없이 현행 법의 구조를 그대로 유지한다면 과잉규제의 오류를 범할 가능성이 있다. 또한, 대법원이 2012년 LEXUS 사건에 대한 판결과 BMW 사건에 대한 판결을 통하여 제시한 공정거래법 제19조 제1항의 해석론을 기준으로 보면, 제29조 제1항과 제19조 제1항간에는 일정한 불균형이 있다. 즉, 반경쟁적 효과가 일어날 것이 명백한 수평적 담합에 대해 제19조 제1항을 적용할 때에는 경쟁당국 또는 원고가 행위 사실 뿐 아니라 엄밀한 시장획정을 전제로 경쟁제한성을 구체적으로 입증하여야 하는데 반해, 친경쟁적 효과가 일어날 가능성이 상대적으로 더 높은 재판매가격유지행위에 대해 제29조 제1항을 적용할 때에는 행위 사실만 입증하여도 원칙적으로 경쟁제한성이 인정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공정거래법 제29조 제1항의 법 개정을 할 때에는, 재판매가격유지행위의 경제적 효과와 균형을 맞춘 법 형식이 무엇인지, 그리고 이 규정이 공정거래법의 다른 규정과 균형을 이루는지에 대해 충분한 검토를 거치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다양한 법제의 형식을 선택함에 있어서 각 규제 형식의 집행비용도 고려하여야 할 것이다. Recent moves for the reform of regulation of minimum resale price maintenance in Article 29(1) of the Monopoly Regulation and Fair Trade Act (“MRFTA”) attempts to extend the exception clause to be applied to minimum resale price maintenance while keeping the basic regulatory form, which prohibits the concerned behavior in principle with only exceptional allowances. However, whether this form is in accordance with the economic effect of the behavior has not been verified. According to the theoretical and empirical studies conducted in the U.S., resale price maintenance quite often has procompetitive effects, and anticompetitiveness occurs only in rare circumstances. This suggests that Article 29(1) of MRFTA as is has the potential to overregulate the concerned behavior, although a further look into Korea’s unique market structure, pattern of business behaviors, etc. would be necessary in making such determination. Another ground for the change of current regulatory form of Article 29(1) is the Supreme Court of Korea’s decisions in LEXUS and in BMW cases (2012). They imply that establishing illegality against horizontal collusion whose only effect is anticompetitive under Article 19(1) requires that the anticompetitiveness be specifically proved, while under Article 29(1) the anticompetitiveness is presumed. The imbalance of determining illegality in these two provisions is another reason for the reform, since horizontal collusion lacks the potential procompetitive benefits of resale price maintenance. Therefore, Article 29(1) needs to be fundamentally restructured reflecting the main economic effects of the behavior and harmonizing it with other provisions of MRFTA, such as Article 19(1), on balance. When examining various regulatory forms, the enforcement costs involving each regulation should also be weighed.

      • KCI등재

        기업결합규제의 효율성 항변 적용에 있어 후생기준의 검토 -동양제철의 기업결합 사건에 대한 대법원 판결과 관련하여

        나영숙 ( Young Soog Na ) 한국경쟁법학회 2009 競爭法硏究 Vol.20 No.-

        Article 7 (2) (1) of the Monopoly Regulation and Fair Trade Act which controls mergers acknowledges that efficiency gains generated from the proposed merger can offset the anticompetitive effect of the merger. This means that a merger, which would deem to be otherwise illegal, can be cleared when it produces sufficient efficiency that can outweigh the anticompetitive harm in the relevant market. In balancing the efficiency gains and the anticompetitive harm, two different welfare standards are applicable: `the total surplus standard` and `the consumer welfare standard`. Although the law and the Merger Guidelines do not designate a specific welfare standard, the Korea Fair Trade Commission and the Supreme Court have manifested that they chose the consumer surplus standard through their decisions in recent merger cases. The two standards reflect different philosophy on the fundamental goal of antitrust, and the application of each standard brings different economic outcome in terms of growth and wealth distribution. Nevertheless, the Korean competition authorities did not back up their position with concrete theoretical grounds. Nor had there been sufficient discussion on the issue of the selection of welfare standard in intellectual community of Korea. This article aims to inspire and invite dialogue which welfare standard better fits for the competition law and the economic reality of Korea. The experience of the U.S. and the EU showed that the theoretical debates on the merits of each standard and groping for appropriate law have not come to an end. As a first step in finding the proper way for Korea, the article examined the legislative history of the Monopoly Regulation and Fair Trade Act. The analysis showed that the legislators` primary concern was building-up efficient economic systems. This suggests that total surplus standard better fits for the legislators` intention. However, final conclusion for welfare standard of Korea`s competition law should come after further dialogue among scholars and practitioners in order to get more balanced perspectiv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