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기 뻬렝(Guy Perrin)의 사회보장 이론 연구

        나병균 한국사회복지연구회(서울대학교 사회복지연구소) 2000 사회복지연구 Vol.16 No.1

        Guy Perrin was a joint professor of the faculty of law and department of sociology at University of Geneva in Swiss and worked as Directeur adjoint at the Department of social security in the ILO. In 1966, he obtaind the doctoral degree at university of Lausanne on the topic of sociology of Pareto. He died at 65 in 1992. He wrote lots of articles on international social security, theory and institution of social security. This paper examines his studies on the theory and institution of social security and discusses the implication of his study on the study of social security of Korea. Among others, this study focuses on "Towards a sociological theory of social security(1967)" and "The future of social security-crisis, challenge, and changes of value(1985)" and changes in the concept of social security and principles in his late years. In his theory, the concept of social security consists of the right of social insurance and the concept of public assistance is a marginal one. With respect to a response of social security to the changing social environment since 1980, he emphasized adaptation to the change of social environment by rationalization and humanization. He suggests strengthening the function of social minimum guaranty in order to resolve the poverty and unemployment and a method for financing social security with insurance and tax, reflecting changing labor form and values. I wonder whether he concerned about social security in East Asia His primary concern was given to the social security in the European Welfare State. He expected that other societies will develope social security system similar to that in the West. That was considered as a hope but a task for human right in the 21st century.

      • KCI등재후보
      • KCI등재후보

        한국 사회복지학의 정체성

        나병균 한국사회복지교육협의회 2013 한국사회복지교육 Vol.24 No.-

        The Social Welfare as an academic discipline has been introduced to the Korean society by the creation of the Christian Department of Social work at Ewha Women's University in 1947. From the 1980s, the Korean Social Welfare has two sub-disciplines, the Social Work Practice and the Social welfare Policy. They represent the discipline of the Social Welfare in Korea today. If the Social Welfare would be recognized as an independent discipline in social science, a unifying theory which would relate the two sub-disciplines is needed. Professor Kim Young-Il develops a concept of Korean social welfare by focusing on the Social Welfare Institution. Developing the Professor Kim's idea, this study proposes a Korean Welfare State Model, which would be based on the notion of Social (Welfare) Right. Further discussion on the identity of Korean Social Welfare would be necessary if we want to understand and establish the Korean Social Welfare as a discipline more clearly. 이 글은 한국 사회복지학의 정체성을 규명하는데 궁극적인 목적이 있다. 그 초기 작업으로서 이론 정립의 가능성을 탐색해 보았다. 대개의 경우 “학”에는 “이론”이 있다. 그러나 한국 사회복지학은 일관된 이론이 부재한 상태에서 느슨한 형태의 사회과학으로 존재하여 왔다. 한국 사회복지학의 정체성 규명을 위하여 본고에서는 1990년대부터 2000년대 초반의 기간에 걸쳐 한국 사회복지학회와 한국 사회복지교육 협의회를 중심으로 전개된 바 있는 논의들을 분석하고 이를 개념화하였다. 그 결과, 현재까지의 논의에서 일정 수준의 공감대가 형성된 것은 사회복지학의 개념이 (연구자 혹은 사회복지 종사자 집단에서) 제도론과 전문기술론의 2원적 정합 혹은 사회복지실천론, 지역사회복지론, 사회복지정책론의 3원적 정합구조로 인식되고 있다는 것이다. 사회복지학은 반드시 이론을 필요로 하는 것은 아니라고 본다. 그러나 독립과학으로의 발전을 위하여 이론의 개발은 필요한 조건이다. 이런 점에서 일본에서 있었던 사회복지 논쟁의 경험은 우리에게 시사하는 점이 많다. 한국 사회복지학의 이론 정립을 위해서는 사회복지실천 방법론과 사회복지정책론 이론들 각각의 단절을 극복하려는 노력이 요구되며 이것은 구조주의와 행동주의 이론의 접근을 주도하는 세계 사회과학의 학문적 도움을 통하여 가능할 수 있다는 점을 알게 되었다. 결론으로 제시하고자 하는 것은 필자가 생각하는 한국 사회복지학 이론의 밑그림이다. 사회(복지)권, 연대주의, 역량강화, 제도론(사회복지 법제)과 전문직론(사회복지실천) 등의 용어가 동원되었다. 본고는 시론적 성격의 글로서 비록 미진하지만 학계의 사회복지학 정체성에 대한 논의의 활성화를 촉구하는 의도에서 작성된 것임을 밝힌다.

      • KCI등재후보

        프랑스의 초기 가족정책과 정책행위자별 역할

        나병균 한국사회정책학회 2008 한국사회정책 Vol.14 No.2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analyse the origin of French Family Allowance, which has been appeared and generalized during the period of 1910-1945. The Family Allowance System of Textile Industries Consortium of Roubaix- Tourcoing(Consortium Textile de Roubaix-Tourcoing) and that of Compensation Fund of Paris Region(Caisse de Compensation de la Region Parisienne) have respectively provided the family allowances and the related services to the employees' families from the year of 1910s, which became the origin of French Family Policy. The Family Allowance System became universal in the 1930s in France. The main objective of the state intervention with Family Allowance System at that time was to solve the problem of low birth rate by supporting (financially and non-financially) the families with children. The "pronatalists" (the group of men and women composed of some civil servants, politicians, citizens, and professors) were the main initiators (actors of policy) of universal family policy in the 1920s-1930s in France. The Family Allowance system was incorporated into French Social Security System in the late 1940s. 이 논문은 프랑스 가족정책의 역사적 기원과 발전 과정을 분석하고 있다. 연구 범위는 1910년대부터 1945년까지의 변화이다. 가족수당을 중심으로 한 프랑스 가족정책의 기원은 기업들이 1910년대부터 자체적으로 실시하던 루베 뚜르꾸엥 지역 섬유업체 연합(Consortium Textile de Roubaix-Tourcoing)의 가족수당과 파리지역 가족수당 조합(Caisse de Compensation de la Region Parisienne)이 해당 기업들의 노동자들을 대상으로 시행한 가족수당과 관련 서비스들에서 찾을 수 있다. 가족정책으로서 가족수당은 1930년대에 들어 프랑스에서 모든 인구를 포함하는 보편적 제도가 된다. 가족수당에 대한 국가의 정책적 개입의 동기는 저출산 문제를 해결코자 함이었다. 인구문제의 여론화와 보편주의 가족정책의 성립에 기여한 주된 정책행위자는 1920년대와 1930년대의 출산장려주의자들(pronatalists)이었다. 프랑스 가족수당은 1940대 후반에 사회보장 제도로 통합되면서 더욱 보편주의적 성격을 갖고 발전하게 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