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MIL 2.0 문서 재생을 위한 실시간 이벤트 스케줄러의 설계 및 구현

        김혜은(HyeEun Kim),채진석(Jinseok Chae),우요섭(Yoseop Woo) 한국정보과학회 2002 한국정보과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9 No.1B

        SMIL(Synchronized Multimedia Integration Language)은 웹에서 멀티미디어를 동기화하여 표현하기 위하여 W3C에서 제안한 언어이다. 이것은 인터넷 방송이나 광고 컨텐츠의 제작, 온라인 교육 등 다양한 분야에 이용될 수 있다. SMIL의 활성화를 위해서는, QoS를 보장할 수 있는 멀티미디어 서버와 저작도구의 개발과 함께 재생도구의 개발 또한 필수적으로 요구된다. 1998년에 발표된 SMIL 1.0에 비해서 2001년 8월 발표된 SMIL 2.0은 사용자와의 상호작용을 통하여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프리젠테이션할 수 있는 기능이 강화되고 추가되었다. 따라서, 재생도구 개발 시에 사용자에 의한 각종 이벤트를 인식하여 동기적인 재생 시간을 결정하는 스케줄러의 개발이 필수적이다. 본 논문에서는 SMIL 2.0 문서를 재생하기 위하여 핵심적으로 필요한 이벤트 처리를 위한 실시간 스케줄러를 설계 및 개발하였다. 이것은 SMIL 표준안에 정의된 여러 종류의 프로파일에서 재사용될 수 있고, XHTML+SMIL이나 SMIL Animation과 같은 SMIL을 통합하는 다른 표준들에도 응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KCI등재

        ANSYS를 이용한 전투차량 유압장치 구조강도 개선 연구

        김혜은(Hyeeun Kim),배공명(Gongmyeong Bae),오은빈(Eunbin Oh),사공재(Jae Sakong) 한국산학기술학회 2022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23 No.11

        군용 전투차량은 무기체계 탑재 및 대용량 물자 수송이 가능한 다목적 전술 차량으로, 일반차량보다 더 가혹한 주행조건에서 운용된다. 이러한 환경에서 사용되기 위하여 적용되는 부품들은 고도의 신뢰성과 내구성이 요구된다. 특히 전투차량의 유압장치는 차량의 유압원 공급장치로, 내부 볼트파손 시 유압 누유로 인해 대형사고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전투차량 유압장치에서 야전 운용 간 다발적으로 발생한 볼트파손의 원인을 분석하고 이를 해소하기 위한 개선방안을 수립하고자 하였다. 볼트파손에 대한 원인검토를 통하여, 전투차량 주행 방향의 수직축 방향에서 안전율이 1.0 이하로 구조적 취약성이 확인되었다. 이는 전투차량 주행 간에 발생하는 진동에 인한 것이다. 유압장치 구조강도 개선을 위하여 볼트의 수직축 방향 처짐에 의한 진동 발생을 억제하고자 하였다. 이에 따라 처짐 방지를 위한 브래킷을 추가하였으며, 볼트 체결 길이를 변경하였다. 개선사항에 대한 신뢰성은 구조해석과 체계입증시험을 수행하여 입증되었다. 본 연구에서 수행한 유압장치 구조강도 개선은 향후 유사무기체계에 대한 고장분석 및 설계에 참고자료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Military combat vehicles are multi-purpose tactical vehicles that can be equipped with weapons systems, transport large-capacity supplies, and operate under harsher conditions than ordinary vehicles, and thus the components of such vehicles must be highly reliable and durable. If an internal bolt in the hydraulic system is fractured, hydraulic fluid could cause a significant accident. In this study, we analyzed the causes of bolt fracture in the hydraulic systems of combat vehicles during field operations. Structural analysis showed a safety factor of < 1.0 in the direction, which indicated structural vulnerability, and it was considered that vibration had caused bolt fracture. To improve the structural strength of the hydraulic system, we suppressed the vibration causing the bolt to move perpendicularly to the direction driven. A bracket was added to prevent sagging, and bolt fastened length was changed. The reliability of the design was verified by structural analysis and system applicability. The improved structural strength of the hydraulic system achieved is expected to serve as a reference for failure analysis and the design of similar weapons systems.

      • KCI등재

        천무 발사대 방향성 오류현상 개선에 관한 연구

        김혜은(Hyeeun Kim),김민창(Minchang Kim),유한준(Hanjun Yu),배공명(Gongmyeong Bae),오은빈(Eunbin Oh) 한국산학기술학회 2021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22 No.2

        케이지 조립체는 발사대의 사격 플랫폼 역할을 하므로 목표물에 대한 사격 정확성을 확보하기 위한 정확한 조준이 필수적이다. 그러나 천무 발사대의 방향성 오류로 인한 케이지의 비정상적인 회전으로 장비에 대한 품질 문제가 지속적으로 발생하였다. 이러한 무기체계의 품질문제는 우리 군의 전력 손실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현재 운용중인 천무 발사대 케이지의 방향성 오류 현상을 대상으로 결함 고찰 및 원인분석을 수행하여, 개선방안을 도출하였다. 또한 케이지 방향 결정 신호 흐름 구성 분석을 통해 방향성 오류 발생이 가능한 예상 원인을 모두 도출하여 소프트웨어 방어 설계를 통해 방향성 상실 문제를 완전 차단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데이터의 불특정한 신호를 방지하여 레졸버의 신호오류를 개선하였다. 또한 데이터의 왜곡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방향성 판단방식을 개선하였다. 마지막으로 케이지 회전방향에 대한 데이터가 저장오류나 통신오류로부터 영향을 받지 않도록 방향성 저장공간과 확인방식을 개선하였다. 개선사항에 대한 신뢰성은 체계 적용성 검증을 수행하여 입증되었다. 본 연구는 향후 유사무기체계에 대한 고장분석 및 설계에 참고자료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Because the cage assembly serves as the launch platform, an accurate aim is essential to ensure shooting accuracy for the target. On the other hand, the abnormal rotation of the cage due to the directional errors of the K-MLRS has continuously caused quality problems. The quality problem of weapon systems may have a negative impact on the military"s power loss. In this study, improvement plans were derived by examining the defects and analyzing the directional errors of the K-MLRS launcher. In addition, all possible causes of directional errors were derived from the flow diagram for cage directionality. Based on the results, the defense design through the software program was intended to prevent the loss of direction. Through this study, the signal error of the resolver was improved by preventing unspecific signals in the data. Furthermore, the directional judgment method was improved to minimize the impact of data distortion. Lastly, directional storage and verification methods were improved so that data for the cage rotation direction would not be affected by errors. For the design improvement method, the reliability was verified through the system applicability. This study is expected to be a reference for failure analysis and design for similar weapon systems in the future.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동영상 강의에서 메타인지 지원이 학습결과 예측에 미치는 영향: 다중양식 학습분석을 중심으로

        함윤희 ( Yoonhee Ham ),조영환 ( Young Hoan Cho ),김혁기 ( Hyug Gi Kim ),이재용 ( Jaeyong Lee ),김혜은 ( Hyeeun Kim ),이한솔 ( Hansol Lee )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 2021 교육정보미디어연구 Vol.27 No.4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인해 비대면 교육이 증가하면서 동영상 강의의 중요도가 높아졌다. 동영상 강의의 효과를 높이기 위해서는 교수자가 학습결과를 사전에 예측하여 학습 지원을 적시에 제공하는 것이 필요하다. 최근에는 학습결과 예측의 정확도를 높이기 위해서 생리심리데이터를 포함하여 다양한 학습 데이터를 통합적으로 수집하고 분석하는 다중양식 학습분석 연구가 증가하고 있다. 하지만 예측 모델이 다양한 학습 맥락에 일반화 가능한지에 대한 연구는 부족하다. 본 연구는 동영상 학습결과를 예측하는 주요 요인인 메타인지 활동에 초점을 두고, 동영상 강의에서 메타인지 지원 여부가 학습결과 예측 모델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탐구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총 33명의 학습자를 메타인지 지원 집단(n=17)과 메타인지 미지원 집단(n=16)으로 무선 할당하고, 개별적으로 약 40분 동안 인체의 삼투압에 대한 동영상 강의를 학습하도록 하였다. 다중양식 학습분석을 위해 동영상 학습 과정을 영상으로 촬영하고, 손목밴드를 이용하여 피부전도도를 측정하고, 설문지로 인지부하를 측정하고, 사전 및 사후 검사를 실시하였다. 이렇게 수집된 데이터와 다양한 머신러닝 알고리즘을 이용해서 학습결과 상·하 집단을 예측하는 모델을 만들고, 각 모델의 성능을 평가하여 최적의 예측 모델을 도출하였다. 연구 결과, 메타인지 지원여부에 따라 최적의 동영상 학습결과 예측 모델이 서로 상이하게 나타났다. 메타인지 미지원 집단에서는 메타인지 활동과 피부전도도로 측정한 각성도가 최적 모델의 예측 변인으로 나타났지만, 메타인지 지원 집단에서는 인지부하와 사전지식 수준이 최적 모델의 예측 변인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메타인지 지원과 같은 교수 방법의 변화가 예측 모델에 주요한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보여주며, 이는 예측 모델을 새로운 맥락에 적용할 때 많은 주의가 필요하다는 것을 시사한다. Video lectures have played an important role during the COVID-19 pandemic, which significantly increased remote learning in school. To enhance the effectiveness of video lectures, instructors should predict students’ learning outcomes and provide learning supports at the right time. Recently, multimodal learning analytics has been developed in order to accurately predict learning outcomes using diverse learning data like psychophysiological measures. Nevertheless, there is a lack of research on whether a prediction model is generalizable across diverse learning contexts using different instructional methods. This research intends to explore the influence of metacognitive support on the prediction model of learning outcomes in video lectures. A total of 33 learners were randomly assigned to metacognitive support (n=17) and non-support (n=16) groups, and they individually studied video lectures of the osmotic pressure in the human body for 40 minutes. This study recorded the learning process with video, measured skin conductance responses with a wristband, collected the data of cognitive load using a survey, and conducted pre- and post-tests. Using the data collected, machine learning algorithms generated models to predict high- and low-achievement groups, and an optimal prediction model was selected through evaluating the performance of the models. This study found that the optimal prediction model of the metacognitive support group was different from that of the non-support group. In the non-support group, metacognitive activities and arousal levels measured by skin conductance responses were included in the optimal prediction model, whereas cognitive load and prior knowledge were included in the optimal prediction model of the metacognitive support group. This study shows that instructional methods like metacognitive support can significantly influence predicting learning outcomes in video lectures, so prediction models should be carefully applied to novel learning contexts.

      • KCI등재

        다중양식 학습분석의 연구동향과 발전방안 탐색을 위한 체계적 문헌 고찰

        함윤희 ( Yoonhee Ham ),조영환 ( Young Hoan Cho ),이한솔 ( Hansol Lee ),김혜은 ( Hyeeun Kim )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구 한국교육정보방송학회) 2021 교육정보미디어연구 Vol.27 No.2

        다양한 자원으로부터 수집된 학습 데이터를 분석하여 학습과정을 이해하고 수업을 개선하고 지능형 학습 도구를 개발하기 위해 다중양식 학습분석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본 연구는 2011년에서 2020년까지 출판된 문헌을 체계적으로 고찰하여 다중양식 학습분석의 최근 동향과 제한점을 분석하고 발전방안을 탐색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총 36편의 국내외 논문을 선정하고 다중양식 학습분석의 연구 목적, 연구 맥락, 학습 요소, 데이터 수집과 분석, 제한점에 대해서 선행연구와 전문가 검토로부터 도출된 분석틀을 활용하여 체계적으로 문헌을 검토하였다. 다중양식 학습분석은 주로 학습결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과 학습 패턴을 탐색하려는 목적으로 이루어졌으며, 성인 학습자를 대상으로 실제적인 수업 환경보다는 통제된 실험실 맥락에서 많이 이루어졌다. 학습의 인지적 요소와 상호작용적 요소에 대한 연구가 다수 있고, 자기조절학습에 초점을 둔 연구는 매우 적은 편이다. 다중양식 학습분석을 위해 웹 데이터, 음성, 설문 자료, 시선, 생리심리반응 등을 수집하여 전통적인 통계분석과 머신러닝을 이용한 분류분석을 주로 실시하였다. 다중양식 학습분석의 제한점으로는 적은 샘플 수, 데이터 노이즈와 같은 데이터 수집 및 분석과 관련된 이슈가 주로 언급되었으며, 데이터 활용과 윤리적 문제에 대한 논의는 매우 부족하였다. 본 연구는 다중양식 학습분석이 여러 제한점에도 불구하고 전통적인 연구 방법으로 쉽게 관찰하기 어려운 학습의 다양한 측면을 드러낸다는 점에서 학습과 학습자에 대한 깊이 있는 이해를 촉진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향후 데이터 수집과 분석 방법을 개선하기 위한 노력과 함께 맞춤형 학습환경에서 교수 및 학습 활동을 개선하기 위해 다중양식 학습분석을 효과적이고 윤리적으로 활용하기 위한 연구와 실천이 필요하다. Multimodal learning analytics (MLA) is actively conducted to understand learning process, improve instructional practice, and develop intelligent learning tools through analyzing learning data collected from multiple sourc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research trends and future directions of MLA through systematically reviewing previous studies published from 2011 to 2020. This study reviewed 36 articles of MLA with a coding scheme about research purposes, research contexts, learning elements, data collection and analysis, and limitations. This study found that MLA was mainly conducted to explore learning patterns and factors to influence learning outcomes. Adult learners were likely to participate in the research of MLA in well-controlled experiment contexts rather than authentic instructional ones. Many studies focused on cognitive and interactive elements of learning, whereas there was a lack of research on MLA for self-regulated learning. MLA studies collected web, audio, survey, eye tracking, physiological data, etc., and analyzed them mainly with statistical and classification analyses. The limitations of MLA were pointed out in regard to data collection and analysis (e.g., small sample size, data noise) rather than data usage and ethical problems. The findings imply that MLA can enhance an in-depth understanding of learning and learners because it reveals diverse aspects of learning that are not easily identified through traditional research methods. Future research is necessary not only to improve data collection and analysis methods but also to use MLA effectively and ethically for improving teaching and learning activities in personalized learning environmen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