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아토피피부염의 치료

        한태영 ( Tae-young Han ),나찬호 ( Chan Ho Na ),이지현 ( Ji Hyun Lee ),김혜원 ( Hye One Kim ),박창욱 ( Chang Ook Park ),서영준 ( Young Joon Seo ),손상욱 ( Sang Wook Son ),신민경 ( Min Kyung Shin ),안지영 ( Ji Young Ahn ),이양원 ( Y 대한피부과학회 2018 대한피부과학회지 Vol.56 No.10

        Atopic dermatitis (AD) is a common, chronic, relapsing, inflammatory skin disease that affects both children and adults. AD is the cause of considerable morbidity including severe pruritus and impaired quality of life. Treatments for active disease include avoidance of triggering factors, barrier repair, topical medications including topical corticosteroids (TCs) and topical calcineurin inhibitors (TCIs), phototherapy, antibacterial agents, and systemic immunosuppressants including cyclosporine. Until recently, the only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FDA)-approved systemic treatment options for patients with moderate-to-severe AD were steroids and cyclosporine. Systemic steroids are not recommended by current guidelines and are commonly associated with disease rebound. Instead, clinicians choose from several off-label immunosuppressants. In 2018, the Korean FDA approved dupilumab for adults with moderate-to-severe AD whose disease is not adequately controlled with topical therapies. The implementation of treatment guidelines for AD is challenging. Herein, we review the several treatment modalities for AD and recommend a treatment algorithm. (Korean J Dermatol 2018;56(10):581∼593)

      • KCI등재

        대규모 감염병 발생 시 국방의 역할: COVID19 사태를 중심으로

        박민형 ( Park¸ Min-hyoung ),김혜원 ( Kim¸ Tae-hyun ),김태현 ( Kim¸ Hye-won ) 국방대학교 안보문제연구소 2020 국방연구 Vol.63 No.2

        본 연구는 비전통안보 위협이 증대됨에 따라 발생할 수 있는 대규모 재난 발생 시 국방의 역할에 대하여 탐구하고자 한다. 특히, 본 연구는 2020년 한국을 강타한 COVID19에 초점을 맞추어 대규모 감염병 발생 시 군의 역할에 연구 중점을 맞추고자 한다. 비전통안보 위협 중 보건안보의 위협은 2000년대를 들어 세계화와 도시화, 환경오염에 기인하여 사스, 조류 인플루엔자, 에볼라, 메르스 유행 등 점점 심각한 파급력을 보이고 있다. 이렇게 점차 파급력이 높아가고 있는 대규모 감염병과 관련하여 본 연구는 단순히 복구 차원에서 국방의 역할뿐만 아니라 예방, 대비, 대응을 포함한 위기관리체계 전반에 있어 국방의 역할이 무엇일까를 고민하였다. 따라서 미래 대규모 감염병 발생을 포함하여 비전통적 안보 위협의 증대에 따른 국방정책의 방향성을 설정하는데 기여하는 것이 본 연구의 핵심 목적이라 할 수 있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연구는 우선적으로 비전통안보의 개념을 설명하고 비전통안보 확대에 따른 국방의 역할은 무엇인지를 우선적으로 정립하였다. 이후 최근 발생한 COVID19에 대한 정밀분석을 실시함에 있어 COVID19 사태의 개요를 알아보고 대처 과정이 국방에 주는 함의를 도출하였다. 마지막으로, 이러한 분석을 바탕으로 대규모 질병 발생 시 국방은 과연 어떠한 역할을 하여야 하는지를 제시하였고 이에 따른 정책적 함의를 도출하였다. The core goal of security is to protect the people, territory and sovereignty from threats. Since the nation's threats include both traditional and non-traditional threats, the military should also ensure the security of the nation and its people from these diversified threats. Thus, the task of protecting the people from national disasters, such as the outbreak of massive infectious diseases, which is one of the non-traditional threats, can be said to be one of the main roles of the military considering the concept of changed security and threats. Therefore, the military should pursue an adaptive military equipped with so-called "versatility" to respond to traditional security threats but also to non-traditional security threats. Disaster management systems, such as large infectious diseases, have five characteristics: boundary, uncertainty, specificity, interactivity and complexity. In response to disasters with these characteristics, the military should seek roles that can be played in the following three dimensions: performance of preventive measures before a disaster occurs, role as an initial response agency in case of a disaster, and restoration and reconstruction activities at the end of the disaster process, and support missions.

      • 국내 미기록인 흡혈성 산거머리 Haemadipsa rjukjuana Oka, 1910 보고

        서홍렬 ( Hong Yul Seo ),은예 ( Ye Eun ),박태서 ( Tae Seo Park ),김기경 ( Ki Gyoung Kim ),원소현 ( So Hyun Won ),김백준 ( Baek Jun Kim ),김혜원 ( Hye Won Kim ),채준석 ( Joon Seok Chae ),( Takafumi Nakano ) 한국토양동물학회 2013 한국토양동물학회지 Vol.17 No.1

        The terrestrial leeches from the peripheral island of the Korean Peninsula were identified as Haemadipsa rjukjuana Oka, 1910. The arhynchobdellid family Haemadipsidae and H. rjukjuana are newly added into the Korean leech fauna. This species is blood-feeding leech that attacks birds and medium or large sized mammals primarily, including human. The sequence of mitochondrial cytochrome c subunit I (COI), and the additional biology for this species are presented. This is the first study of terrestrial blood-feeding leeches in Kore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