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대학의 융합 시나리오와 그 딜레마

        김혜나 ( Kim Hyena ) 서울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17 人文論叢 Vol.74 No.4

        융합(학제성)은 오늘날 정체성의 위기에 처한 대학의 정당화 논리로 정착하였다. 유연성, 자유, 혁신, 저항 등 융합을 따라다니는 미사여구들은 아무것도 지시하지 않음으로써 모든 정치적, 인식론적 입장을 포섭해내는 전략을 증거하고 있다. 이 글에서는 굳어져가는 ‘융합 신화’를 해체하고자, 그것을 둘러싼 담론들을 기술자본주의, 자유주의, 급진주의의 세 부류로 구분하여 비판적으로 검토하였다. 먼저, 공학적 정언명령을 통한 자본 축적을 유일한 목적으로 삼는 기술자본주의는 혁신, 문제해결, 책무성이라는 위선적 장식과 함께 ‘융합 포르노’를 끊임없이 생산함으로써 담론 경쟁의 승기를 거머쥔 것으로 보인다. 한편, 훔볼트식 근대 대학 이념의 계승자를 자처하는 자유주의는 지식의 총체성 회복을 통한 인간의 해방을 지향하지만, 과거에 대한 향수는 역사적 사명을 잃어버린 대학에서 공허한 메아리로 존재할 뿐, 체제에 어떤 타격도 가하지 않는다. 이와 달리 급진주의는 학문을 비롯하여 경계짓기에 터해 있는 모든 규율체제에 근본적으로 도전하고자 했음에도 불구하고, 제도와의 모순적 관계 속에서 저항력을 잃어가는 듯하다. 배제가 아닌 포함, 부정이 아닌 긍정을 무기로 하는 융합은 반대와 거부를 불가능한 것으로 만듦으로써, 진화하는 자본주의와 대학의 욕망을 충족시키는 훌륭한 수단으로 거듭나고 있다. 서로 다른 융합 시나리오와 그것이 직면한 모순에 대한 성찰은 결국 융합과 분과학문이 유사한 병리학을 공유하고 있음을 드러내준다. 이제 반복되는 구조조정의 병원(病原)에 또 다시 새로운 ‘각본’으로 대응할 것인가 하는 질문이 우리 앞에 놓여 있다. Interdisciplinarity has been established as a useful way of legitimization for the university, which is presently facing an identity crisis. Accompanying rhetoric, such as flexible, free, innovative or resistant, tes-tifies to its stratagem to assimilate diverse political and epistemological po-sitions through dereferentialization. This paper presents a critical examina-tion of different discourses surrounding interdisciplinarity, categorized into technocapitalism, liberalism, and radicalism, in order to debunk the ‘interdisciplinarity myth’. Among these discourses, technocapitalism seems to dominate the battlefield of interdisciplinarity with the hype of in-novation, problem-solving, and accountability. Despite its disguised neutrality, it successfully achieves accumulation of capital by technocracy in a broad sense. Liberalism, as a descendant of the Humboldtian idea of the modern university, pursues liberation of humanity based on the unity of knowledge. But such nostalgia has lost its sway in the posthistorical uni-versity, leaving the existing system intact. As a more recalcitrant counter-part to the aforementioned approaches, radicalism challenges all dis-ciplinary divisions in the world predicated on boundary work. However, it has also been disempowered in a contradictory relationship with the system. Meanwhile, interdisciplinarity, armed with inclusion rather than exclusion, has developed into an excellent instrument to satisfy the desire of the capital. A critical reflection on the different scenarios of inter-disciplinarity leads to the conclusion that interdisciplinarity shares the cog-nate pathologies of disciplinarity, including the division of labor, pro-duction, and abstraction. The question that lies before us is whether or not we still need another new script to struggle with the simulacrum of inter-disciplinarity and to eradicate the pathogen of repetitive restructuring.

      • KCI등재

        (탈)근대 대학의 기획에 대한 비판적 논쟁: 의례의 대학 혹은 수월성의 대학?

        김혜나(Hyena Kim) 한국비평이론학회 2016 비평과이론 Vol.21 No.2

        전 지구적 자본주의의 대리인이 된 대학은 맹목적 성장을 향한 암세포적 이데올로기를 앞장서서 구현하고 있다. 대학을 둘러싼 논쟁에 종반전의 그림자가 드리우고 있는 오늘날, 이 글에서는 대학에 대해 과거의 반복을 탈피한 말하기를 시도하고자 한다. 그리고 이러한 목적을 위하여 (탈)근대 대학에 대한 비판적 분석을 통해 중요한 논쟁을 불러일으켰던 윌셔와 레딩스의 담론을 경유하고자 한다. 이들은 각각 ‘의례’와 ‘수월성’이라는 예리한 수사를 바탕으로, ‘대학의 문제’ 뿐 아니라 근대와 탈근대에 걸쳐 지속되어 온 ‘대학이라는 문제’를 새로운 눈으로 보게 한다. 윌셔는 탈근대 대학에서 벌어지는 일들을 명분과 행위 간에 아무런 연관성이 없는 기만적인 의례로 설명하면서, 이 공허한 의례가 근대 대학에서부터 진행되어 왔다는 점을 폭로한다. 그리고 진정한 목적을 위한 진정한 의례를 지향하는 진보적 근대주의에서 그 대안을 구하고 있다. 한편, 레딩스는 텅 빈 수월성을 좇느라 의미 없는 쳇바퀴 속에 갇힌 대학의 부끄러운 자화상을 비춘다. 그는 탈근대 대학의 곤경을 벗어나기 위한 해독제로 제시되곤 하는 근대 대학의 기획은, 이미 폐기처분되었을 뿐 아니라 우리가 돌아가야 할 이상적인 고향이 될 수도 없다고 주장한다. 폐허 이전의 상태로 되돌아갈 수도, 수월성의 논리를 받아들일 수도 없는 진퇴양난의 상황에서 그는 수월성을 긍정적인 방향으로 전유하는 방안을 제안하고 있다. 이들의 대학 담론이 갖는 의미와 한계에 대해 논의한 후, 이 글에서는 신자유주의적 대학 개혁에 대한 상이한 두 입장이 결국은 근대성의 포화상태를 재생산하고 있으며, 대학이라는 트라우마를 강박적으로 반복하고 있을 가능성을 시사하였다. 그리고 우리에게 필요한 것은 (탈)근대의 문제를 (탈)근대로 해결하려는 동종요법이나 또 다른 치료가 아니라, 원죄를 가진 공범자의 입장에서 겸허하고 끈질기게 문제의 기원을 추적하는 태도가 아닐지 질문하였다. In the reign of global capitalism, the university as its agent exerts itself to reify the ideology of the cancer cell that seeks reckless development. Near the endgame of the discourses around the university, this paper tries to speak of the university without the repetition of the past. Toward this end, it reflects on the insights of two authors committed to the problem of university marketization criticizing the project of the (post)modern university, and attempts to ask a deeper question about the university. Wilshire describes the practices of the postmodern university as a deceptive ritual rooted in the modernization process and looks for an alternative in the progressive modernism which supports wholehearted ritual with truthful purpose. Readings mirrors a shameful portrait of the university preoccupied with the empty notion of excellence. He gives a skeptical response to the liberal nostalgia for Humboldtian model, asserting that the modern idea of university has lost its niche and could not be an ideal to be resurrected. He suggests détournement of dereferentialization to negotiate such a dilemma. After comparing their narratives on the university, this study, based on the continuity from ancient Greece to postmodern capitalist society, calls them into question for not being radical enough, and points out that their discourses might unconsciously reproduce the saturation of modernity and thereby compulsively repeat the trauma of the university. Finally it suggests that what we need facing the plight of the university would be neither homeopathy nor any other cures, but uncompromising efforts to trace the origin of the problem.

      • KCI등재

        한국의 고등교육 정책에 대한 비판적 분석: 국가주의와 시장주의를 중심으로

        김혜나 ( Hyena Kim ) (사)아시아문화학술원 2018 인문사회 21 Vol.9 No.6

        이 글에서는 대학의 시장화 흐름과 관련이 깊은 자유주의와 신자유주의의 관점에서 한국 사회의 변화를 살펴보고, 이를 바탕으로 해방 이후 2000년대까지의 고등교육 정책을 분석함으로써 한국적 특수성을 이해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한국의 고등교육 정책은 크게 국가주의적 정책과 시장주의적 정책의 두 축으로 설명될 수 있으며, 거시적 담론체계 상의 유사성과 한국적 특성을 고려할 때, 각각의 축 내에서 역대 정부들의 정책 간뿐 아니라 두 축 간에는 상당한 공통성이 발견된다. 향후 고등교육에 대한 각종 담론들은 이와 같은 한국적 현실에 대한 인식 위에서 전개되어야 할 것이다. Marketization of university is a global phenomenon that requires a context-specific analysis. This study investigates how higher education policies in Korea have changed in its own sociocultural background, sharing the major characteristics of global university reform. The results indicate that higher education policies in Korea could be divided into two phases, each of which was largely driven by nationalism and free market ideology. It suggests that the discourses on Korean higher education take the complicated reality into consider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