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중간값 좌표계에 기초한 메쉬 매개변수화

        김형석,Kim, Hyoung-Seok B. 한국정보통신학회 2008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Vol.12 No.8

        Parameterization of a 3D triangular mesh is a fundamental problem in various applications of geometric modeling and computer graphics. There are two major paradigms in mesh parameterization: energy functional minimization and the convex combination approach. In general, the convex combination approach is wifely used because of simple concept and one-to-one mapping. However, the approach has some problems such as high distortion near the boundary and time complexity. Moreover, the stability of the linear system may not be preserved according to the geometric information of the mesh. In this paper, we present an extension of the convex combination approach based on the mean value coordinates, which resolves the drawbacks of the convex combination approach. This may be a more practical solution because it is able to generate a stable linear system in a short time. 3차원 메쉬 매개변수화는 기하학적 모델링과 컴퓨터그래픽스의 여러 응용분야에서 핵심적인 문제이다. 메쉬 매개변수화 방법에는 크게 두 가지의 패러다임, 에너지 최소화 방법과 볼록 조합법이 있다. 일반적으로 볼록 조합법은 간단한 개념과 일대일 대응 때문에 널리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 방법은 경계선 근처의 높은 왜곡이 생긴다는 문제와 선형 시스템 구성에 있어 다소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를 가지고 있다. 또한 이 방법은 다루는 메쉬 의 기하학 정보에 따라 선형시스템의 안정성이 해손 될 수도 있다. 본 논문에서는 볼록 조합법이 갖고 있는 선형시스템 안정성 문제와 시간 복잡도 문제를 중간값 좌표계를 이용하여 해결한다. 빠른 시간에 안정적으로 처리가 가능하기 때문에 보다 실용적이라 할 수 있다.

      • KCI등재

        등각사상과 평균값좌표계를 이용한 정점 법선벡터 계산법

        김형석,김호숙,Kim, Hyoung-Seok B.,Kim, Ho-Sook 한국정보통신학회 2009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Vol.13 No.3

        컴퓨터그래픽스에서 다루어지는 대부분의 물체들은 메쉬 형태로 표현된다. 보다 다양한 형태로의 변형이나 현실감 있는 렌더링을 얻기 위해서는 정점에서의 올바른 법선벡터 계산이 필수적이다. 이에 대한 기존 연구들은 정점의 기하학적 특성을 단순하게 반영하는 가중치를 사용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국지적 기하학 특성을 종합적으로 반영하는 등각사상과 이웃 정점과의 상호관계를 연속적으로 표현할 수 있는 중간값 좌표계를 사용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논문에서 제시된 방법이 기존 다른 방법에 비해서 보다 정확한 법선벡터를 계산할 수 있음을 실험을 통해서 알 수 있다. Most of objects in computer graphics may be represented by a form of mesh. The exact computation of vertex normal vectors is essential for user to apply a variety of geometric operations to the mesh and get more realistic rendering results. Most of the previous algorithms used a weight which resembles a local geometric property of a vertex of a mesh such as the interior angle, the area, and so on. In this paper, we propose an efficient algorithm for computing the normal vector of a vertex in meshes. Our method uses the conformal mapping which resembles synthetically the local geometric properties, and the mean value coordinates which may smoothly represent a relationship with the adjacent vertices. It may be confirmed by experiment that the normal vector of our algorithm is more exact than that of the previous methods.

      • KCI등재

        자기교차를 가지는 곡선 재구성

        김형석,Kim, Hyoung-Seok B. 한국정보통신학회 2010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Vol.14 No.9

        점들의 집합으로부터 곡선이나 곡면을 구성하는 문제는 기하학적 모델링, 컴퓨터그래픽스, 영상처리 등의 분야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특히 곡선 재구성 문제는 기존에 존재하는 곡선으로부터 샘플링된 점들로부터 순서를 부여하여 점들을 연결하는 문제이다. 이러한 문제에 대한 대부분의 기존 방법들은 유클리언 거리를 기초로 하고 있기 때문에 자기교차를 가지고 있는 곡선의 재구성 문제를 해결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방향도 함께 고려하는 거리를 제안하고, 이를 이용하여 데이터 점들에게 순서를 부여하는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거리함수는 브라운 운동의 확산 특성을 반영한 것으로서, 다음 점의 위치에 대한 정보를 표준정규분포로 전환함에 의해서 유도되었다. 본 논문의 우수성은 기존의 방법으로는 해결하지 못했던 자기교차 곡선 재구성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는 점이다. We propose a new algorithm for reconstructing curves with self-intersections from sample points. In general, the result of curve reconstruction depends on how to select and order the representative points to resemble the shape of sample points. Most of the previous point ordering approaches utilize the Euclidean distance to compute the proximity of sample points without directional information, so they can not solve the non-simple curve reconstruction problem. In this paper, we develop a new distance estimating the adjacency between sample points, which is derived from the standard normal distribution of Brownian motion. Experimental results show that this approach is very effective to non-simple curve reconstruction.

      • KCI등재

        BBF를 이용한 적은 수의 MRI 이미지로부터 3차원 조직 재구성

        신영석,김형석,Shin, Young-Seok,Kim, Hyoung-Seok B. 한국정보통신학회 2008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Vol.12 No.11

        최근 MRI와 CT와 같은 의료영상에서의 진보한 기술은 의사들에게 상세한 해부학적 정보를 제공하게 하여 그들의 진단 능력을 향상시키고 있다. 일반적으로 보다 상세한 정보를 얻기 위해서는 많은 수의 MRI이미지를 필요로 한다. 그러나 일반 병원에서 접하는 MRI 기계의 성능이 우수하지 않은 경우가 많고 따라서 획득되는 이미지의 수가 적다. 결과적으로 적은 수의 슬라이스를 이용해 3D surface를 재구성하게 되면 퀄리티가 낮아지는 문제가 발생한다. 본 논문에서는 적은 수의 슬라이스를 이용하여 높은 퀄리티의 3D surface를 얻는 방법을 제안한다. 이를 위한 알고리즘은 먼저 원하는 영역의 경계를 찾아서 그 경계선들의 점을 찾는다. 이러한 점들로부터 Radial Basis Function을 이용해서 점들을 모두 지나는 음함수 곡면 수식을 생성한다. 생성된 음함수 곡면수식으로부터 Marching cube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렌더링 한다. Recent the advanced technologies in medical imaging such as magnetic resonance imaging (MRI) and computed tomography (CT) make doctors improve the diagnostic skill with detailed anatomical information. In general, it is necessary to get a number of MRI images in order to obtain more detail information. However, the performance of MRI machines of privately run hospitals is not good and thus we may obtain only a few of MRI images. If 3D surface reconstruction is accomplished with a few slices, then it generates 3D surface of poor qualify. This paper propose a way to Set a 3D surface of high quality from a few of number of slices. First of all, our algorithm detects the boundary of tissues which we want to reconstruct as a 3D object and find out the set of vortices on the boundary. And then we generate a 3D implicit surface to interpolate the boundary points by using radial basis function. Lastly, we render the 3D implicit surface by using Marching cube algorithms.

      • KCI등재

        교육목표의 우선순위를 고려한 동적 강의계획서 구성 시스템

        김호숙 ( Ho Sook Kim ),김형석 ( Hyoung Seok B. Kim ) 한국컴퓨터교육학회 2009 컴퓨터교육학회 논문지 Vol.12 No.2

        본 논문은 선행 학습과 후행 학습 관계인 교과의 선 후수 관계가 뚜렷하고, 학습자의 이해 정도를 교수자가 실시간으로 파악하기 쉬운 컴퓨터 교육에서 발생할 수 있는 정적인 교육 실행 계획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교육목표에 대한 우선순위를 기반으로 물리적인 교육 시간의 변화 및 학습자의 수준 변화에 따른 동적 강의계획서 구성 시스템을 제안한다. 이를 활용하여 출발점 행동이 서로 다른 두 집단을 대상으로 수업을 진행한 결과, 제안된 시스템 활용이 교육의 전이도가 높고 해당 교과목에서 반드시 다루어야 하는 대표 주제를 중심으로 수업을 진행하는데 도움을 주어 우선순위가 높은 교육목표의 달성에 효과적임을 확인하였다. In this paper, we propose a new dynamic syllabus composition system to solve the problems of a static syllabus which can appear in the field of computer education, where the relationship between pre-post study subjects is clear and teachers may grasp easily the degree of understanding of learners in real time. Our dynamic syllabus composition system is designed to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physical change of the amount of education and the level of learners, which is based on the priority of educational objects. The result of instance performed on two groups of different entering behavior shows that the proposed method enhances the degree of transfer of education and helps us teach a class around the representative subject which has to be dealt with in the class, so that it is very effective for the achievement of educational objects prior to othe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