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청소년의 친사회적 행동에 대한 또래집단의 영향력 검증

        김학령(Hak Lyoung Kim),정화(Jeong Hwa Kim),정익중(Ick Joong Chung) 한국아동복지학회 2011 한국아동복지학 Vol.- No.36

        본 연구는 청소년이 바람직한 사회구성원으로서 성장하기 위해 필요한 요소로서 타인에 대한 배려와 돌봄의 행위인 친사회적 행동에 주목하였다. 또래집단의 영향이 청소년의 친사회적 행동에 어떻게 작용하고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 또래영향모델과 개인특성모델을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보건복지부의 "아동청소년종합실태조사" 자료를 위계적 다중회귀분석으로 검증한 결과, 청소년의 친사회적 행동은 친구의 친사회적 행동으로부터 긍정적인 영향을, 친구의 반사회적 행동으로부터 부정적으로 영향을 받았다. 개인특성 요인인 자아존중감, 공감능력 변수를 포함한 모형에서는 공감능력, 자아존중감, 친구의 친사회적 행동, 그리고 친구의 반사회적 행동 순으로 청소년의 친사회적 행동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결과를 보였다. 따라서 또래영향모델과 개인특성모델이 모두 유효하나 개인특성의 영향이 더 큰 것으로 검증되었다. 또한 개인특성과 또래특성 간의 상호작용효과를 살펴본 결과, 자아존중감이 높은 경우 친구의 친사회적 행동이 본인의 친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긍정적인 영향이 더 크고, 공감능력이 높은 경우 친구의 반사회적 행동이 본인의 친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부정적인 영향이 더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청소년의 친사회적 행동에 대한 또래집단의 영향력은 개인특성에 의해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나, 또래영향모델과 개인특성모델은 청소년의 친사회적 행동에 상호보완적으로 작용하고 있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마지막으로 청소년의 긍정발달을 위한 사회복지적 함의를 논하였다. This study focuses on adolescent prosocial behavior as one of the necessary elements for youth to grow as a healthy member of the societ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peer group on adolescent prosocial behavior by comparing the peer influence model and the individual characteristics model. For the study, we conducted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using the data from the Korean Youth General Survey 2008, administered by the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Results show that friends` prosocial behavior had a positive impact, but friends` antisocial behavior had a negative impact on adolescent prosocial behavior. When individual characteristics including self-esteem and empathy were analyzed simultaneously, empathy, self-esteem, friends` prosocial behavior, and friends` antisocial behavior were found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 strength of association between individual characteristics and adolescent prosocial behavior was greater than that of friends` behaviors. Also, significant moderating effects of individual characteristics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adolescent prosocial behavior and friends` behaviors were found. For example, the positive effect of friends` prosocial behavior on adolescent prosocial behavior increased as adolescent`s level of self-esteem increased. On the other hand, the negative effect of friends` antisocial behavior on adolescent prosocial behavior decreased as adolescent`s level of empathy increased. Based on the findings, both the peer influence model and the individual characteristics model were considered valid in explaining prosocial behavior of Korean adolescents. Finally, implications of this study for positive youth development were discussed.

      • KCI등재

        증례 : 순환기 ; 가성동맥류를 동반한 Haemophilus parainfluenzae 인공판막 심내막염

        정지현 ( Ji Hyun Jung ),김학령 ( Hack Lyoung Kim ),혜미 ( Hyue Mee Kim ),이학승 ( Hak Seung Lee ),지혜 ( Chee Hae Kim ),최홍미 ( Hong Mi Choi ),조주희 ( Joo Hee Zo ) 대한내과학회 2014 대한내과학회지 Vol.87 No.5

        Prosthetic valve endocarditis (PVE) caused by Haemophilus parainfluenzae (H. parainfluenzae) is very rare. Here, we report a case of H. parainfluenzae PVE that developed following the Bentall procedure complicated by a pseudoaneurysm and cerebral emboli. A diagnosis was delayed in this case because of the slow-growing nature of the organism and the unusual clinical presentation. (Korean J Med 2014;87:589-592)

      • KCI우수등재

        신체건강행동 측정을 위한 척도개발연구

        양옥경(Yang, Ok-Gyeong),김학령(Kim, Hak Lyoung) 한국사회복지학회 2015 한국사회복지학 Vol.67 No.3

        본 연구는 사회복지실천 현장에서 보편적인 서비스를 이용하는 일반 클라이언트의 일상생활에서의 신체건강행동을 측정하기 위한 척도를 개발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문헌검토와 사회복지사 대상 FGI 및 관련 전문가의 내용타당도 검증을 거쳐 설문문항을 구성하였으며, 일반 성인 35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시행하였다. 요인분석을 통해 ‘증진행동척도’와 ‘저해행동척도’의 하위척도로 나뉘는 ‘신체건강행동척도’를 완성하였다. 증진행동척도는 7요인(신체건강관리, 구강관리, 신체활동, 위생관리, 건강음식섭취, 수면관리, 식습관)으로, 저해행동척도는 5요인(흡연, 저해식품섭취, 음주, IT기기사용, 저해식습관)으로 구성되었다. 두 척도 모두 모형적합도가 우수하였고, 내적일관성 신뢰도 역시 높게 나타났다. 또한 수렴타당도, 판별타당도, 동시타당도 등의 검증에서 모두 유의미한 결과를 보임에 따라 타당성 있는 척도임이 확인되었다. 이렇게 개발된 척도는 사회복지실천의 현장에서 클라이언트에게는 신체건강행동에 대한 자기점검의 도구로, 사회복지사에게는 신체건강행동의 사정(Assessment)을 통한 근거기반의 실천을 할 수 있는 유용한 도구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aimed to develop a scale to measure physical health behaviors among social work clients using general services. The scale items were constructed based on literature review and FGI of social workers.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confirmative factor analysis affirmed the factor structure of Physical Health Behavior Scale with two sub-scales: Health Promotion Behavior Scale and Health Hindrance Behavior Scale. Promotion Scale had 7 factors and Hindrance Scale had 5 factors. Both sub-scales showed acceptable ranged goodness-of-fit for the model, and internal consistency test proved that the scale was reliable. The analyses of discriminant validity, convergent validity, and concurrent validity resulted significant validation. Based on those results, the developed Physical Health Behavior Scale were proved well-constructed, reliable and valid. The Scale will be utilized for both clients in general to check their own health related behaviors and social workers to adopt as a tool for assessment in order to perform an evidence based practi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