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Tinidazole ( Fasigyn ) 의 단일회 경구방법에 의한 질트리코모나스질염의 치료효과

        김태홍(TH Kim),김경태(KT Kim),박인서(IS Park) 대한산부인과학회 1977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20 No.6

        질트리코모나스질염의 치료는 과거 10여년간 Metronidazole이 치료제로서 인정을 받아 사용되여 왔다. Metronidazole의 투여방법으로 1일 600㎎을 7일간 사용하는 방법이 보편적으로 이용되어 왔으나 사용기간의 단축과 사용의 간편을 위하여 Metronidazole 2gm의 1회 경구 투여법이 시도되어 82%∼90%의 치료성적을 보였다. 차제에 Trichomonas원충에 대하여 Metronidazole보다 검사실 소견상 약 8배나 강하고 혈중농도가 48시간 지속되는 Tinidazole의 발견은 질 Trichomonas 질염 치료에 전환기를 이루게 되어 관심을 환기시겼다. Tinidazole의 치료효과를 비교검토하기 위하여 여러가지 치료방법이 시도되었다. 그 중 치료방법의 복잡성을 피하기 위하여 Tinidazole 2gm의 단일회 경구 투여방법이 광범위하게 사용되어 신은 98%, Waldenbach는 93.0%, Willin은 96%의 치료성적을 보고 하였다. 저자의 치료성적 96.7%는 다른 저자의 보고와 비슷한 수치를 보였다. Woodcock는 Metronidazole의 치료에 있어서 임균의 혼합감염이 존재시 질Trichomonas 질염의 치료와 밀접한 관계가 있는 듯하다고 보고하였으나 저자의 예 중 치료 실패예에 있어서 임균의 혼합감염은 발견되지 않았다. 질내 산도측정은 Test tape(Combistick)에 의한 비색방법을 시도하였으나 비색기준 의 판단이 조잡하여 도움이 될만한 수치의 차이를 보이지 않아 사용을 중단하였다. 부작용의 발생빈도는 Weldenbach 19%, Wallin 47예중 4예에서 부작용이 있다고 보고하였고, Schmor는 50예 중 9예에 있어서 암갈색뇨를 보고하였고, 신은 22.4%를 보고하였던 바 저자에 따른 부작용 발생빈도의 차이는 부작용 기준의 차이에 기인하는듯 하다. 부작용이나 독성으로 인하여 특별한 치료를 필요로 하였던 예는 없었으며 중등도의 부작용도 투여 제 3일부터는 소실되었다. Tinidazole 투여 전후에 있어서 혈액검사 및 간기능검사상 괄목할 만한 의의있는 차이는 발견되지 않았다. Tinidazole 2gm의 단일회 경구 투여방법은 치료성적이 매우 양호하며 부작용과 독성이 적으며 사용법이 간단하고 임상증상의 호전도 빨라 효과적인 질트리코모나스질염의 치료제라고 할 수 있겠다. Thirty patients in whom the diagnosis of trichomonal vaginitis were confirmed by direct microscopic examination of the vaginal secretion diluted in an isotonic saline solution. The husbands or sexual partners were also treated with the same dose of tinidazole at the same time. The results of a single dose treatment with 2 gm tinidazole in 30 patients with vaginal trichomoniasis infection were reported as follows; 1) In 29 patients out of 30(96.7%) the trichomonads were completely eradicated after the single dose treatment on one week follow-up visit after tinidazole therapy. In one patient, a second course of therapy led to complete eradication of trichomonads. There were 2 patients out of 30 (93.3%) who had trichomonads at the 4 to 6 week follow-up visit. It could not be determined whether this was due to a treatment failure or to reinfection. 2) Minor side effects such as anorexia, nausea, abdominal discomfort, vertigo and dark urine developed in 8 cases(26.7%). 3) Biologic toleration by hemogram and liver function tests performed before and after the treatment was found to be very good. The advantages of a single dose treatment of both partners were salf-evident.

      • KCI등재

        복강경 불임술의 임상적관찰 ( 제2보 )

        류석권(SK Yoo),엄승호(SH Ohm),김태홍(TH Kim),윤석한(SH Yoon) 대한산부인과학회 1979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22 No.2

        저자는 1974년 5월 1일부터 1978년 7월 31일까지 국립의료원 산부인과를 방문한 불임시술 희망자중 복강경불임술을 시행하였던 총 900례(전기 소작법 680례 Ring법 220례)에 대한 조사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연령분포는 31∼35세군이 전체의 42.6%로 수위이었고 차위는 36∼40세군으로 32.7%이었으며 평균연령은 34.3세, 최소연령은 21세, 최고연령은 46세이었다. 2. 자녀수는 3명이 전체의 50.8%로 가장 많았고 2명이 26.6%로 차위이었으며 평균 자녀수는 3명이었다. 3. 인공유산을 경험한 부인은 전체의 89%이었으며 경험이 한번도 없었던 경우는 11.0%에 불과하였다. 4. 개복수술의 기왕력이 있었던 경우는 전체의 10.4%이었고 충수돌기 절제술이 10.0%로 가장 많았으며 자궁부속기 절제술이 0.3%, 제왕절개술이 0.1%의 순이었으나 시술에 특별한 지장은 없었다. 5. 시술전까지의 피임방법은 경구피임약이 35.7%로 가장 많았고 condom법이 21.2%, 자궁내 장치법이 13.6%의 순이었고 무피임의 경우가 26.8%이었다. 6. 최종임신은 86.6%에서 임신중절수술을 행하였고 가장 많은 빈도를 차지하였다. 7. 최종임신결과로부터 불임시술과의 기간은 1∼3년인 경우가 전체의 43.3%로 가장 많았다. 8. 마취방법은 전체의 97.8%가 국소마취이었고 전신마취는 불과 2.2%이었다. 9. 시술시 CO2 gas 소요량은 4∼5l의 경우가 대부분이었으며 전체의 74.7%를 차지하였다. 10. 시술소요시간은 30분이내가 소작법군에서 전체의 70.6%, Ring법군에서 85.6%로 대부분을 차지하였고 Ring법에서 소요시간이 약간 짧았음을 보여 주었다. 11. 시술후 재원시간은 대부분이 3시간 이내로 전체의 69.2%이었고 소작법군에서 66.3%, Ring법군에서 78.4%를 차지하였다. 12. 시술과 동시에 실시한 수술로 가장 많았던 수술은 임신중절수술로서 전체의 40.2%이었으며 단지 불임시술만 실시하였던 경우는 전체의 42.7%이었고 수술소요시간이나 합병증의 발생에 있어서 큰 차이는 없었다. 13. 시술중 가장 많았던 합병증은 경미한 자궁부속기 출혈로 소작법군에서 34례(5.0%), Ring법군에서 2례(0.9%)가 있었으며 소작법 시행중 장손상이 1례 있었고 자궁천공이 3례 있었다. 전체적으로 합병증은 소작법군에서 54례(7.6%), Ring법군에서 11례(5.0%)가 있었다. 14. 시술후 가장 많이 호소하였던 증상은 요통 및 복부불쾌감으로 소작법군에서 235례(34.5%), Ring법군에서 136례(62.0%)로 양군에서 큰 차이를 볼 Among 900 cases of laparoscopic tubal Sterilizations, 220 procedures of Yoon`s ring application and 680 procedures of coagulation were performed mostly under the local anesthesia for the recent 5 years from May 1974 to July 1978. Differences between Yoon`s ring and coagulation method were made in various aspects. The results obtained were as follows; 1) The mean age of the patients was 34.3 years. The youngest was 21 years and the oldest 46 years. Age group of 31 to 35 years was most common with the incidence of 42.6%. 2) The average number of living children was 3.0, which encountered in 50.8% of the total and that of two in 23.8%. 3) Induced abortion of 13 times was the largest frequency ever found. 99 cases(11.0%) did not have the history of induced abortion, whereas 8 cases(0.9%) had experienced it more than 7 times. 4) No considerable technical difficulty during the tubal sterilization was encountered with those 103 cases(10.4%) who had previous history of laparotomy such as appendectomy in 99 cases(10.0%) adnexectomy in 3 cases(0.3%) and cesarean section in one case(0.1%). 5) Contraceptive method with oral pill prior to laparoscopic tubal sterilization was 35.7% of total cases, with condom 21.2% and with I.U.D 13.6%, respectively. 214 cases(26.8%), however, had not practiced any contraceptive method. 6) The last pregnancy before this laparoscopic sterilization was terminated by induced abortion in 86.6%, whereas term pregnancy in 13.0%. 7) The interval between outcomes of the last pregnancy and sterilization was one to three years, which occupied 43.3% of total cases. 8) Laparoscopic tubal sterilization was performed under the local anesthesia in 97.8% and under the general Anesthesia in 2.2%. 9) Four to five liters of Co2 gas were consumed for pneumoperitoneum in 74.7% of all cases. 10) Hospitalization for less than 3 hours was required in 66.3% of the coagulation group and 78.4% of the rihg group. 12) The incidental induced abortion followed by sterilization was encountered in 40.2%, an

      • KCI등재

        한국여성의 융모종양의 임상적 고찰

        박성구(SK Park),김현찬(HC Kim),주영철(YC Joo),장명익(MI Chang),김태홍(TH Kim),박인서(IS Park) 대한산부인과학회 1977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20 No.7

        1. 빈도 : 분만수에 대한 융모종의 발생빈도는 1:71분만(1.41%), 융모암은 1:279분만(0.36%)이었다. 2. 새로운 분류방법에 의한 융모종양의 분포는 양성융모종양 39예(52.7%), 악성융모종양 47.3%의 분포이었고 비전이성 32.4%, 전이성 12.9%이었다. 3. 연령 : 융모종의 연령분포는 생식능력이 강한 20∼34세가 대부분이라 추정된다. 4. 병리조직학적 분류는 융모종 67예중 포상기태 38예(56.7%), 융모암 12예(17.9%), 파괴성기태 2예(3.0%), 조직불분명 15예(22.4%)이었다. 5. 양성융모종양의 임상적 증상의 기간은 2개월내가 71.8%로 대부분이었고, 증상별로 는 부정성기출혈이 35.4%, 태아심음청취불능은 11.8%, 태동을 느끼지 못하는 예 9.5% 의 순위이었다. 6. 포상기태 환자들 중 예방적 화학요법을 실시한 예는 완전소퇴율이 88.9%, 실시하지 않은 예가 66.7%로 예방적 화학요법을 실시하지 않은 예에서 악성 융모종양으로 되는 율이 많 았다. 7. 악성 융모종양환자의 임상증상중 비전이성 악성융모종환자는 출혈 19예, 자궁팽대 4예인 반면 전이성 악성융모종환자는 출혈 16예, 출혈 6예, 무월경 6예의 순위이었다. 8. 악성융모종양의 화학요법에 의한 총괄적 치료효과는 비전이성 악성융모종양은 81.8%의 소퇴율을 보이고 전이성 악성융모종양은 54.1%를 나타내어 비전이성 융모종양의 완전소퇴율이 높았다. 9. 악성융모종양의 병리조직학적 검사소견과 화학요법의 치료효과는 파괴성기태 (100.0%), 융모암(83.3%), 포상기태(66.6%)의 순위이었으나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10. 전이성융모종의 화학요법에서 관찰한 증상은 소퇴 13예의 환자들중 소퇴기간은 1~2년 사이가 6예로 제일 많았으며 이들은 적어도 5년이상의 추적을 요한다. 11. 전이성 융모종양의 완전 소퇴를 위하여 소요된 투약횟수는 3회기가 5예, 2회기가 3 예의 순위이었으며 5회기도 2예나 되었다. 12. 악성융모종양의 화학요법에 있어서 발병과 투약 개시사이의 기간이 치료성적에 미 치는 영향은 4개월이내에 치료를 개시한 환자가 79.2%의 소퇴율, 4개월이상이 27.3%로 소퇴율의 큰 차이를 보였다. 13. 전이성 융모종양의 전이부위와 화학요법과의 관계는 골반내, 폐, 질의 순서이었으며 두개골 전이는 예후가 불량하였다. 14. 화학요법의 중독증상은 구강염 46예, 소화기 장애 41예, 골수기능저하 및 고열 22예의 순위이었다. 15. 화학요법 중독증상으로부터 회복되는데 소요되는 필요한 월수는 각 회기를 통하여 대부분이 3주이내에 회복되었다. 16. 비전이성 융모종양환자 및 전이성 융모종양환자들 중 화학요법 및 수술요법을 병행한 환자의 소퇴율은 단일요법보다는 좋은 것으로 추정되었다. 17. Goldstein의 분류법에 의한 소퇴율은 class 3(100%), class 2(75%), class 4(63.2%), class 5(20%)로 class가 올라갈수록 소퇴율은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This article is the report of trophoblastic tumor treated in the gynecological ward of the National Medical Center from January 1, 1972 to December 31, 1975. Trophoblastic tumors occured once in about 71 deliveries (1.4%) and choriocarcinoma once in about 279 deliveries (0.36%). A total of 67 cases was seen with the following distributions; hydatidiform mole 39, chorioadenoma destruens 2, choriocarcinoma 17, and unknown 9. The distributions of histological classification of total 67 cases were as followings; hydatidiform mole 38 (56.7%), chorioadenoma destruens 2 (3.0%), choriocarcinoma 12 (17.9%) and unknown 15 (22.4%). The distribution of new classification of total 67 cases were as followings; benign trophoblastic tumors 39 cases (52.7%), malignant trophoblastic tumors 38 cases (47.3%) (non-metastatic T.D. 32.4% and metastatic T.D. 12.9%). The distributions of Goldstein classification of total 67 cases were as followings; class 1.39 cases, class 2, 8, class 3, 3, class 4, 19, class 5, 5 cases. Complete remission rate tends to be poor according to the increase of Goldstein classification number. Patient could be seen most frequently in 20-34 age group. In 35 cases with malignant trophoblastic tumors 9 cases in 11 (81.8%), metastatic malignant trophoblastic tumors 13 cases in 24 (54.1%). Analysis of 17 metastatic trophoblastic cases treated with chemotherapy, according to histopathological findings showed that 100% of 2 invasive mole, 83.3% of 13 choriocarcinoma and 66.6% of 3 hydatidiform mole cases obtained complete remission. The number of courses of chemotherapy required to induce complete remissin indicated from 1 to 5 courses, with a high frequency of complete remission being induced by 2 to 3 courses. Perhaps the most critical factor in the response to chemotherpy appeared to be the duration of the disease process prior to the onest of treatment and this study showed that patient treated within 4 months of the onset of the disease revealed markedly favorable prognosis (complete remission 79.2%) and in patient treated over 4 months revealed poor outcome (complete remission 27.3%) The effect of metastatic site on response to the chemotherapy showed that the patients with pelvic metastases fared most favorable, pulmonary metastases were most poor. Manifestations of toxicity with chemotherapy showed that the patients with stomatitis (46 cases), gastrointestinal trouble (41 cases) and bone marrow depression (22 cases) in the order. The time interval required for recovery from toxicity of chemotherapy after each course showed no big difference and the great majority of patients recovered from toxicity within 3 weeks.

      • KCI등재

        색소소실과 자연치유를 보인 피부 위축증 1예

        강남규,김태홍 대한피부과학회 2003 大韓皮膚科學會誌 Vol.41 No.1

        Atrophederma of Pasini-Pierini and morphea are regarded as distinct clinical entities, but some authors insist close relationship between them. A 33-year-old Korean woman complained solitary atrophic lesion on lateral wrist. It was whitish, nomindurated, and slightly depressed lesion with smooth surface, and she denied prior history of any trauma or injection. Histological examination showed epidermal atrophy, basal hypopigmentation, and moderate dermal fibrosis without specific change of subcutaneous fat tissue. Fontna-Masson stain showed decreased melanocyte in basal layer. The lesion disappeared spontaneously within a year. We suggest her skin lesion seems to be a variant of self-involuting atrophoderma of the lateral upper arm reported previously. (Korean J Dermatol 2003;41(1) : 138∼140)

      • KCI등재후보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