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컴퓨터 교과 교육 1 : 중학생의 인터넷 게임중독에 영향을 미치는 위험요인과 보호요인에 관한 연구

        김태남 ( Tae Nam Kim ),강신천 ( Shin Chun Kang ) 한국컴퓨터교육학회 2009 한국컴퓨터교육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Vol.13 No.1

        본 연구는 중학생의 인터넷 게임중독에 영향을 미치는 위험요인과 보호요인을 알아보기 위한 연구이다. 본 연구의 대상은 경상북도 김천시에 소재하는 중학생 665명이며, 사용한 측정도구는 인터넷 게임중독 척도, 우울/불안 척도, 부정적 정서성 척도, 공격성 척도, 학교적응척도, 자기통제척도이다. 수집된 자료는 Pearson의 상관관계분석, t검증, 위계적 중다회귀분석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인터넷 게임중독 경향은 남학생이 높고, 인터넷 게임중독에 대한 위험요인인 부정적 정서성은 여학생이 높게, 보호요인인 학교적응은 남학생이 높게 나타났다. 둘째, 성별에 따른 위험요인과 보호요인은 남학생은 위험요인으로 우울/불안이, 보호요인으로 학교적응이, 여학생은 공격성과 우울/불안이 위험요인으로 학교적응과 자기통제가 보호요인인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인터넷 게임중독에 대한 위험요인은 보호요인이 추가됨에 따라 그 설명력이 감소하였다.

      • 유해화학물질의 수환경 유입 방지를 위한 산업단지 하·폐수처리장 대응 제어체계 개발

        김태남 ( Tae-nam Kim ),구세림 ( Se-rim Koo ),양준혁 ( Jun-hyeok Yang ),채규정 ( Kyu-jung Chae ) 한국물환경학회 2020 한국물환경학회·대한상하수도학회 공동 춘계학술발표회 Vol.2020 No.-

        최근 국내 2008년 페놀 유출사고, 2015년 황산 누출사고와 같은 화학사고가 잇따라 발생함에 따라 환경부는 유해화학물질 취급기준 구체화, 화학사고 영향평가제도 등을 신설하고 화학사고수의 하천 직유입 방지를 위해 수계 인근 하·폐수처리장(wastewater treatment plant, WWTP)에 완충저류시설을 설치하는 등 예방관리체계를 강화하였다. 그러나 아직 국내의 화학사고에 대한 하·폐수처리장대응기술 수준은 낮다고 평가되고 있고 특히나 발암성 물질이 대부분인 휘발성유기화합물(Volatile organic compound, VOC)과 같은 유해물질의 WWTP 내 거동 평가는 전무한 수준이다. 이에, 본 연구는 국내 D산업단지의 하·폐수처리시설 현황, 화학사고 대응사례 등을 기반으로 Anaerobic/Oxic(A/O)공정을 제작하여, 화학사고시 WWTP 내 VOC의 거동 및 유출 방지 대응전략을 모사하였다. 제작된 A/O공정은 D산업단지 WWTP 처리유량의 10<sup>7</sup>:1 비율로 제작하였으며, 대응 제어체계는 가정된 유해화학물질 사고상황 임계농도를 설정하여 유입농도가 설정된 값보다 높게 설정되면 유입유량이 전량 완충저류조로 유입되게 구성하였다. 가상 화학사고상황은 제작된 화학사고수(1,4-Dioxane 150mg/L)를 86.4L/day로 1시간 동안 지속적으로 유입된 상황으로 모사하였다. 평가 결과, 화학사고 발생 후 1시간까지는 1,4-Dioxane는 A/O 공정 간 흡착, 희석 및 휘발에 의해 유출되지 않음을 확인하였다. 하지만, 3시간 이후부터는 1,4-Dioxane에 의한 A/O조의 미생물 활성도 감소, 부하율 증가에 따라 유출농도가 최대 0.3mg/L까지 증가하였다. 더불어, 사고상황 시 유입수를 A/O공정에서 완충저류조로 유입하게 함으로써, 유출수 수질은 빠르게 회복되었다. 완충저류조에 저류된 저류수의 WWTP 자체처리를 위해 사고수를 유입수조로 기존 유입유량 대비 1/100 수준으로 반송하였다.

      • 유해화학물질의 수환경 유입 방지를 위한 산업단지 하·폐수처리장 대응 제어체계 개발

        김태남 ( Tae-nam Kim ),구세림 ( Se-rim Koo ),양준혁 ( Jun-hyeok Yang ),채규정 ( Kyu-jung Chae ) 한국물환경학회 2020 한국물환경학회·대한상하수도학회 공동 춘계학술발표회 Vol.2020 No.-

        최근 국내 2008년 페놀 유출사고, 2015년 황산 누출사고와 같은 화학사고가 잇따라 발생함에 따라 환경부는 유해화학물질 취급기준 구체화, 화학사고 영향평가제도 등을 신설하고 화학사고수의 하천 직유입 방지를 위해 수계 인근 하·폐수처리장(wastewater treatment plant, WWTP)에 완충저류시설을 설치하는 등 예방관리체계를 강화하였다. 그러나 아직 국내의 화학사고에 대한 하·폐수처리장대응기술 수준은 낮다고 평가되고 있고 특히나 발암성 물질이 대부분인 휘발성유기화합물(Volatile organic compound, VOC)과 같은 유해물질의 WWTP 내 거동 평가는 전무한 수준이다. 이에, 본 연구는 국내 D산업단지의 하·폐수처리시설 현황, 화학사고 대응사례 등을 기반으로 Anaerobic/Oxic(A/O)공정을 제작하여, 화학사고시 WWTP 내 VOC의 거동 및 유출 방지 대응전략을 모사하였다. 제작된 A/O공정은 D산업단지 WWTP 처리유량의 10<sup>7</sup>:1 비율로 제작하였으며, 대응 제어체계는 가정된 유해화학물질 사고상황 임계농도를 설정하여 유입농도가 설정된 값보다 높게 설정되면 유입유량이 전량 완충저류조로 유입되게 구성하였다. 가상 화학사고상황은 제작된 화학사고수(1,4-Dioxane 150mg/L)를 86.4L/day로 1시간 동안 지속적으로 유입된 상황으로 모사하였다. 평가 결과, 화학사고 발생 후 1시간까지는 1,4-Dioxane는 A/O 공정 간 흡착, 희석 및 휘발에 의해 유출되지 않음을 확인하였다. 하지만, 3시간 이후부터는 1,4-Dioxane에 의한 A/O조의 미생물 활성도 감소, 부하율 증가에 따라 유출농도가 최대 0.3mg/L까지 증가하였다. 더불어, 사고상황 시 유입수를 A/O공정에서 완충저류조로 유입하게 함으로써, 유출수 수질은 빠르게 회복되었다. 완충저류조에 저류된 저류수의 WWTP 자체처리를 위해 사고수를 유입수조로 기존 유입유량 대비 1/100 수준으로 반송하였다.

      • 유해화학물질의 수환경 유입 방지를 위한 산업단지 하·폐수처리장 대응 제어체계 개발

        김태남 ( Tae-nam Kim ),구세림 ( Se-rim Koo ),양준혁 ( Jun-hyeok Yang ),채규정 ( Kyu-jung Chae ) 한국물환경학회 2020 한국물환경학회·대한상하수도학회 공동 춘계학술발표회 Vol.2020 No.-

        최근 국내 2008년 페놀 유출사고, 2015년 황산 누출사고와 같은 화학사고가 잇따라 발생함에 따라 환경부는 유해화학물질 취급기준 구체화, 화학사고 영향평가제도 등을 신설하고 화학사고수의 하천 직유입 방지를 위해 수계 인근 하·폐수처리장(wastewater treatment plant, WWTP)에 완충저류시설을 설치하는 등 예방관리체계를 강화하였다. 그러나 아직 국내의 화학사고에 대한 하·폐수처리장대응기술 수준은 낮다고 평가되고 있고 특히나 발암성 물질이 대부분인 휘발성유기화합물(Volatile organic compound, VOC)과 같은 유해물질의 WWTP 내 거동 평가는 전무한 수준이다. 이에, 본 연구는 국내 D산업단지의 하·폐수처리시설 현황, 화학사고 대응사례 등을 기반으로 Anaerobic/Oxic(A/O)공정을 제작하여, 화학사고시 WWTP 내 VOC의 거동 및 유출 방지 대응전략을 모사하였다. 제작된 A/O공정은 D산업단지 WWTP 처리유량의 10<sup>7</sup>:1 비율로 제작하였으며, 대응 제어체계는 가정된 유해화학물질 사고상황 임계농도를 설정하여 유입농도가 설정된 값보다 높게 설정되면 유입유량이 전량 완충저류조로 유입되게 구성하였다. 가상 화학사고상황은 제작된 화학사고수(1,4-Dioxane 150mg/L)를 86.4L/day로 1시간 동안 지속적으로 유입된 상황으로 모사하였다. 평가 결과, 화학사고 발생 후 1시간까지는 1,4-Dioxane는 A/O 공정 간 흡착, 희석 및 휘발에 의해 유출되지 않음을 확인하였다. 하지만, 3시간 이후부터는 1,4-Dioxane에 의한 A/O조의 미생물 활성도 감소, 부하율 증가에 따라 유출농도가 최대 0.3mg/L까지 증가하였다. 더불어, 사고상황 시 유입수를 A/O공정에서 완충저류조로 유입하게 함으로써, 유출수 수질은 빠르게 회복되었다. 완충저류조에 저류된 저류수의 WWTP 자체처리를 위해 사고수를 유입수조로 기존 유입유량 대비 1/100 수준으로 반송하였다.

      • 그래핀옥사이드 여과막의 나노구조 변화에 따른 물 투과율 변화 규명

        김태남 ( Tae-nam Kim ),이지은 ( Ji-eun Lee ),박성관 ( Sung-gwan Park ),황문현 ( Moon Hyun Hwang ),주경훈 ( Kyoung Hoon Chu ),채규정 ( Kyu-jung Chae ) 한국물환경학회 2020 한국물환경학회·대한상하수도학회 공동 춘계학술발표회 Vol.2020 No.-

        In recent years, multi-layered GO membrane (GOM) is progressively studied by researchers due to its unique water transport system, high chemical and mechanical stability. Two-dimensional (2D) nanochannel between neighboring graphene oxide (GO) nanoflakes exhibit pore size of less than 1.5 nm that shows remarkable ion-sieving performance from salt water. However, due to the flexible nature of GO, it is still unclear how the microstructure of GOM affects water permeation through stacked nanochannels. Recently, Chong et. al. (2018) reported significant water flux decline by 90% during long-term filtration test. Such flux attenuation was continuously and repetitively occurred regardless of various fabrication method of GOM. The authors stated that somewhat loosely packed microstructure induces the structural changes during filtration. However, structural change of GOM during filtration is not specifically identified yet. Here, we experimentall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nanostructures of GO on GOM laminate and water pathway during water desalination. We varied the size of GO nanoflakes by probe-type sonication that destructs the size of GO while chemical properties are not distinctively changed. Pure water permeability almost doubled for large GO stacked membrane compared to that of small stacked one for 16.6 and 8.4LMH/bar, respectively. The water permeability results was opposite to conventional Hagen-Poiseuille model that large GO will result in low water flux as water pathway is longer. To compare the flux result and microstructure change of GOM, X-ray diffarction, Raman spectroscopy and atomic force microscopy was performed.

      • 그래핀옥사이드 여과막의 나노구조 변화에 따른 물 투과율 변화 규명

        김태남 ( Tae-nam Kim ),이지은 ( Ji-eun Lee ),박성관 ( Sung-gwan Park ),황문현 ( Moon Hyun Hwang ),주경훈 ( Kyoung Hoon Chu ),채규정 ( Kyu-jung Chae ) 한국물환경학회 2020 한국물환경학회·대한상하수도학회 공동 춘계학술발표회 Vol.2020 No.-

        In recent years, multi-layered GO membrane (GOM) is progressively studied by researchers due to its unique water transport system, high chemical and mechanical stability. Two-dimensional (2D) nanochannel between neighboring graphene oxide (GO) nanoflakes exhibit pore size of less than 1.5 nm that shows remarkable ion-sieving performance from salt water. However, due to the flexible nature of GO, it is still unclear how the microstructure of GOM affects water permeation through stacked nanochannels. Recently, Chong et. al. (2018) reported significant water flux decline by 90% during long-term filtration test. Such flux attenuation was continuously and repetitively occurred regardless of various fabrication method of GOM. The authors stated that somewhat loosely packed microstructure induces the structural changes during filtration. However, structural change of GOM during filtration is not specifically identified yet. Here, we experimentall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nanostructures of GO on GOM laminate and water pathway during water desalination. We varied the size of GO nanoflakes by probe-type sonication that destructs the size of GO while chemical properties are not distinctively changed. Pure water permeability almost doubled for large GO stacked membrane compared to that of small stacked one for 16.6 and 8.4LMH/bar, respectively. The water permeability results was opposite to conventional Hagen-Poiseuille model that large GO will result in low water flux as water pathway is longer. To compare the flux result and microstructure change of GOM, X-ray diffarction, Raman spectroscopy and atomic force microscopy was performed.

      • 그래핀옥사이드 여과막의 나노구조 변화에 따른 물 투과율 변화 규명

        김태남 ( Tae-nam Kim ),이지은 ( Ji-eun Lee ),박성관 ( Sung-gwan Park ),황문현 ( Moon Hyun Hwang ),주경훈 ( Kyoung Hoon Chu ),채규정 ( Kyu-jung Chae ) 한국물환경학회 2020 한국물환경학회·대한상하수도학회 공동 춘계학술발표회 Vol.2020 No.-

        In recent years, multi-layered GO membrane (GOM) is progressively studied by researchers due to its unique water transport system, high chemical and mechanical stability. Two-dimensional (2D) nanochannel between neighboring graphene oxide (GO) nanoflakes exhibit pore size of less than 1.5 nm that shows remarkable ion-sieving performance from salt water. However, due to the flexible nature of GO, it is still unclear how the microstructure of GOM affects water permeation through stacked nanochannels. Recently, Chong et. al. (2018) reported significant water flux decline by 90% during long-term filtration test. Such flux attenuation was continuously and repetitively occurred regardless of various fabrication method of GOM. The authors stated that somewhat loosely packed microstructure induces the structural changes during filtration. However, structural change of GOM during filtration is not specifically identified yet. Here, we experimentall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nanostructures of GO on GOM laminate and water pathway during water desalination. We varied the size of GO nanoflakes by probe-type sonication that destructs the size of GO while chemical properties are not distinctively changed. Pure water permeability almost doubled for large GO stacked membrane compared to that of small stacked one for 16.6 and 8.4LMH/bar, respectively. The water permeability results was opposite to conventional Hagen-Poiseuille model that large GO will result in low water flux as water pathway is longer. To compare the flux result and microstructure change of GOM, X-ray diffarction, Raman spectroscopy and atomic force microscopy was performed.

      • 변위를 이용한 변형률 해석

        김태남(Kim Tae-Nam),홍범진(Hong Bum-Jin)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학회 2003 한국구조물진단학회 학술발표회논문집 Vol.- No.-

        To find the safety and serviceability of bridges, it must consider the behaviour of structural member and evaluation of the exact resistance of the member subjected to external loads. To evaluate the behaviour and the resistance of the structural member, it must measure the strains and displacements of the structures. Usually we use the strain gauge to measure the strains. When, the bridge is long span and high pier, the setting of strain gauge is very difficult and not economic. It is not recommendable for the use of strain gauge, when the structural member has many cracks and moisture. Thus, to make up for this demerits, the algorithm of strain analysis by measured displacements data is propos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