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비선형 분석에 의한 뇌파 아티펙트 검출 알고리즘

        김철기,박준모,김남호,Kim, Chul-Ki,Park, Jun-Mo,Kim, Nam-Ho 한국융합신호처리학회 2020 융합신호처리학회 논문지 (JISPS) Vol.21 No.1

        수술 중 마취 깊이를 측정하는 방법으로 뇌파를 이용한 다양한 파라미터들이 사용되고 있으며, 실제 임상에서는 선형분석 기법 중 하나인 SEF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최근 EEG를 포함한 생체학적 신호는 비선형 성질을 가지고 있다는 연구결과가 발표되면서, 이를 기반으로 한 파라미터 개발이 이뤄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보다 정확한 EEG 측정과 분석을 위해 비선형 분석 기법 기반의 파라미터를 개발과 이에 대한 정현파 분석을 통한 데이터와의 비교 분석을 통해 수술 중 전자장비와 EEG 계측 시 혼입될 수 있는 노이즈를 추출하고자 한다. Various parameters are used to measure anesthetic depth during surgery using brain waves, and in actual clinical use, the linear analysis SEF is widely used. However, with recent studies showing that biological signals including EEG, contain nonlinear properties interest in nonlinear analysis of brain signals is increasing and parameters based on these are being developed. In this study, we are going to develop a parameter that can measure EEG using the nonlinear analysis method and extract noise that can be mixed with external electronic equipment and EEG instrumentation by comparing it with the data from the bispectrum analysis of static waves.

      • KCI등재

        Additive Regression Models for Censored Data

        김철기,Kim, Chul-Ki The Korean Society for Quality Management 1996 품질경영학회지 Vol.24 No.1

        In this paper we develop nonparametric methods for regression analysis when the response variable is subject to censoring that arises naturally in quality engineering. This development is based on a general missing information principle that enables us to apply, via an iterative scheme, nonparametric regression techniques for complete data to iteratively reconstructed data from a given sample with censored observations. In particular, additive regression models are extended to right-censored data. This nonparametric regression method is applied to a simulated data set and the estimated smooth functions provide insights into the relationship between failure time and explanatory variables in the data.

      • 구조용 PB를 적용한 경골벽체의 전단성능에 관한 연구

        김철기 ( Chul-ki Kim ),이민 ( Min Lee ),김광모 ( Kwang-mo Kim ),심국보 ( Kugbo Shim ) 한국목재공학회 2021 한국목재공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021 No.2

        우리나라 목조건축 시장은 지속적으로 성장하여, 2011년 이후 연간 1만여 동이 꾸준히 착공되고 있다. 그러나 목조건축의 대부분은 수입재를 사용하는 경골 목조건축에 국한되어 있어, 수입재를 대체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이에 국립산림과학원에서는 구조용 PB를 개발하여 경골 목조건축에서 구조용 판상재로 사용되는 수입 OSB를 대체하고자 한다. 구조용 PB를 적용한 경골 벽체의 전단 성능을 평가하기 위하여 크기 2.44(길이)×2.44(높이) m 벽체를 제작하였다. 벽체에서 골조는 육안 등급 2등급의 2×6 SPF 제재목을 사용하였으며, 스터드 간격은 406, 610 mm로 하여 2 종류의 벽체를 제작하였다. 벽체의 판상재로 구조용 PB와 OSB를 벽체 하나 당 2개씩 판상재 내부와 외곽에 각각 300, 150 mm 간격으로 8d 못을 박아 설치하였다. 전단 성능은 준정적 하중(ISO 16670 프로토콜)을 가하여 얻어진 하중이력곡선을 이용하여 평가하였다. OSB 벽체의 경우, 스터드 간격 406, 610 mm에서 전단 내력은 9.6, 7.9 kN/m로 나타났다. 구조용 PB 벽체의 경우, 스터드 간격 406, 610 mm에서 전단 내력은 8.5, 8.6 kN/m로 확인하였다. 동일한 벽체 구성에서 건축구조기준 내 허용 전단 내력은 7.1 kN/m로 실험한 벽체 모두 상회하였다. 스터드 간격 610 mm에서 OSB 벽체에 비하여 구조용 PB벽체의 전단 내력이 높게 나타났는데 이는 구조용 PB를 사용한 못 접합부의 전단 내력이 높기 때문이라고 사료된다. 다만 스터드 간격 406 mm에서는 전단 내력의 증가를 확인할 수 없었는데, 이는 벽체 외곽의 접합부에서 접합부 최대 내력에 도달하기 전에 파괴가 발생하였기 때문이라고 판단된다. 추후 구조용 PB의 못 접합부에 대한 연구를 통해 구조용 PB 벽체의 전단 내력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고자 한다.

      • 구조용 PB를 활용한 경골 벽체의 전단 저항 성능에 관한 연구

        김철기 ( Chul-ki Kim ),박태경 ( Taekyeong Park ),이민 ( Min Lee ),강은창 ( Eun-chang Kang ) 한국목재공학회 2022 한국목재공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022 No.1

        국립산림과학원은 우리나라 목조건축의 대다수를 차지하고 있는 경골 목조 주택에서 사용되고 있는 수입 구조용 판상재(OSB)의 국산화를 위한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국내 합판 보드 제조 산업 구조를 고려해 일반 PB 생산 공정을 개량하여 국산 구조용 판상재, 구조용 PB(두께 15 mm)을 개발 및 생산하였다. 선행 연구에서 시험 생산한 구조용 PB를 적용한 스터드 중심 간격 406, 610 mm인 경골 벽체를 건축구조기준에 따라 제작하여 전단 성능을 평가했었다. 스터드 간 중심 간격이 줄어듦에 따라 전단 강도의 향상을 기대하였으나 그렇지 못했었다(스터드 간 중심 간격 406, 610 mm 벽체의 전단 내력: 8.5, 8.6kN/m). 이는 못 전단 파괴가 발생하기 전, 구조용 PB의 끝면에서 파괴가 다수 발생하였기 때문이라고 사료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이를 개선하기 위하여 끝면 못 박기 간격을 10 mm에서 15 mm로 늘려 제작한 구조용 PB 벽체를 제작하였다. ASTM E2126에 따라 전단 성능을 평가한 결과, 전단 강도는 스터드간 중심 간격과 반비례하였으며, 스터드 간 중심 간격 300, 406, 610 mm 일 때, 각각 12.3, 10.7, 9.0 kN/m로 나타났다. 같은 스터드 간 중심 간격의 OSB 벽체에 비하여 구조용 PB의 전단 강도는 약 10% 높은 값을 나타냈다. 또한 끝면 못 박기 간격을 조정함으로써 구조용 PB의 끝면에서의 파괴가 감소하였다. 이와 같은 결과를 미뤄보아 구조용 PB의 전단 내력 성능은 못 전단에 의한 파괴와 스터드의 휨에 의해서 발현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국산 구조용 PB를 사용함으로써 탄소중립에 대한 목조 건축의 기여도를 높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며, 추후 연구를 통해 구조용 PB 벽체의 시공 방법 등을 연구하여 국산재를 활용한 구조용 판상재의 확대 보급에 노력할 예정이다.

      • 실대재 실험을 통한 국산 낙엽송 규격구조재의 압축 성능

        김철기 ( Chul-ki Kim ),심국보 ( Kugbo Shim ) 한국목재공학회 2021 한국목재공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021 No.1

        국립산림과학원에서는 국산 규격구조재의 실대재 실험을 통해 얻어진 설계값을 검토하여, 국산재의 신뢰성을 높이고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위한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그 일환으로 2019년부터 길이 3,600 mm 이상의 제재목 또는 집성재의 압축 성능을 좌굴 없이 평가할 수 있는 장비를 구축하여 활용하고 있다. 본 논문에는 단면적의 크기가 38×89 mm이고 길이가 3,600 mm인 낙엽송 육안등급구분 규격구조재에 대하여 압축 성능을 평가한 결과와 ASTM D 198에 제시된 바와 같이 회전반경(radius of gyration)이 길이의 17배 이하인 제재목(단면의 크기가 38×89 mm이고 길이 200 mm)에 대한 압축 성능과 비교한 결과가 제시되어 있다. 길이가 3,600 mm인 낙엽송 제재목의 1등급, 2등급, 3등급의 기준 허용 응력은 12.06, 11.56, 10.45 MPa인 반면, 길이가 200 mm인 낙엽송 제재목의 기준 허용응력은 15.22, 12.61, 11.08 MPa으로 나타나 목재의 크기가 클수록 강도 성능이 떨어지는 크기 효과(size effect)를 확인할 수 있었다. 길이가 3,600 mm인 낙엽송 제재목에 대해 실험으로 얻어진 기준 허용응력과 건축구조 기준에 제시된 낙엽송 제재목의 압축 기준 허용응력을 비교하였을 때, 실험값이 기준값에 비하여 1등급은 34%, 2등급은 93%, 3등급은 199% 높아 현재 건축구조기준 내에서 국산 규격구조재의 성능을 과소 평가함을 확인하였다. 이상의 결과와 함께 국산 주요 구조용 수종과 제재목 크기, 하중 종류에 따른 역학적 성능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여 건축구조기준 설계값 개정 및 목구조 설계법 개발에 활용할 예정이다.

      • SIP를 활용한 구조벽의 전단내력성능평가

        김철기 ( Chul-ki Kim ),박태경 ( Taekyeong Park ),심국보 ( Kugbo Shim ) 한국목재공학회 2022 한국목재공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022 No.2

        높은 에너지 성능이 기대되는 SIP(Structural Insulated Panel) 벽체에 대한 구조 성능에 대한 연구가 미흡하여 SIP는 국내 목조건축 시장에서는 널리 이용되고 있지 않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SIP 벽체의 길이, 접합부 종류에 따른 전단내력성능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SIP 벽체의 길이가 증가함에 따라 전단내력성능은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접합부 종류에 따른 전단내력성능은 차이가 없음을 확인하였다. 벽체의 길이가 1.2 m 일 때 전단강도는 약 8.5 kN/m이었으며, 길이 2.4 m인 벽체에 비하여 약 70%의 성능을 발휘하였다. SIP 벽체의 주된 파괴는 윗깔도리에서 발생하였다. 벽체의 길이가 2.4 m 일 때 전단강도는 경골 벽체 설계값을 상회하였으며, 열교 등을 고려할 때 벽체 간 접합부는 SIP 샛기둥을 사용하는 block spline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판단되었다. 추후 윗깔도리 보강 방법 등의 연구를 통해 SIP 벽체의 건축구조기준을 마련하여 기후 위기에 대응하고자 한다.

      • 가력 하중 종류가 CLT 벽체의 전단 성능에 미치는 영향

        김철기 ( Chul-ki Kim ),박태경 ( Tae-kyeong Park ) 한국목재공학회 2021 한국목재공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021 No.1

        국립산림과학원에서는 중·고층 목조건축물의 구조재로 각광받고 있는 구조용 직교 집성판(CLT)의 품질표준 및 성능 평가를 위한 표준 시험법 정립, 설계값 산출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중·고층 목조건축물의 설계 시 필수적으로 요구되는 CLT 벽체의 전단 성능에 대한 결과가 제시되어 있다. 20 kN/m의 수직 분포하중을 가하면서, 0.6(길이)×2.6(높이)×0.15(폭) m의 CLT 2개를 접합(single spline joint)한 벽체에 정적 수평하중과 준정적 수평하중(ISO 16670 프로토콜)을 가력하여 전단 성능을 평가하였다. 정적 수평 하중 하에서 CLT 벽체의 벽체의 회전 및 이동을 포함한 전단 강성 계수, 최대 전단 내력은 각각 2.2 kN/m, 28.5 kN/m이었다. 반면 준정적 수평 하중 하에서 벽체의 전단 강성 계수, 최대 전단 내력은 각각 1.4 kNm, 27.9 kN/m로 정적 수평 하중에 의한 결과에 비해 전단 강성 계수는 64%, 최대 전단 내력은 98% 정도로 나타났다. 준정적 수평 하중 하에서 single spline joint에 사용된 self-tapping 스크류에서 파스너의 전단 파괴 및 목재 파괴 비율이 높았기 때문에 정적 수평 하중에 비하여 벽체의 전단 성능이 저하된 것으로 판단된다. 한편 CLT 벽체의 연성은 2.7로 나타났다. 영세한 국내 목재 산업과 목조 건축 시장 규모를 고려하였을 때, CLT 생산 라인의 현대화를 통해 크기가 큰 CLT 벽체의 생산은 기대하기 어려운 상황이다. 따라서 본 연구와 마찬가지로 길이가 짧은 CLT 벽체를 접합하여 건축에 활용해야 하므로, 벽체 간 접합으로 인해 CLT 벽체의 전단 성능이 감소하지 않도록 파스너의 직경과 개수, 접합부 형태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