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동물생명공학 : 도축되는 한우 혈액에서 회수한 혈청의 생물학적 안전성 분석

        김민수 ( Min Soo Kim ),민경호 ( Kyung Ho Min ),최인호 ( In Ho Choi ),김지희 ( Ji Hoe Kim ),유지은 ( Ji Eun Yu ),남상섭 ( Sang Soep Nahm ) 한국동물자원과학회 ( 구 한국축산학회 ) 2012 한국축산학회지 Vol.54 No.1

        본 연구에서는 성체 한우의 도축과정 중에 채혈된 혈액으로부터 분리 정제한 혈청의 생물학적 안전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세균, 마이코플라즈마 및 바이러스의 검출과 동정을 실시하였다. 검사를 실시한 대부분의 혈청에서 전염성 병원체가 검출되지 않았고 두 개의 혈청에서 토양 유래의 것으로 추정되는 Bacillus thuringiensis가 검출 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국내에서 도축되는 한우는 생물학적 안전성을 담보할 수 있는 최소한의 기본적인 안전장치를 통해 도축된다는 사실을 보여주며 한우의 도축과정에서 부산물로 얻을 수 있는 혈액을 안전한 생물학적 제제로 개발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보여주는 것으로 생각된다. Bovine serum contains various nutrients and growth factors that can be potentially used in biological experiments, drug manufacturing process and food industry. However, almost all the bovine blood has been wasted during slaughter process in Korea, thus there is a high demand for alternative uses of the wasted sera. In order to produce high quality and safe sera, it is necessary to screen zoonotic pathogens as well as other microbial contaminants to prevent any downstream contamination. The present research has been undertaken to assess biological safety of Hanwoo sera by determining microbiological contamination during slaughtering and handling processes. Serological tests have been performed to detect bacteria, mycoplasma and virus contamination in total of 52 Hanwoo sera. No sera were found to be contaminated with mycoplasma or virus, but only two sera were found to be contaminated with Bacillus thuringiensis. The present result shows that Hanwoo sera obtained from slaughtering process are biologically safe and have potentials to be developed as a biological reagent. Moreover, the methods employed in our study may provide basic standard for microbiological screening methods once wasted Hanwoo sera gain industrial values.

      • KCI등재

        해수와 피조개에서 Vibrio mimicus K-1의 생존에 대한 보관온도의 영향

        고병호,이원동,안성기,김지희,이명숙,KOH Byeong-Ho,LEE Won-Dong,ANN Sung-Kee,KIM Ji-Hoe,LEE Myung-Suk 한국수산과학회 1997 한국수산과학회지 Vol.30 No.2

        The cell density changes of Vibrio mimicus K-1 in sea water and arkshell feeding it were examined at various temperature. The strain was suspended in sterilized sea water and storaged at experimental temperature $(5,\;10,\;15,\;20,\;and\;28^{\circ}C)$). At intervals of up to 10 days, aliquots of each suspension were plated onto BHI agar. At 5 and $10^{\circ}C$, the plate counts of V. mimicus K-1 showed a rapid decline, which 3s known to be a reault of this bacterium's entering into the viable but non culturable state. At 20 and $28^{\circ}C$, however, V. mimicus K-1 are stable over the 10 days experimental periods. V. mimicus K-1 was fed to arkshell, which was subsequently stored at temperatures ranging from 5 to $20^{\circ}C$ for 10 days. The samples of arkshell were homogenized and plated at intervals to determine the cell density of V. mimicus K-1 and total aerobic population of bacteria present. At 5 and $10^{\circ}C$, the numbers of V. mimicus K-1 in sea water rapid decreased over the 10 days experimental periods. However, little change of V. mimicus K-1 density was observed in shellstock arkshell at 5 and $10^{\circ}C$. While, V. mimicus K-1 density was decreased more rapidly to level below limit of dectection in shucked arkshell at same temperature. Incubation at the higher temperature $(20^{\circ}C)$ resulted in large increase in total aerobic bacterial number of shellstock arkshell. These results suggest that even with proper storage, indigenous levels of V. mimicus may remain sufficiently high in shellstock arkshell to produce infection in compromise hosts. 식중독 원인균으로 알려진 Vibrio mimicus K-1를 피조개에 feeding시켰을 때 보관온도에 따른 균수변화를 측정하여 살아있는 패류에 오염되었을 때의 저온저항성과 증식양상을 조사하였다. 보관온도에 따른 균수변화는 해수에 보관하였을 때와 피조개에 feeding하였을 때 같은 온도에서의 균수변화가 다르게 나타났다. 즉, 해수에 보관(초기균수 $3.2\times10^7\;CFU/ml$)하였을 때는 균수가 급격히 감소하여 $5^{\circ}C$에서는 보관 5일만에 $10^{\circ}C$에서는 보관 10일만에 검출이 되지 않았으나, 살아있는 피조개에 feeding시켜 보관하였을 때는 균수의 변화가 비교적 안정하여 보관 10일동안 약 $1\~1.5-log-unit$가 감소하였다. 하지만 대조군으로 $10^{\circ}C서 탈각하여 보관하였을 때는 호기성균의 완만한 증가와는 달리 V. mimicus K-1의 균수는 급격히 감소하여 보관 7일만에 검출이 되지 않아 살아있는 패류에 Vibrio가 감염되었을 경우에는 저온에서 보관하더라도 Vibrio의 균수 감소에는 별 영향을 주지않았다. $20^{\circ}C$에서는 초기균수 $3.2\times10^7CFU/ml$가 보관 10일 후에는 $1.6\times10^6CFU/ml$로 균수의 변화가 안정하던 해수에서와는 달리, 피조개에 feeding시켜 보관하였을 때는 총 호기성 균수의 경우 급격히 증가하였고 V. mimicus K-1의 균수도 급격히 감소하여 보관 7일째부터는 검출이 되지 않았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