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키덜트 여성 화장품 유형에 대한 연구

        김지후(Kim Ji Hoo),김영만(Kim Young Mann) 한국문화콘텐츠학회 2014 문화예술콘텐츠 Vol.- No.12·13

        본 연구의 목적은 키덜트 여성용 화장품의 유형과 특성을 파악해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우선 키덜트 여성용 화장품 사례를 탐구하여 그 유형을 알아보고, 나아가 유형별 특징을 탐색해 보았다. 키덜트는 성인이지만 어린 취향을 가지고 있다. 이런 키덜트들은 그들에게 심리적 만족을 주는 제품들이라면 구매하는 소비성향을 가지고 있다. 본고에서는 키덜트 여성용 화장품에 주목하여 이들을 유형화하고, 또 그 특징을 살펴보았는데 키덜트 여성화장품은 캐릭터형, 아트 콜라보레이션형, 스토리형 등 세 가지로 분류하였다. 캐릭터형은 다시 두 가지로 세분할 수가 있는데 우리가 익숙한 기존 캐릭터들을 이용하는 경우와 창작 캐릭터를 이용하는 경우가 있다. 아트 콜라보레이션형은 각각 작가와 패션 디자이너가 화장품 브랜드와 콜라보레이션하였다. 스토리형은 흥미와 재미를 유발시키고 용기에 놀이의 즐거움을 더하기도 했다. 그리고 유형화를 통해 본 키덜트 여성 화장품들의 특징은 다음과 같이 네 가지로 요약할 수 있다. ①이미 우리에게 익숙한 캐릭터를 사용한다. ②귀여움을 강조하고 소녀 감성을 자극한다. ③소유욕을 자극한다. ④화장품 패키지 디자인에 신경을 많이 쓴다. 이와 같은 유형화와 특징을 통해 키덜트 여성용 화장품은 그들에게 ‘익숙한 요소들을 반영’하고 ‘젊음과 동화에 대한 그들의 감성’을 만족시킬 수 있는 제품들을 출시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판단하였다.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ypes and characteristics of cosmetics for Kidult women. For this end, we have explored examples of cosmetics for Kidult women to find out its types, discovering characteristics by type furthermore. Kidult means adult who has childish preference. Theses kidults have consuming tendency to purchase any products giving psychological satisfaction. This study has categorized them and examined their characteristics, focusing on the cosmetics for Kidult women, and has classified cosmetics for Kidult women into 3 types; character type, art collaboration type, and story type. Character type can be sub-divided into 2 types again; the case in which utilize existing characters familiar to us, and the case in which creative characters. Art collaboration type in one of which artist and fashion designer make collaboration with cosmetic brand. Story type creates interest and fun, adding enjoyment of amusement to the container. Also, the characteristics of cosmetics for Kidult women by means of categorization can be summarized to followings. ① They re utilizing character which is familiar to us already. ② Darlingness is highlighted and stimulate sensitivity of girls. ③ Stimulate possessiveness. ④ They have significant concern about package and design of cosmetics. Cosmetics for Kidult women have considered that it is important to launch the products satisfying their emotion seeking youth and fairy tales, reflecting any elements familiar to them, by means of categorization and characterization like this.

      • KCI등재

        신발겉창 재료용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TPU)/에틸렌-프로필렌-디엔 고무와 TPU/부타디엔 고무 블렌드

        김지후 ( Ji Hoo Kim ),김규현 ( Gue Hyun Kim ) 한국고무학회 2013 엘라스토머 및 콤포지트 Vol.48 No.3

        본 연구의 주요 목적은 신발 겉창 재료로 사용하기 위하여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TPU)의 내마모성과 습윤시의 내슬립성을 에틸렌-프로필렌-디엔 고무 (EPDM) 또는 폴리부타디엔 고무 (BR)를 블렌드하여 향상시키는 것이다. 10 wt%의 EPDM 또는 BR이 TPU에 투입되었을 때 TPU/EPDM과 TPU/BR 블렌드는 TPU보다 우수한 NBS 내마모도, 인장 물성 그리고 습윤 내슬립성을 보였다. 10 wt% 이상 투입될 때는 내마모도와 인장 물성 모두 감소하였다. 10 wt% 투입시의 내마모도와 인장물성 상승은 TPU의 상분리도 증가에 기인하는 것으로 보인다. The main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improve abrasion resistance and wet slip resistance of thermoplastic polyurethane (TPU) by blending with ethylene-propylene-diene monomer rubber (EPDM) or polybutadiene rubber (BR) for the application of the footwear outsole materials. With addition of 10 wt% of EPDM or BR, TPU/EPDM and TPU/BR blends exhibited higher NBS abrasion resistance, tensile properties and wet slip resistance than TPU. However, with further increasing content of EPDM and BR, abrasion resistance and tensile properties of the blends decreased. Improvement in abrasion resistance and tensile properties with 10 wt% of addition of EPDM or BR may be due to better microphase separation of TPU.

      • KCI등재

        외식 소비자의 브랜드 경험, 지각된 가치, 고객만족, 브랜드 신뢰, 브랜드 충성도 간의 구조적 관계

        김지후(Kim, Ji-hoo),구동우(Koo, Dong-Woo),최형민(Choi, Hyung-Min) 한국외식경영학회 2020 외식경영연구 Vol.23 No.6

        본 연구의 목적은 외식브랜드에 대한 소비자의 경험을 기반으로 형성된 지각된 가치, 고객만족, 브랜드 신뢰가 브랜드 충성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지를 알아봄으로써 외식브랜드에서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는 브랜드 성과모델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진행을 위하여 전국의 패밀리 레스토랑, 패스트푸트, 커피전문점 브랜드를 선정하였고 9개의 연구 가설을 개발하고 연구모형을 도출하였다. 또한 이러한 브랜드를 이용한 고객을 통하여 571부의 온라인 데이터 표본을 최종적으로 수집하였고. 이에 대한 실증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브랜드 경험은 지각된 가치와 고객만족 그리고 브랜드 신뢰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지각된 가치는 고객만족, 브랜드 신뢰, 브랜드 충성도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고객만족은 브랜드 신뢰와 브랜드 충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브랜드 신뢰는 브랜드 충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current study aims to identify the influences of customers’ brand experience(BX) on their brand loyalty(BL) through perceived value(PV), satisfaction(CS), and brand trust(BT) in the context of restaurant brands. For achieving the research objective, a literature-based research model was developed with nine hypotheses that cover the relationships among five constructs. Top nine of the restaurant brands in the Korean restaurant industry, which captures each three family restaurants, fast food and coffee shop brands, were selected by a pilot investigation. Valid data with 571 customers who have experienced one of nine restaurant brands that the researchers presented were used to examine the research model. Through a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alysis, the researchers found that: (1) BX positively influence PV, CS, and BT; (2) PV positively affects CS, BT, and BL; (3) CS positively influences both BT and BL; (4) the positive effect of BT on BL is significant.

      • 전통장르를 통한 캐릭터 활용사례 연구

        김지후(Kim Ji Hoo),강철수(Kang Chul Soo) 한국문화콘텐츠학회 2015 문화예술콘텐츠 Vol.- No.14

        전통장르 판소리 <춘향가>의 캐릭터들을 변화해 새롭게 탄생한 영화 <방자전>, 드라마 <쾌걸 춘향>은 모두 상업적으로 성공했고, 광고 <신춘향전 1>은 좋은 광고상을 수상했다. 이 세작품은 전통장르의 캐릭터들을 성공적으로 활용한 사례라 평가할 수 있다. 영화 <방자전>, 드라마 <쾌걸 춘향>, 광고 <신향단전 1>의 캐릭터들을 전통장르의 캐릭터들과 유사하지만 새로운 성격을 가진 인물들로 변화하였음을 알 수 있다. 이렇게 달라진 캐릭터들은 전통장르의 인물들과 다른 인간관계를 형성하고, 새로운 사건과 갈등을 발생시켜 전통장르와는 다른 결론에 도달해 전통장르와 다른 이야기를 새롭게 완성한다. 또한 향유자들은 이미 전통장르에 대해 알고 있기 때문에 새로운 작품에서 기존과 차이를 발견하면서 즐거움을 찾고, 새로운 작품은 새로운 작품 그 자체로 새롭게 즐길 수 있게 되었다. 즉, 단일 작품으로 복수의 즐거움을 누릴 수 있어 그 즐거움의 폭이 깊고 넓어졌다고 평가할 수 있다. 이는 전통장르의 캐릭터의 변화가 있었기에 가능한 결과였기에 앞으로도 전통장르의 캐릭터 활용은 주목할 필요있다고 판단된다. Changed the birth of a new genre of traditional pansori character <Chunhyangga> movie <The Servant>, both drama <Sassy Girl Chun Hyang> has had commercial success, won a good ad Advertisement <New Chunhyangjeon 1>. The cases referred to assess the character of successfully using the three traditional genre works. Movie <The Servant>, the drama <Sassy Girl Chun Hyang>, advertisements similar to the character of the traditional genre of character <New Chunhyangjeon 1> but we can see that it has changed into a new person with a personality. This genre has changed their character and traditional character forms a relationship with other traditional genres, by generating a new event and a new conflict to complete the traditional genres and different stories to reach a different conclusion. In addition, those who enjoy the traditional genre because I know already about the differences found in the new work with existing and pleasure found. It was also able to enjoy the new work is in itself new. In other words, you can enjoy the pleasure of a plurality of single works have deepened their joy width. This result was possible because there was a change in the character of the traditional genre. Therefore, we believe the future is important to note the character of use of traditional genres.

      • 한국 영화산업의 불공정거래행위와 그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김지후(KIM Ji Hoo) 한국문화콘텐츠학회 2013 문화예술콘텐츠 Vol.- No.9·10·11

        본 연구는 한국 영화산업의 ‘배급·상영단계의 불공정거래행위’를 분석하고 그 개선방안을 모색하고자 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영화산업에 진출한 대기업들은 위험을 최소화하고 매출을 극대화하기 위해 영화산업 내에서 수직계열화를 추구하고, 방송과의 관계에서는 수평적 확대를 추구한다. 그 결과 산업 내에서 대기업들은 거래상 우월적 지위를 가지게 되었고, 이로 인해 불공정거래행위가 발생한다. 영화의 ‘배급·상영단계’에서 발생하는 불공정거래행위에는 부금의 조기정산 강요, 조기종영과 교차상영 등 차별적 배급과 상영, 상영을 조건으로 한 부율 변경 및 차별적 배급수수료 요구 행위, 합의없는 무료초대권 발급행위, 입장권 구입을 강요하는 행위, 상영을 조건으로 극장 내 경비나 설비제공을 강요하는 행위 등이 있다. 이러한 불공정거래행위를 개선하기 위해 산업 내 의견을 반영해 ‘표준계약서안’을 만들었지만, 표준계약서 자체만으로는 불공정거래행위에 대한 강제성을 가질 수 없다. 최소한 표준계약서가 약관화가 되어야만 공정거래위원회에서는 이를 근거로 불공정한 행위를 하는 업체에 대해 시정명령 및 과징금을 부과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표준계약서의 약관화와 더불어 배급과 상영을 겸업할 수 없도록 하는 공적인 제재도 이루어져야 한다. The study aims for the general analyses on the existing unfair trades mainly happening in the distribution and screening stage within the Korean film industry and to seek to gain progressive ideas for subsequent improvements. Major Companies entered in the Korean filmdom usually tend to adopt vertical systematization in order to maximize revenues while minimizing risks, and horizontal systematization for the advantageous relation with the medias. For the result of them, those corporations hold a prominent position in the cine business, so the fair dealings seldom appear recently. Most of unfair trades appear with the general features, such as coercions for early payment of dividend, discriminatory distributions and screening like early finish and irregular, unfair dividend rate alterations according to screening, demand of discriminating commissions in distribution, unapproved unilateral issue of complimentary tickets, coercions for ticket purchases, and compulsions for providence of facilities and extra charges in terms of screening. In order to eradicate those kind of unjust dealings, the Standard Contract are established according to the internal opinions of the industry, but the problem seems that the contract itself does not have any compulsory leverage for big businesses one-sided trades. Such being the case, the standard contract should be suggested into official terms and conditions in order that Fair Trade Commission(FTC) can properly impose penalties and order rectification to the companies for the unfair practices. Moreover, strong official sanctions for simultaneous all-in-one business of companies, running both distribution and screening, should be inevitable for the environmental development in the domestic film industry.

      • 재생에너지의 시공간적 분포 특성 고려한 송전망 계획 수립 방안

        김지후(Ji-Hoo Kim),허진(Jin Hur) 대한전기학회 2021 대한전기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Vol.2021 No.7

        변동성이 큰 전원의 발전 비중이 확대되면서 전력공급 구조가 변화하고 있는 중에 신뢰할 수 있는 전력 시스템을 구축하여 고객에게 안정적인 서비스를 제공해야한다. 이는 불확실성 특성의 이해 기반의 위험의 정량적모델링과 비용 효율적인 송전망 계획 수립의 필요성을 시사한다. 본 연구에서는 TEP (Transmission Expansion Planning)를 위한 프레임워크 연구에서 제안된 불확실성 유형을 바탕으로 각각 불확실성의 주요 속성을 정리하였다. 이는 불확실성의 큰 영향을 보여주며 불확실성의 주요 속성을 이해하여 기존 연구를 분석하고 향후 연구 방향을 제시한다. 송전망 계획과 관련된 공통의 프레임워크를 제공하여 전력 산업 및 학계 연구자 간 소통 개선도 기대할 수 있다. 또한 새로운 그리드 형식인 AC/DC 혼합을 고려한 송전망 계획 프레임워크를 통해 대규모 변동성전원이 계통에 연결될 때 안정적인 송전망 운영 및 계획을 위한 적절한 의사결정에 기여하도록 한다.

      • KCI등재

        조직명성이 호텔 종사원의 직무열의와 조직신뢰 및 직무성과와의 구조적 관계

        윤연선(Yoon, Yeon-Sun),김지후(Kim, Ji-Hoo),구동우(Koo, Dong-Woo) 한국외식경영학회 2020 외식경영연구 Vol.23 No.5

        본 연구의 목적은 호텔종사원들의 호텔 조직에 대한 명성을 기반으로 하여 호텔종사원들의 직무열의, 조직 신뢰, 그리고 종사원의 직무성과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조사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전국의 호텔에서 근무하고 있는 213명의 호텔종사원으로부터 몇 가지의 가설을 개발하고 데이터를 수집했다. 이에 대한 실증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호텔종사원의 조직명성은 직무열의와 조직신뢰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직무열의는 조직신뢰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난 반면 직무성과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셋째, 조직신뢰는 호텔 종사원들의 직무성과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조직에 대한 명성은 호텔의 내부고객인 호텔종사원로 하여금 자신의 속한 조직에 대한 열의를 높이게 하였고, 또한 조직에 대한 신뢰를 구축하게 되면서, 나아가 직무성과를 높인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hotel employees job engagement, organizational trust and job performance based on the theoretical concept of organizational reputation focused on hotel employees. This study developed several hypotheses and collected data from 213 hotel employees working in hotels nationwide. As a result, First, the organizational reputation of hotel employees showed that job engagement and organizational trust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effect. Second, the job engagement of hotel employees had a significant positive (+) effect on organizational trust. Third, organizational trust of hotel employees affect job performance but job engagement did not affect job performance. In conclusion, it was found that the good reputation of the hotel organization, which is the hotel s internal customer, influences their job engagement, organizational trust and reduces their job performance.

      • 아리랑 글로벌콘텐츠화를 위한 전략 연구

        백재용(Baek Jae Yong),김지후(Kim Ji Hoo),윤혜영(Yoon Hye Young),전종수(Jeon Jong Soo) 한국문화콘텐츠학회 2014 문화예술콘텐츠 Vol.- No.12·13

        2012년 아리랑이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 등재되면서 글로벌 브랜드로서의 가능성이 대두되고 있다. 이에 아리랑을 글로벌 콘텐츠화하기 위한 방안으로 게임과의 콜라보레이션을 제시하고자 한다. 아리랑의 글로벌 브랜드화 단계에서 다른 매체와의 콜라보레이션을 시도한다면 보다 긍정적인 효과가 있으리라 예상된다. 아리랑과의 콜라보레이션 대상으로 게임을 선택하는 데에 있어, 그 확장성과 장르의 유사성이 근거가 되었다. 현재 세계 여러 나라의 유저가 한 게임을 동시에 즐기고 있으며, 가장 많은 유저를 보유한 게임의 경우에는 약 1200만명 정도가 된다. 세계에 대대적 홍보를 필요로 하는 아리랑의 경우, 다양한 국가를 기반으로 한 수많은 유저를 보유한 온라인 게임은 좋은 콜라보레이션 파트너가 될 수 있다. 일본의 경우 브랜드와 게임의 콜라보레이션이 몇 년 전부터 성행하고 있다는 것이 그 예가 될 수 있다. 또한 온라인 게임 중 하나인 MMORPG에는 페스티벌이 게임의 중요한 요소로 자리 잡고 있다. 아리랑 축제를 게임 속에서 구현하고, 게임의 퀘스트를 통해 게임과 아리랑 콘텐츠에 몰입을 강화하고, 아이템 등을 통해 실제 게임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는 콘텐츠를 제공하는 것을 내용으로 한다. 게임을 통한 아리랑 페스티벌은 세계적으로 보다 쉽게, 다양한 계층에게 적은 비용으로 홍보할 수 있는 콜라보레이션 전략이다. 이를 통해 세계인들의 문화적 거리를 줄이고, 아리랑이 글로벌 콘텐츠로 발전할 수 있는 하나의 중요한 도약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As Arirang was declared as a UNESCO World Heritage in 2012, the potential as a global brand was on the table. The government has held a variety of Arirang festivals to advertise it to overseas countries. As the festival was aimed at advertising Arirang, it needs to meet more people. But it’s not easy to expect big payoff. At this stage the many methods are argued to globalize Arirang. I approached the method by collaboration with game. Collaboration is an act between more than 2 brands or companies to create new value by mutual cooperation. As many successful collaboration cases are increasing, a lot of brands try to use collaboration as a marketing method. If Arirang is tried to be collaborated with other media at the stage of global branding, it can produce positive effect. When choosing the game as a partner of collaboration with Arirang, the expansion and accessibility are considered to be important. A lot of users all over the world enjoy a game at the same time, and 12 million users play a game in the case of the game which has the most users. As Arirang needs high recognition, the game which has lots of users from all over the world will be a good partner. It’s a good example that the collaboration between brand and game has been popular for years in Japan. Also the festival has been an important element in MMORPG, one of the popular genres in online game. The method in detail is also introduced at the end. It’s about embodying Arirang festival in a game, reinforcing the immersion to the game and Arirang contents by quest given, and providing with contents such as an item to be used in the game. This collaboration between game and Arirang festival can be the effective marketing strategy to advertise it easily, widely and less costly. It can decrease cultural distance, and also make a good step to develop Arirang as global conten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