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대학생 학자금대출 수요 집단의 특성 분석

        김지하(Ji-ha Kim) · 이병식(Byung Shik Rhee) 한국교육재정경제학회 2009 敎育財政 經濟硏究 Vol.18 No.1

        지난 수년 동안 대학교육비용의 지속적인 상승과 더불어 학자금대출(student loans)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있다. 본 연구는 어떤 학생들이 학자금대출을 필요로 하는지를 실증적으로 밝혀보기 위해 한국교육고용 패널(KEEP)의 3차, 4차년도 자료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방법은 학자금 대출여부와 학자금 대출액수를 종속변수로 하여 임의효과 패널로짓 및 패널토빗 회귀모형을 활용하였다. 분석결과, 저소득계층 학생들의 학자금대출에 대한 수요가 다른 소득계층에 비해서 더 크게 나타났다. 또한, 장학금과 같은 학비보조금은 대학교육의 절대비용을 감소시킴으로써 학자금 대출 확률과 대출금액을 감소시키는 역할을 하였다. 전공계열과 관련해서는 이공계 학생들이 인문사회계열 학생들에 비해서 학자금대출에 대한 수요가 크게 나타났다. 대학특성과 관련된 요인들로서, 국․공립 대학의 학생들은 사립대학 학생들보다 학자금 대출확률 및 대출금액이 낮았고 비서울 소재 대학 학생들은 서울소재 대학 학생들에 비해 학자금 대출확률과 대출금액이 높았다. 이상의 분석결과를 기초로 대학과 정부 정책 및 후속 연구에 대한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As the costs for higher education have steadily increased over the last years, students loans received a renewed interest among college students, scholars and policy makers.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of college loan recipients by using a national sample from the Korea Education and Employment Panel data (KEEP). The nature of our dependent variables, which are either binary or truncated one, and the structure of data require us to employ such statistical tools as random effect logit and tobit regression models. This study found that students of relatively low-income families were more likely to receive a loan than their counterparts. Financial aids tended to reduce the likelihood of borrowing money. Engineering students were more likely to borrow money than students majoring in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Private college students were more likely to receive a loan. Students from the colleges located outside Seoul were more likely to become a loan recipient. The results suggest that students of economically disadvantaged families benefit from the students loans of various sources. This paper discussed some practical implications for higher education institutions and government as well as future research.

      • KCI등재
      • KCI등재

        대학입학유형에 따른 대학생의 교육성과 차이 분석

        김지하,이병식 이화여자대학교 사범대학 교육과학연구소 2010 교육과학연구 Vol.41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differences in college student outcomes by admission types: rolling and regular admission. This study surveyed the 2nd∼4th waves of Korean Education and Employment (need to specify what this is) and applies a random effects model and the Hausman & Taylor Panel model. This study found that the rolling admission entrants had higher GPAs and a lower probability of transferring to other universities than those from regular admission. Contrary to expectations, regularly admitted students tended to study more and demonstrate desirable attitudes in class. These apparently conflicting results are indicative of the need to reconsider the widely assumed relationship between learning behavior and academic achievement in universities, and for more expanded indicators that represent student college success. 이 연구는 수시모집 입학생과 정시모집 입학생간의 대학에서의 교육성과의 차이를 비교분석하였다. 분석자료는 한국교육고용패널 2-4차년도 자료를 사용했고, 임의효과 로짓모형과 Hausman-Taylor모형을 추정하였다. 분석결과, 수시모집 입학생은 정시모집 입학생들에 비해서 학업성취도가 높았으며, 다른 대학으로의 편입의도가 상대적으로 낮았다. 이러한 교육성과 측면의 결과와 달리, 대학생활 측면에서는 정시모집 입학생들의 강의태도가 더 좋았고 주당 자습시간도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대학생활과 교육성과에 관한 일반적인 가정을 재검토하고, 대학입학유형에 따른 차이를 보다 확장된 지표를 활용하여 연구해야 할 필요성이 있음을 시사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