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대화 장르 교육을 위한 ‘반응으로서의 말하기’

        김중수 ( Kim Jungsu ) 한국화법학회 2018 화법연구 Vol.0 No.42

        Conversation is characterized by a natural back-and-forth between speaker and listener. When a speaker initiates the conversation, the listener hears what the speaker says and feels either “positive emotions” or “negative emotions.” It is possible to express positive or negative emotions through sequence alternation and to influence the original speaker. First, as the response to your negative emotion; (1) talk about what you see and hear, using ‘I-message’ (2) talk about what you feel. (3) talk about what you want. Second, as the response to your positive emotion; (1) describe the other’s behavior or what they said as it is. (2) talk about the character of the behavior or what they said. (3) talk about the effects of the behavior or what they said on you. Applying the genre of conversation education was very effective in middle schools; however, I also intend to demonstrate the characteristics of teachers’ everyday responses even after the completion of a class or unit.

      • KCI등재

        부산 지역 중학교 한국어 학급 담당 국어 교사의교육 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

        김중수 ( Kim Jungsu ) 국어교육학회 2021 國語敎育學硏究 Vol.56 No.2

        중학교에서 다문화 학생의 학교 적응을 위해 한국어 학급을 개설하고 운영한지 4년차에 접어들었다. 1개에서 4개로 늘어난 만큼 한국어 학급은 앞으로 더 많이 필요할 것이다. 현재 한국어 학급을 맡고 있는 국어 교사들은 어떤 경험을 하고 있는지 조사하여 앞으로의 발전 방향과 개선점을 모색해 보았다. 국어 교사들은 한국어 학급을 운영할 때 어려움을 느끼고, 이해받지 못함을 느끼고, 국어 수업에서는 불만족을 느끼나 학생들과의 관계에서는 만족감을 느낀다. 그리고 다시 국어 교사로 돌아가야 하기 때문에 한국어 교육에 깊이 관여하기 싫어하고 국어 교육 관련 전문성이 약화될까봐 두려워 한다. 중학교의 한국어 학급은 앞으로 점차 늘어날 추세이다. 학교 차원, 업무 담당자 차원, 교사 지원 차원, 한국어 수업 차원에서 지역 및 학교 실정에 맞고, 청소년 수준에 맞도록 운영 방안이 개선되어야 한다. 국어 교사가 아닌 한국어 학급에 전문성을 가진 교사를 선정하여 업무를 맡겨야 하며, 그게 안 될 경우, 국어 교사가 학급 관리를 하더라도 한국어 수업만은 전문 강사가 하도록 업무를 분리할 것을 제안한다. There are four Korean language classes in a middle school in the Busan area. The teacher in charge of that class is a Korean language arts teacher. Teachers struggle with teaching Korean language course instead of Korean language arts. Teachers feel difficulties when managing Korean language class. They feel that they are not understood, and feel dissatisfied with Korean language lesson but feel satisfied with their relationships with students. And because they have to go back to being a Korean language teacher, they do not want to be deeply involved in Korean language course and are afraid that their expertise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will be weakened. Korean language classes in middle schools are gradually increasing in the future. At the school level, the task manager level, the teacher support level, and the Korean language class level, the operation plan should be improved to fit the local and school situation and to fit the level of the youth. Instead of a Korean language teacher, a teacher with expertise should be selected and assigned to the Korean language class, and if that is not the case, it is suggested that the task be separated so that only the Korean language class is conducted by a professional instructor, even if the Korean language teacher manages the class.

      • KCI등재

        학생 질문을 통해 본 어휘 양상 교육의 한 문제

        김중수 ( Kim Jungsu ) 국어교육학회 2018 國語敎育學硏究 Vol.53 No.3

        본고에서는 학생들의 질문을 분석하여 어휘의 양상을 교육할 때 유의할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학생들은 첫째, 정확한 개념을 알고 싶어 하고, 각 어휘 양상의 유형을 구분하는 명확한 기준을 알고 싶어 한다. 둘째, 각 어휘 양상의 특성과 효과를 더 많이 알고 싶어 한다. 셋째, 각 어휘 양상에 속하는 예를 더 많이 알고 싶어 한다. 넷째, 어휘들이 생성되고 소멸되는 원리를 궁금해한다. 다섯째, 각 어휘 양상들이 의사소통에 영향을 주는 점을 바탕으로 적절한 사용 방안을 찾고 싶어 한다. 그러므로 교사는 첫째, 학생들이 각 어휘 양상의 개념 정의를 정교화하고 특성과 효과를 덧붙여 나갈 수 있도록 실제 어휘 자료들을 탐구하는 수업을 준비해야 한다. 둘째, 학생들이 직접 분석하고 비교하고 분류해 볼 수 있도록 많은 예를 준비해야 한다. 셋째, 어휘들이 생겨나고 소멸하는 원리를 이해할 수 있도록 ‘우리 반의 유행어를 만들기’, ‘언어 순화 어휘 제안하기’ 등의 수업을 구안해야 한다. 넷째, 어휘의 양상 교육이 실제 언어생활의 개선에 도움을 줄 수 있도록 수업을 설계해야 한다. In this research, the implications of the education of classification of lexicon phase are found by analyzing the students’s question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extbooks and theoretical books do not elaborate on tne definition of classification of lexicon phase. Second, students need more than explanation and examples from textbooks. Third, students are curious about the reason why the lexicon phases take different forms. These are suggestions for the education of classification of lexicon phase. First, the teachers should prepare a myriad of vocabulary materials for students to analyze and to classify the lexicon phases. Second, the teachers should design the class to understand the principles of the generation and loss of the vocabulary. Third, the teacher should construct the class to improve the students’ practical language.

      • KCI등재

        잊혀진 계절의 문법성과 교육적 함의

        김중수 ( Jungsu Kim ) 국어교육학회 2015 國語敎育學硏究 Vol.50 No.2

        대중가요의 제목인 ‘잊혀진 계절’에서 ‘잊혀진’이, ‘잊고 싶지 않았지만 제3의 주체가 화자로 하여금 계절을 잊게 하였고(사동), 계절의 입장에서는 화자의 행위에 곧바로 잊음을 당한 것이 아니라, 제3의 주체에 의해 부림 받은 화자의 행위에 의해 잊음을 당하게(피동) 되었음을 드러내는 표현’임을 논증하였다. 이를 형태소 분석하면 ‘잊다’ 어간에 피동 표현의 겹침이 아니라 ‘잊다’ 어간이 ‘잊히다’라는 사동사가 된 후 피동 표현 ‘-어지다’가 결합된 것이다. ‘잊혀진 계절’이라는 표현에서 발견되는 교육적 함의는 세 가지로 요약된다. 첫째, 교사와 학생에게 있어서, 잘못된 표현에 대한 규범적인 지도와 함께 ‘왜 그런 잘못된 표현이 생겨나거나 선호되는지’를 문법 지식을 동원하여 따져 보는 과정에서 탐구 학습이 저절로 이루어진다. 둘째, 문법 교육의 내용 면에서 새로운 가설의 도입 없이 교과서 내의 설명만으로 ‘잊혀진 계절’을 설명할 수 있다. 또한, 문법 범주의 교육 내용을 ‘사동문의 피동’, ‘사동문의 사동’, ‘피동문의 사동’, ‘피동문의 피동’ 등으로 확장해 나갈 수 있다. 셋째, 필요에 따라 새말을 만들 수 있어 창조적인 국어 사용에 도움이 된다. 더불어 문학 감상을 할 때 그 작가만의 독창적인 문학적 표현을 문법적으로 분석하면, 작품을 깊이 있게 해석하고 의미를 풍성하게 하는 데에 도움을 준다. ‘It-hyeojin Gyejeol(the Forgotten Season)’ is the title of a popular song. ‘It-hyeojin’ means that: I did not want to forget. Passing time made me forget the season. Therefore it is more appropriate “The season was forgotten by passing time” rather “The season was forgotten by me.” ‘It-hyeojin’ is not double passive but passive voice of causative verb. And its meanig is not ‘be gorgotten’ but ‘make be gorgotten’ in English. ‘It-hyeojin Gyejeol’ has Educational Implications. First, teachers and student can explore together why the wrong expression is widely used. Second, it is possible to describe that ‘It-hyeojin Gyejeol’ is grammatically correct expression. And expand the contents of grammar education in Korean education. Thirdly, teachers can lead students to use Korean language creatively. The expression used in the literature can be analyzed more accurately by this proposal.

      • KCI등재

        대화 교육과 듣기의 재개념화

        김중수 ( Kim Jungsu ) 한국화법학회 2016 화법연구 Vol.0 No.34

        Listening is more important than speaking in a “conversation.” Even though people take turns in speaking, a conversation that nobody listens to is just an exchange of monologues. We cannot say it is a conversation. In a conversation, when a person says something, others should have a “listening” response before another person speaks again. The right “listening” response has three steps: (a) listening to the implied meaning of words, (b) listening to the emotions conveyed by the words, and (c) listening to the hidden meaning (speaker`s intention) in words. After completing the three steps, the role of the speaker and listener is reversed. The word “empathic listening” is unnecessary because the correct concept of “listening” involves the characteristics of empathic listening. Although empathy is not the ultimate purpose of “listening”, we should feel empathy first, and then only do we listen to the speaker`s intention. “Listening" is not listening to words but to people. The education of “conversation” genre should be taught correctly. Because teachers should model conversation correctly, the education of conversation involves teachers listening to their students` speech using the three steps. The education of conversation can succeed through classroom instruction and teacher`s modeling.

      • 중앙 집중형 망에서 웹 서비스 기반의 연결 관리 메커니즘

        임영은 ( Youngeun Yim ),권태현 ( Taehyun Kwon ),차영욱 ( Youngwook Cha ),김춘희 ( Choonhee Kim ),김중수 ( Jungsu Kim ) 한국정보처리학회 2006 한국정보처리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13 No.2

        XML 기반 구성 관리는 IETF의 Netconf 워킹 그룹에서 표준화가 진행 중이다. 본 논문에서는 제어 평면과 전달 평면이 분리되어 있는 중앙 집중형 망에서 제어기와 스위치 사이에 연결 관리를 위하여 Netconf에서 정의된 오퍼레이션을 이용하는 웹 서비스 기반의 연결 관리 방식을 도입하였으며, 연결 관리를 위한 정보 모델링과 절차를 정의하였다. 또한, 이를 기반으로 Axis 기반과 gSOAP 기반의 웹 서비스 연결 관리 플랫폼을 구축하여 실험실 환경에서 연결 설정 지연을 측정하여 성능을 비교 분석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