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치과의원의 감염관리 공간구성 연구

        김정신 ( Jungshin Kim ),임오연 ( Yim Ohyon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19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4 No.7

        (연구배경 및 목적) 최근 최첨단 의료기술이 실행되는 병원에서 질병의 치료과정에서 예상하지 못했던 2차 감염과 교차오염 그리고 신종 세균에 의한 병원감염 등이 발생하는 사례가 늘어난다. 특히 치과는 환자와 의료진의 접촉거리가 가깝고 기구를 통한 치료를 주로 하는 공간으로 병원감염에 노출되기 쉬운 경로에 노출되어 있다. 따라서 치과의 형태와 공간구성을 결정함에 있어 병원감염에 대한 중요성을 고려해야 한다. 본 연구를 통해 치과의원의 공간설계와 관련된 학문적 연구를 분석하고 국내의 평형별 사례의 공간 구성적 특징을 면적과 동선을 중심으로 분석하여 앞으로의 치과의원 공간디자인에 있어서 감염관리 공간 구성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것이 연구의 목적이다. (연구방법) 본 연구의 대상은 국내 치과의원의 실내 공간이며, 치과의원 실내공간평면계획에서 소독공간과 진료공간 및 수술실의 면적과 동선 관계를 조사 분석하여 치과의원의 감염관리 공간 구성의 결과를 도출하였다. 사례분석을 위한 분석요소로서 감염관리 공간구성 특성은 각종 문헌과 기존 연구를 통한 연구내용을 중심으로 진료공간을 지원하는 감염관리 공간의 동선과 공간유형의 특성을 분석하여 정리하였다. (결과) 대체적으로 평형의 규모에 상관없이 진료실에서는 손위생을 지원하는 수전설치가 계획에 반영되었다. 진료실의 유형 중 독립형을 사용하는 치과의원에는 모두 진료실공간에 수전이 설치되어 있고, 개방형을 사용하는 치과의원에서는 치과진료 체어수에 비례하여 적극적으로 수전을 설치하지 않는 곳도 있었다. 수술실을 갖추고 있는 치과의원 중 한 곳만을 제외하고는 모두 실내에 수전이 계획되었다. 예진실을 갖추고 있는 치과의원은 모든 공간에 수전이 계획되었다. 소독실의 오염동선과 청결동선을 분리할 수 있는 출입구가 분리되어 있어 있는 치과의원은 7개로 절반 정도의 의원이 감염관리 공간에 대한 계획을 적극적으로 반영하고 있었다. (결론) 의료공간디자인의 방향성은 환자 중심 디자인의 트렌드를 반영하고 있으며, 환자의 욕구를 만족시키기 위한 지속적인 의료서비스에 적합한 의료 환경을 구축하고 있다. 최근 국민의 의료환경에 대한 의식 수준은 단순히 진료에 지장이 없는 시설을 갖춘 환경이 아닌 진료 종사자 뿐만 아니라 환자의 신체적, 정서적 조건을 고려한 쾌적하고 안전한 공간을 요구하고 있다. 치과의원의 공간계획에서 우선적으로 다루어져야 할 감염관리의 지침을 공간의 규모와 인적자원의 효율적인 관리라는 물리적인 환경의 제약에서도 효과적으로 해결해 갈 수 있는 시도가 필요하다. (Background and Purpose) Recently, hospitals with medical technologies are increasingly experiencing secondary infections, cross-contamination and hospital infections caused by new bacteria, which were unexpected in the treatment of disease. In particular, dentists are close to the contact distance between the patient and the medical staff, and are mainly exposed to pathogens, which are exposed to hospital infections. Therefore, the importance of hospital infection should be considered in determining the shape and space composition of the dentist. This study analyzes the academic research related to the spatial design of dental clinics and analyzes the spatial compositional characteristics of the cases of equilibrium in Korea centering on the area and moving lines, and emphasizes the importance of infection control space composition in future dental clinics. Is the purpose of the study. (Method) The subject of this study was the indoor space of the domestic dental clinic. The results of the composition of infection control space of the dental clinic were derived by investigating and analyzing the disinfection space, the treatment space and the area of the operating room in the plan of the interior space of the dental clinic. As an analysis factor for case analysis, the characteristics of infection control space composition are summarized by analyz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movement lines and space types of the infection management space that supports the treatment space, focusing on the various literatures and research contents from previous studies. (Results) In general, the facilitation of hand hygiene in hospitals, regardless of the size of the equilibrium, was reflected in the plan. All types of dental offices that use stand-alone type faucets are installed in facsimile spaces. Some open clinics do not actively install faucets in proportion to the number of dental chairs. Faucets were planned indoors, except for one of the dental clinics with operating rooms. The dental clinic equipped with the preliminary room had a faucet planned in every space. Seven dental clinics had separate entrances to separate the contaminated and clean lines of the disinfection room. About half of the councils actively reflected plans for infection control space. (Conclusions) Recently, the level of consciousness of the public's medical environment demands a comfortable and safe space considering the physical and emotional conditions of the patients as well as the practitioners, not just the environment with facilities that do not interfere with the medical treatment. An attempt is needed to effectively address the guidelines for infection control, which should be addressed first in the dentist's space plan, even in the physical environment of the size of the space and efficient management of human resources.

      • KCI등재

        메디컬 스파 공간구성 특성에 관한 연구

        김정신 ( Jungshin Kim ),임오연 ( Ohyon Yim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16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1 No.5

        (연구배경 및 목적)의학과 과학의 발달과 생활환경의 개선으로 인간의 생명이 연장됨에 따라 노화방지, 스트레스 관리 등 예방의학의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건강한 생활은 신체와 정신이 함께 균형을 이루면서 건강을 추구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스파는 이러한 배경에 의해 대중들에게 신체와 정신을 웰빙 라이프 스타일을 추구 할 수 있는 장소로 인식되어 많이 이용되고 있고, 스파산업의 시장도 확대되고 있다. 따라서 스파는 인간의 신체와 정신을 수준 높은 웰빙을 목적으로 다양한 전문적인 서비스와 체계적인 관리가 제공되는 곳으로 요구되어 진다. 예방의학적 환경의 관심이 높아지면서 전문적인 예방의학 프로그램과 스파가 통합되어 이루어진 곳이 메디컬 스파이며 메디컬 케어와 웰니스(Wellness) 케어의 통합형태로 의료인에 의한 진단과 처방을 통하여 고객의 건강과 아름다움을 위한 서비스를 하는 곳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건강한 라이프스타일을 지원하는 최근 스파의 사례들을 분석하여 특화된 메디컬 스파 프로그램에 따라서 개발된 다양한 공간구성의 특성을 분석하는 것이다. (연구방법)본 연구에서는 메디컬 스파의 개념을 이해하고 메디컬 스파의 목적에 따라서 분류하여 각각의 스파 유형에서 특화하고 있는 프로그램을 분석하여 어떤 시설과 공간적 특성을 갖고 있는 가를 분석하는 연구이다. 연구의 방법은 다음과 같다. 제 1장에서는 연구의 목적 및 범위와 방법을 고찰해 보고자 한다. 제 2장에서는 메디컬 스파의 개념적 정의와 유형을 정리한다. 제 3장에서는 메디컬 스파에서 제공되는 프로그램에 따른 공간구성 특성을 분석한다. 제 4장에서는 최근 메디컬 스파의 사례들을 분석하여 다양한 메디컬 스파에서 제공하고 있는 프로그램과 메디컬 스파 공간구성 특성을 분석한다. 결론적으로 메디컬 스파의 프로그램에 따른 공간구성별 특성을 종합적으로 분석하여 앞으로의 메디컬 스파 공간계획의 근거 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결과)메디컬 스파 사례의 공간구성특성을 종합적으로 분석하면 다음과 같다. 공간구성에서 리셉션의 공간이 고객의 동선 시작에서 배치되고 있다. 리셉션 공간에서 메디컬 스파에 대한 안내와 전문가와의 상담이 이루어지고 고객의 예약 및 상담이 이루어진다. 따라서 리셉션 공간은 고객의 유입동선에 배치하게 되고 직원동선과의 연계성도 고려해야 한다. 리셉션 공간을 중심으로 다른 공간으로 동선이 연계되어 있다. 리셉션 공간에서 개인 메디컬 스파 프로그램과 퍼블릭 메디컬 스파 프로그램으로의 차이에 따라서 동선의 접근성이 다르다. 어떤 프로그램에 비중을 두고 운영되느냐에 따라서 고객의 동선이 달라지고 다른 제반 지원시설과의 동선흐름이 결정된다. 개인 메디컬 스파 프로그램에서는 다른 고객과의 동선이 겹쳐지지 않도록 계획적 배려를 하고 있다. (결론)앞으로의 메디컬 스파시설은 웰빙에 대한 다양한 요구를 반영할 수 있도록 전문화되고 다양화 될 것이다. 또한 미래의 융합적 메디컬 스파 프로그램이 적용 가능한 새로운 시설 공간들을 반영한 스파의 공간디자인 개발이 필요하다. (Background and Purpose)As the life expectation of human beings has increased with the development of medicine and science and the enhancement of the environment, the focus on preventive medicine, including anti-aging and stress-management, has intensified. A healthy life aims to pursue health along with maintaining a balanced body and mind. Spas, which are recognized as places where people can pursue well-being of both body and mind, are widely used. Thereby, the spa industry market has expanded. Thus, with the purpose of achieving high levels of well-being for both the body and mind, spas are now demanded in places that provide professional services and systemic management. As the interest in the environment of preventive medicine has increased, medical spas refer to places that integrate professional preventive medical programs and spas and provide service to customers to maintain both their health and beauty by integrating medical and wellness ca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recent cases that support a healthy lifestyle and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of various spatial compositions based on specialized medical spa programs. (Method) This study aims to understand the concept of medical spas and analyze the specialized programs of each spa type by classifying the purposes of the medical spas. In addition, this study studies the spatial characteristics and facilities of medical spas. Chapter 1 details the purpose, constraints, and method of this study. Chapter 2 summarizes the conceptual definition and types of medical spas. Chapter 3 analyzes the spatial composition characteristics based on the programs provided by the medical spas. Chapter 4 analyzes the programs provided at various medical spas and the spatial composition characteristics of the medical spas by studying recent cases of medical spas. Conclusively, by analyzing the characteristics of each spatial composition based on medical spa programs overall, this study can be utilized as fundamental data for medical spa space plans. (Results)The overall analysis on the spatial composition characteristics of medical spa cases is as follows. The reception space spatial composition is located at the beginning of the circulation of the customer. At the reception space, guidance about the medical spa, a consultation with an expert, and customer reservations are conducted. Therefore, the reception space should be located at the inflow moving line of customers and it should also consider connectivity with the employees. The customer moving line is connected to other spaces based on the reception space. At the reception space, accessibility differs based on the individual medical spa programs and public medical spa programs. The moving line of customers also differs based on the emphasis of the program, and the moving line flow of other supporting facilities is determined. At individual medical spa programs, overlapping with other customers is carefully prevented. (Conclusions) Future medical spa facilities should be specialized and diversified to reflect diverse customer needs. Further, integrated and complex medical spa programs and standards must be developed and suggestions for new facility plans based on these developments are required

      • KCI등재

        유아교사의 다문화교육 관련변인들 간의 관계 구조분석

        김정신 ( Jungshin Kim ),박인숙 ( Insook Park ) 아시아.유럽미래학회 2013 유라시아연구 Vol.10 No.2

        최근 다문화적 접근에 의한 교육의 중요성이 부각되면서, 다문화교육을 둘러싼 주요쟁점들이 이슈화되고 있다. 특히 다문화교육에 대한 교사의 역할을 강조하고 있는 서구사회에서는 다문화교육을 실천하기 위해서는 교사들의 교사교육, 교육과정개발, 교수방법, 문화교육 등을 통해 다문화적 역량을 기르는 것이 필요하다는 데 의견이 집약되고 있다. 특히 유아기는 다양한 문화에 대한 이해, 자세, 관점 등을 형성하는데 있어 민감한 영향력을 받는 시기이다. 타인을 탐색하는데 인종, 민족성, 사회적 계층에 대한 편견이나 고정관념이 형성될 수 있으며, 형성된 편견과 고정관념은 이 후 유아의 삶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유아기 다문화교육은 매우중요하다. 본 연구는 유아교사의 다문화소양, 다문화교육내용, 다문화 교수효능감 및 다문화교육 실천의지간의 구조적 관계를 밝히는 통합적 분석을 시도함으로서 유아교사의 다문화적 역량에 대한 보다 종합적인 이해를 돕고 동시에 다문화교사교육 관련 교육과정운영 및 연구에 시사점을 주고자 한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교사의 다문화교육 실천의지에 효과를 미치는 요인으로 다문화소양, 다문화교육내용, 다문화 교수효능감을 선정하여 이들 간의 인과적 관련성을 밝히는 것이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위하여 설정된 연구문제와 연구도구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교사가 인식하는 다문화소양은 다문화교육 실천의지에 유의미한 효과를 미치는가? 둘째, 유아교사가 인식하는 다문화소양은 다문화교육내용과 다문화 교수효능감에 유의미한 효과를 미치는가? 셋째, 유아교사가 인식하는 다문화교육내용, 다문화 교수효능감은 다문화교육 실천의지에 유의미한 효과를 미치는가? 연구수행을 위해 적용된 연구도구로서 다문화 소양을 측정하기 위한 도구는 다양한 문화적 환경 속에서 효과적으로 의사소통하고 문화적 맥락에서 적절하게 대응할 수 있도록 문화의 차이를 인식하고 존중하는 정서적 준비상태로 Mitchell(2009)의 연구도구가 채택되었다. 또한 다문화교육내용을 측정하기 위해서는 Bennett(2007)의 다문화적 역량에 대한 설문지가 채택되었으며, 이를 토대로 일반내용 지식과 교과교육지식의 2개 하위영역으로 구성된 설문지를 적용하였다. 다문화 교수효능감은 Guyton과 Wesche(2005)의 일반생활 교수효능감, 수업기능 교수효능감, 인간관계 교수효능감으로 구성된 설문지를, 다문화교육 실천의지는 윤현숙(2008). 이명희, 홍순옥(2009)의 다문화교육 실천에 관한 설문지를 적용하였다. 자료 수집을 위하여 서울, 경기지역 유아교육기관 교사를 대상으로 다문화소양, 다문화교육내용, 다문화 교수효능감, 다문화교육 실천의지 척도 250부를 배부하여 235부를 최종분석 자료로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9.0 프로그램과 AMOS 19.0프로그램을 사용하여 통계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유아교사의 다문화소양은 다문화교육 실천의지에 직 간접적으로 유의미한 효과를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다양한 문화를 존중하고 그 문화와 교류하는 것을 적극적으로 즐기려는 교사가 교육현장에서 문화적으로 다양한 맥락에서 효과적으로 의사소통할 수 있으며 갈등상황이 발생해도 적절하게 대응할 수 있는 실천의지를 갖추었음을 의미한다. 둘째, 유아교사의 다문화소양이 다문화교육내용과 다문화 교수효능감에 직접적으로 유의미한 효과를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다양한 문화적 환경 속에서 문화적 차이를 민감하게 인식하고 적절하게 행동할 수 있는 정서가 준비되면 교사가 다양한 배경을 지닌 유아들을 가르칠 수 있다는 자신감도 증진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셋째, 유아교사의 다문화교육내용, 다문화 교수효능감은 다문화교육 실천의지에 직접적으로 유의미한 효과를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교사가 다양한 문화적 배경을 가진 유아들을 효과적으로 가르칠 수 있고 그에 적합한 교육내용, 교수방법 및 학습자료 등을 잘 활용할 수 있다는 자신감이 클수록 다문화적 상황을 긍정적으로 인정하고 적절하게 상호작용하는 실천의지를 가지게 되며 유아들에게도 적합한 다문화교육이 이루어 질 수 있음을 의미한다. 문화의 다양성이 강조되면서 다문화교육의 실용성이 부각되고 있어 다문화 교육은 유아기부터 체계적으로 실시될 때 그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으며, 바람직한 다문화교육을 위해서는 교육의 주체인 교사의 다문화에 대한 의지 및 자질을 확인하는 일이 요구되어진다. 이를 위해 본 연구가 도출해낸 결론은 다름과 같다. 첫째, 다문화 교육에 대한 실천의지를 제고하기 위해서는 교사들이 다문화교육에 대한 소양을 고양시키기 위한 노력이 가장 절실하다는 결론이 본 연구에서도 밝혀졌듯이 교사들은 이를 위해 다문화상황을 인지하도록 노력하고 타인의 생각이나 견해에 대해 의식적으로 개방하며 타문화의 관점을 정확하게 인식하는 것이 중요하다. 즉 교사는 학습자의 배경에 민감해야하고 이러한 다양성이 교육과정이나 교실수업에서 문제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인식하며 자신의 학급을 보다 통합적으로 만들고 다양한 배경의 학생들에게 다문화소양과 교수의 실천의지를 육성하는 책무를 수행해야 할 것이다. 둘째, 유아교사는 자신이 담당하게 될 다양한 배경을 지닌 유아들에 대해 끊임없이 공부하고 올바른 개념을 쌓음으로서 이해하려고 시도하며 그들의 학습과 생활에 대한 요구에 적절하게 대응할 수 있어야 할 것이다. 셋째, 교사의 긍정적 태도는 다문화교육의 성패를 좌우하는 중요한 요소이다. 다문화 사회에서의 교사는 유아를 문화적 존재로 인정하고 그들이 가진 서로 다른 문화를 민감하게 인식함으로써 유아들이 이를 학습할 수 있도록 효과적으로 교수활동을 계획하고 실천해야 하며, 또래집단 속에서 서로 다른 문화적 가치를 이해할 수 있는 하나의 ‘배경’을 창출해야 할 것이다. 종합해보면 본 연구에서 제안한 변인들 즉 다문화소양, 다문화교육내용, 다문화 교수효능감은 다문화교육 실천의지에 의미 있는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다문화시대에 요구되는 유아교사의 다문화교육 실천의지에 대한 이론적·실제적인 이해와 예비교사와 현직교사를 위한 교사교육과정에 구체적인 기초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In recent years, major issues surrounding multicultural education, which highlight the importance of education about the mulcultural approach to, have been issuing. Especially, in Western society that emphasizes the role of multicultural education for teacher training is required to practice multicultural education of teachers for teacher training. This study attempts to incorporate integrative analysis, which clarifies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early childhood teachers`` multicultural literacy, multicultural education contents, multicultural teaching efficacy and multicultural education practices will. Thu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different Variables related to multicultural education 235 early childhood teacher``s residing in Seoul, GyeongGi-do in Korea completed questionnaires about multicultural literacy, multicultural educational contents, multicultural teaching efficacy, multicultural education practices will perceived by early childhood teacher. Thus, the following are research questions that were established for the research objective. First, is the effect of multicultural education practices will significant early childhood teacher``s multicultural literacy. Second, is the effect of multicultural educational contents and multicultural teaching efficacy significant early childhood teacher``s multicultural literacy. Third, is the effect of multicultural education practices will significant early childhood teacher``s multicultural educational contents and multicultural teaching efficacy. A variance matrix of this sample was analyzed using AMOS 19.0, and the maximum likelihood minimization function. The goodness of fit was evaluated via RMR, RMSEA with a 90% confidence interval, CFI, and TLI.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eacher``s multicultural literacy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direct and indirect effect on teacher``s multicultural education practices will. Second, Teacher``s multicultural literacy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direct multicultural educational contents and multicultural teaching efficacy. Third, multicultural educational contents and multicultural teaching efficacy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direct effect on teacher``s multicultural education practices will. For date collection 250 copies for intercultural educational related variables scale were widely distributed targeting teachers at kindergartens and child care centers located in Seoul and GyeongGi-do 235 copies of the questionnaire were used in the analysis of this study. In conclusion, the variables, which were suggested in this study, namely, multicultural literacy, multicultural educational contents and multicultural teaching efficacy could be confirmed to have significant influence on early childhood teacher``s attitude toward multicultural practices will. These results will be able to offer basic data to the specific and substantial understanding of early childhood teacher``s multicultural practices will toward multicultural education and to the teacher curriculum for pre-and in-service teachers. In our society, cultural diversity and practicality become commonplace, multicultural education is able to maximize its effectiveness when conducted systematically from infancy. And Multicultural education desirable in order to confirm a commitment to multiculturalism, and the qualities of the subject of education, teachers are required. To this end, this paper did draw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drawn. First, in order to enhance the commitment to multicultural education for teachers`` efforts to promote literacy for multicultural education is the most urgent conclusions in this study turns as teachers for multicultural situation trying to think of others and other open consciously or opinion, it is important to recognize accurately the perspective of the culture. In other words, teachers should be sensitive to the learner``s background, and the recognition that this diversity can be questioned in the curriculum or classroom instruction and their classroom to create a more integrated and professor of multicultural literacy to students of diverse backgrounds to foster a commitment to accountability will need to perform. Second, the early childhood teacher himself will be responsible for infants with a variety of backgrounds, constantly tries to study and correct understanding of the concept as laying on their learning and life needs to be able to respond appropriately. Third, the teacher``s positive attitude is an important factor influencing the success or failure of the multicultural education. Teacher in a multicultural society is keenly aware of the different cultures, and they have recognized the cultural presence of the infant so that they can learn it effectively planning and teaching activities should practice and understand the different cultural values in you will need to create that can be one of the ``background`` In summary, this study was able to verify the proposed variables, the content of multicultural education, multicultural literacy, and multicultural teaching efficacy, affecting in the Multicultural Education Practices Will. These specific results will be able to provide the basic data, in order that the theoretical and practical understanding and commitment to multicultural education in early childhood teacher is required for the multicultural society of the teacher education courses.

      • KCI등재

        국내 대학병원 HI의 색채 특성 분석

        임오연(OhYon Yim),김정신(JungShin Kim) 한국색채학회 2015 한국색채학회 논문집 Vol.29 No.4

        본 연구는 국내 대학병원의 HI를 대상으로 색채사용에 대한 특성을 분석하여 의료서비스 시대에 부합하는 HI의 색채계획시 기초적인 자료로 제공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국내 대학병원 40개의 홈페이지에 수록된 HI의 시그니처를 대상으로 색채사용과 색채조화 특성을 분석하였으며, 이에 따른 연구 결론은 다음과 같다. 1. HI 시그니처의 사용색채수는 심벌마크의 경우 2가지가 40%로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으며, 1가지(25%)나 3(20%)가지 색채도 많이 사용하고 있다. 그리고 로고의 경우에는 거의 대부분의 대학병원에서 1가지를 사용하고 있다. 2. HI 시그니처의 사용색채 특성을 색채 삼속성별로 살펴보면, 심벌마크의 경우 유채색 80색과 무채색 12개로 총 92개의 색채가 조사되었으며, B계열이 24개로 52.2%, PB계열이 13개로 30.4%를 차지하고 있었으며, 중명도가 49개로 53.3%로, 고채도가 57개로 71.3%를 차지하고 있었다. 로고의 경우에는 유채색 25개와 무채색 17개로 총 40개의 색채가 조사되었으며, 무채색 N계열이 15개 37.5%, B계열이 32.5%를 차지하고 있으며, 저명도가 24개로 60.0%, 고채도가 13개로 52.0%로 나타나고 있었다. 3. 심벌마크와 로고에 공통적으로 많은 계열을 나타낸 것은 B계열로써 병원에 대한 기본적인 상징 이미지 색채는 Blue계열에 부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4. 심벌마크의 색채조화의 경우 색상차와 명도차는 대비조화에 가까운 조화를 나타냈으며, 채도차의 경우에는 동일에 가까운 조화를 나타내고 잇었다. 즉 HI의 색채계획은 색상과 명도차는 차이가 많이 나도록 하며, 채도차는 차이가 많이 나지 않는 배색으로 구성되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The object of this study is analyzing of color characteristics of HI of domestic University Hospitals, and introducing it as a basic reference for HI color planning in the age of Health Care. Target HIs were selected from homepage of 40 domestic University Hospitals, then color usage and color harmony characteristics were analyzed. The study results are as follows : 1. The number of colors used in HI signature is 2 in 40%, 1 in 25% and 3 in 20% for symbolic mark. And only one color is used for logo design of almost for university hospital. 2. In the point of three colors attributes, 80 chromatic colors and 12 neutral colors, total 92 colors, are used for Symbolic mark design : 24 colors(52.2%) in B-series and 14 colors(30.4%) in PB-series : 49 colors(53.3%) in Mid-Value and 57 colors(71.3%) in High-Chroma. For Logo, 25 chromatic colors and 17 neutral colors, total 40 colors, are used : 15 colors(37.5%) in N-series of neutral colors and 13 colors(32.5%) in B-series : 24 colors(60.0%) and 13 colors(52.0%) in High-Chroma. 3. B-series color is commonly used for symbolic mark and logo design, and it is concluded that B-series is consistent with basic color of symbolic image. 4. In case of color harmony of symbolic marks, delta Hue and delta Value are close to Contrast, delta Chroma is close to Identity. That is the color planning of HI composed of big difference in Hue and Value, and small difference in Chroma.

      • KCI등재

        서천군 경관색채 가이드라인 설정에 관한 연구

        임오연 ( Yim Ohyon ),김정신 ( Kim Jungshin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20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5 No.8

        (연구배경 및 목적) 서천군의 경관계획의 미래상에 준하여 지역차별성을 통한 정체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도시환경색채를 체계화하고 차별성 있는 색채가이드라인을 수립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서천군의 경관계획은 충청남도 서천군 전역(면적358.04㎢)의 2개읍, 11개면을 대상으로 수립되었다. 그 중에서도 색채는 특정경관계획으로써 경관계획의 기본적인 가이드라인을 기초로 하여 수변관리권역, 생태보전권역, 청청자연권역, 생활중심권역의 4개경관권역으로 설정하고, 각 경관권역별 특징에 맞는 색채가이드라인을 제시하였다. 그리고 실무에서 직접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단독주택, 공동주택, 상업건축, 공업건축, 공공건축의 용도별 색채와 가로시설물, 기반시설물, 옥외광고물 등 공공시설물을 대상으로 가이드라인을 제시한다. (결과) 서천군의 자연환경색채는 YR, B, BG, GY의 다양한 색상의 고-중-저명도, 저-중-고채도의 색채범위를 갖고 있으며, 인공환경색채는 YR, RB, B, BG의 색상계열에 고-중-저명도, 중-저채도의 색채범위를 갖고 있다. 공공시설물의 색채는 YR, R, BG, B의 색상계열에 고-중-저명도, 저-중-고채도의 색채범위를 가지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이 경관색채 현황 조사분석을 하여 서천군 대표색 12색을 선정하였다. 서천군 경관권역별 수변관리권역은 서해안과 금강을 접하고 있어 맑은 이미지로 명도가 높은 light톤의 색채범위를, 생태보존권역은 녹색문화이미지를 보유하고 청정자연권역은 산지와 농경문화를 포함하여 내츄럴한 이미지로 중-저명도와 Soft톤의 색채범위를, 생활중심권역은 시가화 예상지역으로 명도가 높은 Bright톤으로 가이드라인을 제시하였다. 건축물 용도별 색채가이드라인은 각각의 용도에 부합하는 기본목표와 기본방향을 설정하고, 그에 따른 주조색, 보조색, 강조색의 색채범위를 제시하였다. 공공시설물의 경우에는 각각의 역할에 따라 가로시설물의 경우에는 기조색, 강조색, 기반시설물의 경우에는 주조색, 보조색, 강조색, 옥외광고물의 경우에는 바탕색, 글자색으로 분류하여 색채범위를 제시하였다. (결론)서천군 경관색채가이드라인은 수변관리권역, 생태보존권역, 청정지역권역, 생활중심권역 4개의 경관권역별, 단독주택, 공동주택, 상업건축물, 공업건축물, 공공건축물의 5가지 건축물용도별, 가로시설물, 기반시설물, 옥외광고물 3개의 공공시설물별로 구체적인 가이드라인을 제시하였다. 본 논문에서 제시된 색채가이드라인은 서천군의 경관색채계획시 일관된 기준으로 적용되어 도시전체의 이미지를 통합하고, 지역별, 요소별 기능에 적합한 구체적인 가이드라인 제시로 도시 이미지를 향상시키는 자료로 활용될 것이다. (Background and Purpose) This study aimed to organize colors so as to represent an urban environment and establish distinctive color guidelines to secure regional differentiation in accordance with the future landscape plan of Seocheon-gun. (Method) The landscape plan of Seocheon-gun was established for two eups and 11 myeons in Seocheon-gun, Chungcheongnam-do (358.04㎢). Among them, colors were used to represent a specific landscape plan, based on the basic landscape plan guidelines. The waterfront management area, the ecological conservation area, the Cheongcheong natural area, and the life-centered area were set as the four landscape areas, and colors matching the characteristics of each landscape area were determined. In addition, color guidelines were presented for detached dwellings, apartment houses, commercial buildings, industrial buildings, and public buildings, street facilities, infrastructure, and outdoor advertisements for use in practice. (Results) The Natural Environment Color of Seocheon-gun used a range of colors that were high-medium-low in brightness and low-medium-high in saturation of various YR, B, BG, and GY colors , whereas Artificial Environmental Colors used high-medium-low brightness and medium-low saturation from the YR, RB, B, BG color series. Public facilities used a color range high-medium-low in brightness and low-medium-high in saturation from the YR, R, BG, and B color series. Twelve representative colors of Seocheon-gun were then selected through the survey and analysis of the current landscape color status. The waterfront management area for each landscape area in Seocheon-gun faces the west coast and the Geum-gang river, so light tones high in brightness with a clear image were used. In the case of public facilities, according to their respective roles, the color range categorized them into key tone colors, accent colors for street facilities, main colors, auxiliary colors, and accent colors for infrastructure facilities, and background colors and text colors for outdoor advertisements. (Conclusion) The landscape color guidelines for the Seocheon-gun landscape presented accurately the four landscape areas (i.e., the waterfront area, ecological conservation area, clean area area, life-centered area); five types of buildings (i.e., detached houses, apartment houses, commercial buildings, industrial buildings, public buildings); and three types of street facilities (i.e., street facilities, infrastructure facilities, outdoor advertisements). The color guidelines presented in this study will be applied as a standard when planning the landscape colors of Seocheon-gun, so as to integrate the image of the whole city, and they will be used as data to enhance the city image by introducing specific guidelines representing functions by region and elem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