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피지컬 컴퓨팅의 객체지향 오브제 모듈에 의한 피지컬 인터랙션 스페이스

        김일석 ( Kim¸ Ilsuk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21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6 No.7

        (연구배경 및 목적) 네트워크의 인터랙션은 마이크로프로세스의 프로그래밍의 실행에 의해 장치와 장치 간 인터랙션으로 실행된다. 피지컬 컴퓨팅과 연결된 통신 및 전자장치는 사용자와 응답하면서 데이터 간의 쌍방향 흐름을 만든다. 피지컬 미디어는 컴퓨팅과 디지털시스템, 전자프로그래밍, 센서 기술이 적용되어 시각, 청각, 촉각 및 후각 등의 감각경험을 디지털 방식으로 만든다. 현대의 디지털 네트워크 공간은 물리공간에 전자적 방식을 적용하여 디지털 장치에 의해 인터랙션 되는 장소를 만들고 있다. 피지컬 미디어 스페이스는 체현의 감각과 행위를 구성하고 조합하여 체현의 감각(embodied sense)을 가능하게 한다. 본 연구는 피지컬 컴퓨팅의 개념과 특징을 연구하고, 피지컬 컴퓨팅이 적용된 피지컬 인터랙션 스페이스의 구조에 대하여 연구하여 분석모델을 완성하였다. (연구방법) 본 연구는 피지컬 컴퓨팅을 기반으로 미디어가 적용된 공간을 중심으로 연구한다. 적용된 연구 사례는 피지컬 장치로 구성된 미디어로 한다. 그리하여 피지컬 컴퓨팅의 개념과 구조를 해석하고, 피지컬 컴퓨팅이 적용된 스페이스가 경험자의 체험과 어떠한 특징이 있으며 그 구조가 무엇인지 확인하는 것을 연구범위로 한다. 첫째, 2장에서는 피지컬 컴퓨팅의 구조와 구성요소를 확인하고, 피지컬 컴퓨팅에 의한 장치 인터랙션의 특징을 통하여 인터랙션의 경험관계를 연구한다. 둘째, 3장에서는 피지컬 인터랙션 스페이스의 구조를 연구하기 위해 스페이스 인터랙션의 개념과 객체모듈 장치에 의한 인터랙션의 구조를 연구한다. 셋째, 4장에서는 피지컬 인터랙션 스페이스의 사례를 분석모델을 통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피지컬 컴퓨팅은 디지털 센서로 프로그래밍 되어 전자모듈의 장치로 적용된 매체이다. 피지컬 컴퓨팅은 입력과 출력의 통신이 네트워크 인터랙션을 한다. 네트워크의 인터랙션은 마이크로프로세스의 프로그래밍의 실행에 의해 장치와 장치 간 인터랙션으로 실행된다. 피지컬 컴퓨팅과 연결된 통신 및 전자장치는 사용자와 응답하면서 데이터 간의 쌍방향 흐름을 만든다. 피지컬 미디어는 컴퓨팅과 디지털시스템, 전자프로그래밍, 센서 기술이 적용되어 시각, 청각, 촉각 및 후각 등의 감각경험을 디지털 방식으로 만든다. 사람은 디지털 장치의 작동에 반응하며 감각 및 행위의 상호작용 경험을 한다. 모듈화 된 디지털 장치들은 인터랙션 되는 데이터가 집약되어 전송되고 제어되는 객체지향 모듈이다. 객체의 장치모듈들은 통합적인 전자매체로 스페이스 인터랙션을 가능하게 한다. (결론) 피지컬 인터랙션 스페이스는 피지컬 미디어의 작동으로 인터랙션이 이루어지는 공간으로 센서와 발동 장치의 작동과 프로그래밍 된 통신모듈의 입출력에 의해 데이터가 제어되고 처리되어 사람의 감각행위와의 인터랙션을 만드는 공간구조를 갖고 있다. (Background and Purpose) Interactions in the network are implemented as interactions between devices by the execution of programming of microprocessors. Communications and electronics connected to physical computing create a two-way flow of data between users and responsiveness. Physical media uses computing, digital systems, electronic programming, and sensor technology to digitally create sensory experiences such as sight, hearing, touch, and smell. The modern digital network space applies an electronic method to the physical space to create a place for interaction by digital devices. The physical media space enables embodied sense by composing and combining the senses and actions of embodied. In this study, the concept and characteristics of physical computing were studied, and the structure of the physical interaction space applied with physical computing was studied to complete the analysis model. (Method) This study focuses on the space where media is applied based on physical computing. Applied research cases are media composed of physical devices. Therefore, the scope of research is to interpret the concept and structure of physical computing, and to check the experience and characteristics of the space to which physical computing is applied, and what its structure is. First, in Chapter 2, the structure and components of physical computing are checked, and the experience relationship of interaction is studied through the characteristics of device interaction by physical computing. Second, in Chapter 3, the concept of space interaction and the structure of interaction by object module devices are studied to study the structure of the physical interaction space. Third, in Chapter 4, the case of physical interaction space was analyzed through the analysis model. (Results) Physical computing is a medium that is programmed with a digital sensor and applied as an electronic module device. In physical computing, input and output communication is network interaction. Interactions in the network are implemented as interactions between devices by the execution of programming of microprocessors. Communications and electronics connected to physical computing create a two-way flow of data between users and responsiveness. Physical media uses computing, digital systems, electronic programming, and sensor technology to digitally create sensory experiences such as sight, hearing, touch, and smell. Humans respond to the operation of digital devices and experience interactive sensory and behavioral experiences. Modularized digital devices are object-oriented modules in which interactive data is transmitted and controlled. The device modules of the object enable spatial interaction as an integrated electronic medium. (Conclusions) The physical interaction space is a space where interaction occurs through the operation of physical media. It has a spatial structure where data is controlled and processed by the operation of sensors and activation devices and input/output of programmed communication modules to create interaction with human sensory actions.

      • KCI등재

        디지털 미디어가 매개하는 상호작용 공간의 오브제 경향에 관한 연구

        김일석 ( Ilsuk Kim ),황용섭 ( Yongseup Hwang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17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2 No.4

        (연구배경 및 목적) 오브제는 인지 가능한 객체 및 대상으로 감각적 행위적 체험을 일으키며, 오브제가 놓인 장소를 다감각적으로 상호작용시킨다. 현대공간디자인에서 미디어는 디지털 테크놀러지에 의해 표현된 것으로 디지털로 확장된 오브제성을 갖는다. 이러한 측면에서 상호작용 공간은 디지털 방식으로 확장된 오브제성을 갖는다고 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상호작용 미디어가 설치된 상호작용 공간이 오브제의 확장으로서 디지털 방식의 오브제가 놓인 공간이라는 것을 확인한다. 그리고 상호작용 공간이 디지털 객체의 공간화 경향, 디지털 반응의 체험화 경향, 디지털 센서의 장치화 경향이 있음을 연구한다. (연구방법) 본 연구는 상호작용 공간이 갖고 있는 오브제 특징과 경향에 관화 연구이다. 이를 위해 오브제의 개념을 고찰하고, 상호작용 공간이 갖는 오브제의 특징을 확인함으로써 상호작용 공간의 오브제 경향에 대한 연구이다. 이를 위한 연구방법은 문헌고찰을 통하여 오브제 개념과 오브제의 확장개념에 대하여 연구한다. 그리고 상호작용 공간의 오브제성 반응적 신체 체험, 센서의 기술 대응, 장치적 객체 공간으로 구분하여 논증하고, 사례를 분석하고자 한다. 사례는 공간적으로 설치되는 상호작용 미디어를 중심으로 하여 세 가지 속성인 감각, 물질, 객체 속성으로 구분하고 반응적 신체 체험, 센서의 기술 대응, 장치적 객체 공간의 세 가지 경향을 중심으로 분석하고자 한다. (결과) 상호작용 공간은 미디어가 갖는 오브제적 속성에 의해 감각적, 물질적, 객체적 오브제 속성을 갖는다. 상호작용 공간의 감각적 속성은 신체적 체험성을 갖게 하여 반응적 신체 체험의 특징을 갖게 한다. 물질적 속성은 디지털 방식의 기술적 구조에 의해 센서의 기술 대응 특징을 갖게 한다. 그리고 객체적 속성은 미디어가 공간적으로 매개되어 장치적 객체 공간의 특징을 갖게 한다. 상호작용 공간은 디지털 방식에 의해 상호작용을 만들며 반응적 신체 체험, 센서의 기술 대응, 장치적 객체 공간 특징을 갖는데, 이러한 세 가지 특징에 의해 상호작용 공간은 디지털화된 오브제 경향을 갖는다. 그리하여 상호작용 공간은 세가지 특징에 의해 디지털 객체의 공간화 경향, 디지털 반응의 체험화 경향, 디지털 센서의 장치화 경향을 갖는 공간이 됨을 확인하였다. (결론) 상호작용 공간은 디지털화된 오브제의 속성을 갖고 디지털 테크놀러지에 의해 표현된 것으로 아날로그에서 디지털로 확장된 오브제성을 갖는다. 오브제 경향을 갖는 상호작용 공간은 디지털 테크놀러지가 활용된 공간적 오브제로 감각행위적 신체체험을 체험자에게 제공하며 상호작용을 일으키는 오브제 경향을 갖는 공간이다. (Background and Purpose) Objects cause sensory behavioral experiences to perceivable objects, and interact sensibly with the place where objects are placed. In contemporary spatial design, media is represented by digital technology and has digitally extended objectivity. In this respect, the interaction space has a digital object of extended objectivity. Therefore, this study confirms that the interaction space in which interactive media is installed is a space where digital object is placed as an extension of the object. Also, the interaction space tends to have a spatial tendency of digital objects, a tendency to experience digital reaction, and the tendency of a digital sensor to be a device. (Method) This study examined the characteristics and tendencies of objects in interaction space. This required first studying the concepts of “object” and “object tendency” in an interaction space, as well as checking the actual characteristics of objects in an interaction space. The concepts were studied through literature review. The research analyzed the cases of object space reactive object experience, sensor technology response, and device object space. Cases were divided into three attributes―sensory, substance, and object attributes―and focused on three types of interactive physical media: reactive physical experience, sensor response, and device object space. (Results) Interactive spaces have sensory, material, and object properties, depending on the object attributes of the media. The sensory attributes of the interaction space have a physical experiential nature and thus have a characteristic reactive body experience. The material properties are characterized by the technical features of the sensor by means of a digital technical structure. And the object attribute gives the media the characteristic of the device object space by being spatially mediated. Interactive space creates interaction by digital methods, and has reactive physical experience, sensor technology correspondence, and device object space characteristics. Interaction space has a digitized object tendency by these three characteristics. Thus, it is confirmed that the interaction space is a spatial space of digital objects, a tendency to experience digital reactions, and a device-oriented space for digital sensors by three characteristics. (Conclusions) The interaction space is represented by digital technology with the properties of a digitized object, and has analog-to-digital object extensions. The interaction space with an object tendency is a space that has the object tendency to provide the experiential interaction with the spatial object using digital technology.

      • KCI등재

        디지털 미디어의 데이터 프로그래밍에 의한 인터랙션 스페이스

        김일석 ( Kim¸ Ilsuk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21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6 No.7

        (연구배경 및 목적) 미디어 환경은 가상환경에서 메타버스까지 그래픽 중심의 환경이 중심이 되고 있다. 현실의 공간에서는 물리적으로 구축된 미디어 공간이 필요하다. 미디어의 인터랙션 형식은 공간디자인에 있어서 새로운 설계형식이 되고 있다. 디지털 미디어에 의해 공간의 물리구조는 전자방식으로 전환이 되는데, 가상공간 미디어와 멀티미디어와 함께 인터랙션 미디어는 구축공간에 변화 가능한 경험을 제공하는 환경으로 만들고 있다. 본 연구는 미디어의 인터랙션 개념을 센서발동과 감각행위의 관계를 고찰하고, 물리적 구조에 장치적으로 설치되는 인터랙션 미디어가 설치된 인터랙션 스페이스의 특징을 연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방법) 연구의 범위는 인터랙션 미디어로 구성된 인터랙션 스페이스를 채택하여, 장치통합적인 미디어로 구성된 스페이스로 분석하여 결론을 도출하는 것을 범위로 한다. 연구방법은 첫째, 2장에서는 미디어의 인터랙션 개념과 경험을 고찰한다. 이를 위해 연구는 미디어의 센서장치와 발동장치, 프로그래밍을 경험자의 감각, 지각, 행위경험으로 구분하여 연구하였다. 둘째, 3장에서는 인터랙션 스페이스의 구조에 관한 요소와 특징을 해석하고 분석한다. 인터랙션 스페이스의 특징을 오브제모듈, 데이터 집적, 시퀀스 객체, 스토리 매체로 구분하고, 인터랙션 스페이스 사례를 채택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인터랙션 미디어는 디지털 장치가 작동하는 동적인 매체다. 인터랙션 미디어는 디지털 센서와 발동장치가 프로그래밍으로 코딩되어 데이터가 통신하며 시스템적으로 인터랙션을 한다. 인터랙션 스페이스는 이러한 미디어의 데이터의 입출력과 센서발동장치의 반응관계에서 인터랙션 장소를 만든다. 인터랙션 스페이스는 경험자의 감각, 지각, 행위 경험가 실시간으로 프로그래밍 된 전자모듈장치와 인터랙션 하는 공간이다. 스페이스에 적용된 센서와 발동 장치는 모듈로 구성되어 데이터를 제어하여 개체지향모듈의 변화를 갖는다. 인터랙션 스페이스는 형식, 물질, 효율, 목적 요소를 갖고 있으며, 이러한 요소는 인간-상호작용과 기계-상호작용을 가능하게 한다. 그리하여 인터랙션 스페이스는 인간-컴퓨터 인터랙션(HCI)를 하는 공간으로 오브제 모듈, 데이터 집적, 시퀀스객체, 스토리 매체의 특징으로 구분 된다. (결론) 인터랙션 스페이스는 정보의 전달을 위해 모듈화 된 센서 장치와 발동 장치의 상호 관계하는 특징이 있다. 스페이스를 구성하는 장치 모듈 형식은 경험자에게 다양한 장면과 상황을 전달하는데, 그 특징은 오브제 모듈, 데이터 집적, 시퀀스 객체, 스토리 매체의 특징이 있다. (Background and Purpose) The media environment is centered on graphics, from the virtual environment to the metaverse. In the real space , a physically constructed media space is required. However, media interaction form is becoming a new design form in spatial design. The physical structure of space is converted to an electronic form by digital media. Further, interactive media, together with virtual space media and multimedia, are creating an environment that provides a transformative experience in the construction space. The study examines the interaction concept of media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sensor activation and sensory action, and to study the characteristics of the interaction space, where the interactive media is installed as a device in the physical structure. (Method) The study aims to draw conclusions by adopting an interaction space composed of interactive media―analyzing it as a space composed of device-integrated media. The research method is discussed first; in Chapter 2, the concept and experience of media interaction are considered. For this purpose, this study divided the sensor device, actuation device, and programming of media into sense, perception, and action experience of a person. Chapter 3 analyzes the elements and characteristics of the structure of the interaction space, which are divided into object module, data collection, sequence object, and story medium; further, the interaction space case is adopted and analyzed. (Result) Interactive media is a dynamic medium in which digital devices operate, and digital sensors and actuators are coded programmatically to communicate data and interact systematically. The interaction space creates an area in the relation between the input and output of data of these media and the reaction of the sensor-actuated device. The space is where the experiencer's senses, perceptions, and actions interact with the real-time programmed electronic module device. The sensors and actuation devices applied to the space are composed of modules and control the data to comprise changes in the object-oriented module. The interaction space has the elements of form, material, efficiency, and purpose, and these elements enable human and machine interaction. Therefore, the interaction space is an area for human-computer interaction (HCI), divided into object module, data collection, sequence object, and story medium. (Conclusion) The interaction space has the characteristics of the interrelationship between sensor devices and actuation devices that are modularized for information transfer. The device module format that composes the space delivers various scenes and situations to the experiencer, and its features include object module, data collection, sequence object, and story medium.

      • 내장형 시스템을 위한 실시간 커널의 설계 및 구현

        남윤(Namyun Kim),신현식(Heonshik Shin),김일석(Ilsuk Kim),연철(Yeonchul Kim) 한국정보과학회 1993 한국정보과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0 No.2

        실시간 시스템의 태스크는 외부 입력에 대한 응답시 시간 제약 조건을 가진다. 즉, 외부 입력을 받아들여 제한된 시간내에 출력 장치에 응답을 해야 한다. 따라서 인터럽트 지연 시간을 최소화하고 태스크의 수행 시간을 예측할 수 있는 기법이 실시간 커널에 요구된다. 본 논문에서는 임계영역을 최소화하여 인터럽트 지연 시간을 줄이는 스케줄링 기법과 태스크의 블러킹 시간을 제한할 수 있는 동기화 기법을 이용하여 실시간 커널을 구현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