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표준체코어의 기능적 층위에 대한 분석

        김인천(Kim, In-chon) 아시아·중동부유럽학회 2006 동유럽발칸학 Vol.8 No.2

        오늘날의 체코의 언어상황을 가장 적절하게 설명할 수 있는 핵심 주제어는 다름 아닌 “표준어와 비표준어들 간의 긴장관계”라고 할수 있겠다. 이러한 긴장 속에서 체코의 언어학계는 표준어의 위상을 제고하고 그 지위를 좀더 확고히 하고자 표준어의 육성을 주장하고 있지만 그 접근법에 있어서는 근본적으로 상반된 견해를 보이고 있는 것이 또한 사실이다. 소위 “표준어 확산론”과 “표준어 보호론”이라는 것이 본 문제의 실체이다. 전자는 19c라는 인위적인 표준어 제정으로 인한 표준체코어의 약점을 언어공동체의 저변에 이르는 확산을 통해 극복해 보려는 시도인 것으로 예상된다. 결국 확산론은 ‘표준어를 둘러싼 언어규정들을 완화시켜야한다’는 최종적 입장을 견지하고 있는 반면 보호론은 공 통체코어의 비표준적 요소들의 영향력이 급격하게 증대되고 있는 현 시점에서 규정들을 완화하게 되면 문화적으로 저급한 언어요소들이 표준체코어의 회화체의 지위를 위협할 수 있다는 논지이다. 이와 같은 주장은 언어 순화주의 전통과 맥을 같이 한다고 볼 수 있다.본 논문은 이와 같은 논쟁들의 일차적 배경을 제공하고 있는 “현대체코어의 성층구조”를 구성·분석하고 그 구조를 형성하고 있는 각 층위들(표준어-상위공통방언-공통방언) 간의 흡수 및 통일과 침투 및 잠복 등 다양한 단계별 역학 관계의 일반적 특징을 언어자료들을 통해 밝힐 것이다. 특히 표준 체코어에 해당하는 각 상·하위층위의 변이형태들이 어떤 형태로 상존하는지를 고찰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우리는 체코 언어학계가 1930년에 발전한 프라하학파의 표준어이론을 계승함에 있어 “표준어의 개념”을 상당히 폭넓게 해석한 근거를 추론하게 될 것이다. There are different approaches in the Czech linguistics toward the contemporary Czech language situation in which the strained relation between standard form and nonstandard form of language exists. The contrastive attitudes of them aim at the cultivation of standard language, however the one substantially intends to expand a standard language and the other asserts its protection against nonstandard language elements. The former is an attempt to make up for a deficit of the standard Czech originated from 19c’s artificial codification through its expansion into the Czech society. Ultimately it argues to relieve the rigid norms of standard Czech language. The latter, however, claims not to ease the norms if it is weaker at this point of time when the influence of nonstandard common Czech increases rapidly in the spoken sphere. This could be based on consideration that culturally low graded elements are able to threat colloquial form of standard Czech. This paper inquiries the stratification structure of contemporary Czech and explains characteristics of its variants in hierarchical structure based on Czech language data. After all it reveals the mechanism in which three variants of standard Czech work each other in the hierarchy. We expect that the discussion in this paper will provide on what grounds Czech linguistics interprets the concept of standard language to a certain extent liberally.

      • Typology of Binding Domain between Czech and Korean

        김인천(Kim, In-chon) 아시아·중동부유럽학회 2003 동유럽발칸학 Vol.5 No.1

        현재까지의 체코어 어순연구는 대체로 화용론적 접근(예:Functional Sentence Perspective)이 그 주류를 이루어 왔고, 굴절어가 갖는 형태론적 속성들에 대한 언어학적 기술이 이를 뒷받침하는 형태로 나타났다. 이러한 접근은 체코어가 문장 내의 구성성분들의 자리 이동을 비교적 자유롭게 허용한다는 사실에서 비롯한 것으로 잘 알려져 있다. 그러나 최근10년 동안 슬라브어에 일반적으로 나타나는 접어(clitics)의 위치고정현상과, 그 중에서도 체코어 접어의 제 2위치 현상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면서 접어에 대한 일반언어학적 분석이 다각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본 연구는 체코어에 나타나는 접어 중에서 대용어의 기능을 갖는 재귀대명사의 결속역과 관련된 문제점들을 밝히고 논점이 되는 사안들이 한국어의 대용어 결속에서는 어떤 양상으로 나타나는가를 비교 분석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두 언어에서 나타나는 매개변인적 특성들을 고찰하기 위해 언어 이론의 보편성을 지향하는 Chomsky의 결속이론(Chomsky 1995:96)을 그 이론적 배경으로 삼아 국부역 내에서의 대용어의 결속문제와 장거리결속 현상에서 나타나는 언어학적 의의에 주목한다. 마지막으로 우리는 두 언어 모두에 나타나는 공주어 매개변인(proparameter)이 결속과는 어떤 관계가 있는지 살펴본다. 여기에서 우리는 한국어와는 달리 체코어는 주어위치에 올 수 있는 대용어를 갖고 있지 않음을 주지하며, 하위절의 주어와 상위절의 주어가 공지시관계에 있으려면 하위절에서 pro-drop이 필수적임을 밝힌다. 이상의 논의를 통해 볼 때, 본 논문이 채택한 Chomsky의 현재의 결속이론은 체코어와 한국어에 나타나는 장거리 결속현상이라는 언어특정의 매개변인적 속성을 적절하게 설명하지 못하고 있음을 주장한다. 그러나 이로써 그의 결속이론이 언어표현들 사이의 지시해석관계를 규정해주는 언어 보편이론의 궤도를 벗어났다고는 판단하지 않는다. In recent years, interest in the 2-position phenomena which is typical of Slavic languages has been growing from the word order point of view. Anaphoric clitics that represent the phenomena are assumed to be also relevant to the process of identifying antecedents with empty categories. In this respect, this paper examines syntactic typology of the binding domain between Czech and Korean and try to expand to the pro-drop parameter in both languages. To show the apparent parametric charateristics in both languages, I utilize two analytic machanisms, so called “Chomsky's principle of anaphors” and “long-distance reflexivization (henceforth LDR)”. As some language-specific properties,the paper focuses on the question how to explain the binding difference of LDR for these languages. Finally I inquire into the pro-drop parameter in both languages and conclude that to referentially identify the embedded subject with the matrix subject, Czech needs an obligatory pro-drop in the embedded clauses due to the lack of anaphors in subject position.

      • KCI등재

        Interference of Korean Syntax in Czech-Korean Interlanguage

        김인천(Kim, Inchon) 한국외국어대학교 동유럽발칸연구소 2013 동유럽발칸연구 Vol.33 No.-

        언어 유형론상 자신의 모국어와는 전혀 다른 체코어를 습득하는 한국학생들은 복잡한 체코어의 통사규칙을 배울 때 가장 큰 어려움을 겪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들은 체코어에 대한 언어지식이 전무한 단계에서 고급수준의 언어구사 단계로 진행하는 과정에서 소위 ‘한국어-체코어 중간언어’라는 자신들만의 특이한 언어를 발달시킨다. 즉 이 중간언어는 체코어 습득과정에서 한국학생들이 생성해낸 과도기적 언어형태로서 고유한 언어규칙을 갖고 있는 것이 특징이다. 모든 중간언어는 일련의 전형적인 오류 유형을 보이는데 그 오류의 가장 일반적인 근원은 모국어나 기타 학습자가 기존에 학습한 외국어일 가능성이 가장 높다. 한국학생들의 경우 가장 전형적인 오류는 전자의 경우 자신의 모국인 한국어 그리고 후자의 경우 영어에서 기인하는 것으로 잘 알려져 있다. 이 논문은 한국학생들이 체코어 습득 시, 문장을 구성할 때 나타나는 한국어 간섭을 연구대상으로 삼고 있다. 이러한 간섭현상을 밝히기 위해, 한국외국어대학교의 체코어 문법수업을 수강하는 학생들, 특히 초급과 중급 과정의 수강생들을 조사대상으로 삼았으며 그들이 직접 생성한 체코어 문장들에서 나타나는 6가지의 가장 일반적 오류유형을 분석하였다. 한국어-체코어 중간언어는, 한국학생들이 외국어를 학습할 때 실제 언어사용(Parole)에 입각해 언어지식을 습득하기 보다는 고립된 언어지식으로서의 언어체계(Langue)를 주로 학습하고자 하는 성향에서 비롯된 것으로 사료된다. Learning complicated and complex Czech syntactic rules presents one of the most serious problems and greatest challenges for Korean students when they start to acquire a language so completely different as Czech is from Korean. Korean students learning Czech develop a special language on their own which represents a transitional level between the stage of no knowledge and the stage of highly advanced knowledge of Czech, referred to as Korean-Czech interlanguage. This is gradually developing system of the language of Korean students which has its own set of rules. Naturally, a series of errors occur in any kind of interlanguage and the most common source of the errors appears to be attributed either to the mother tongue or to some other foreign language a learner had learned. For Korean students, the typical error source is Korean in the former case and English in the latter case. This paper considers the interference of Korean syntax in constructing Czech sentences. To identify this interference, authentic utterances of Korean students from Czech grammar classes (esp. for beginners and intermediate levels) at HUFS are used and 6 types of the most common errors are analyzed in this paper. The interference of Korean-Czech interlanguage is assumed to be resulted by the fact that Korean students learn the system (isolated knowledge of langue), but they lack experience and practice in speech (parole).

      • 체코어의 언어순수주의에 관한 통시적 고찰

        김인천(Kim, In-chon) 아시아·중동부유럽학회 2008 동유럽발칸학 Vol.10 No.2

        반-게르만 정서에 기초한 체코어의 언어순수주의의 역사는 이미 15세기부터 시작된 것이다. 체코어의 순수성을 지키고자 이미 오래전에 정착한 독일어 요소들의 사용을 억제하거나 신조어의 조어방식이 독일어와 동일하면 이를 제거하려 했던 급진적인 성향에 이르기까지 체코어의 언어순수주의는 체코어 표준어형성의 전 과정에 개입하였다. 이처럼 언어순수주의는 그 자체가 학제(學際) 간 연구의 관심을 끄는 사회언어학적 연구 대상임에 틀림없다. 그러나 19세기와 20세기 초 표준 문어체코어의 재건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했던 체코어의 언어순수주의는 그동안 체코 언어학계의 주목을 받지 못 하여 왔다. 이는 일차적으로 서구 언어학계의 일반적인 연구풍토에서 기인하는 것으로, ‘언어순수주의는 훈련받지 못한 언어학자들이 자국의 언어에 대한 우월적 태도나 민족주의적 성향을 드러내는 저급한 연구 분야’로 터부(taboo) 시 되고 있다는 것이다. 두 번째 이유로는 ‘체코어의 언어순수주의는 표준체코어의 발달사에 부정적 영향만을 끼쳤다’라는 프라하학파의 화석화된 명제가 바로 그것이다. 그러나 오늘날 표준체코어가 그 기능과 지위적 측면에서 하위 언 어층위인 일상구어에 의해 위협을 받는 현실에 직면해 있음을 고려해 볼 때 그 발단이 된 언어순수주의에 대한 통시적 고찰이 필요하다 판단된다. The history of Czech linguistic purism, based on Anti-Germanism, originated in the 15th century. As a conservative effort or activities to protect the purity of Czech language, it served to restrain the use of German loanwords which had taken root a long time prior, and even tried to eliminate coined words which were regarded as having been created on the basis of similar word formation in German. Overall, Czech purism intervened greatly in the overall process of the formation of Standard Czech. Linguistic purism is thus a relevant research topic for an interdisciplinary area such as sociolinguistics. The Czech purism that played a important role in rebuilding Written Standard Czech from 19th century to the beginning of 20th century did not attract the attention of either Czech linguists or the public. As is well known, the lack of interest in the Czech purism is caused by the scientific climate of Western linguists who generally deem purism taboo. They consider purism to be a research field used by untrained linguists to express their hidden national superiority over “impure” foreign elements. Another important reason is closely connected to the fossilized idea that Czech linguistic purism had a negative influence on the development of Standard Czech. However, considering the fact that Standard Czech is currently being confronted with a crisis of its proper function and status, the diachronic approach to the question at hand is deemed a timely and relevant subject for discussion.

      • KCI등재

        체코어 정서법(正書法)의 원리와 발달사적 특징

        김인천(Kim Inchon) 한국외국어대학교 외국학종합연구센터 동유럽발칸연구소 2007 동유럽발칸연구 Vol.19 No.1

        오늘날의 체코 땅에서 시작한 문자의 역사는 대략 1100년이 넘은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실질적 의미의 현대 체코어의 발달사는 약 700 년 정도로 보는 것이 일반적인 견해이다. 이러한 사실은 최초의 체코어 문헌들 중에서 라틴어로 쓰인 문장이나 텍스트에 몇 개의 어휘나 짧은 문장 정도로 출현하는 체코어의 흔적이 아닌, 다소 긴 분량의 체코어 문헌이 나타난 시기를 13세기 중엽으로 보기 때문이다.1) 그리고 12세 기 초부터는 체코어가 자신의 최초의 문어 표현수단이었던 글라골 문 자의 사용을 포기하고, 언어 발생학적으로 다른 어군에 속하는 언어들 을 위해 만들어진 라틴문자를 완전 수용하기에 이르는데, 이러한 상황 은 이후에 진행될 수차례의 정서법(orthography)의 개혁을 예고하였 다: 체코어 텍스트 생성에 가장 적합한 라틴문자의 사용의 규칙을 만들 어 내기 위해 가장 원시적인 단계의 소위 “단순정서법 체계”부터 시작 하게 되었다. 이런 의미에서 볼 때 체코어의 정서법의 발달사는 단지 맞춤법과 직 접적인 연관이 있는 좁은 의미의 정서법의 역사만이 아닌, 문자의 사용 그리고 형태와 관련된 변천사, 즉 일정한 시대까지 사용되어온 문자를 다른 문자로 안정적으로 대체하는 문제를2) 다루는 정서법까지 포괄하 고 있다고 볼 수 있다. 이 논문은 체코어의 정서법을 지배하는 정서법의 원리들을 소개하 고, 그 생성에서부터 현대에 이르기까지 변천과정에 나타난 핵심 내용 들을 개괄적으로 논의함을 목적으로 한다. 체코어의 정서법에 대한 고찰을 통해, 우리는 체코어가 음소적 원리 를 정서법의 기본 원리로 삼고 형태론적 원리를 유표적(有標的)으로 적용한 근거를 찾게 된다. 이는 환경에 따라 달라질 수 있는 음성형태 들의 대해 시각적으로 동일한 문자 형태를 보존함으로써 한 어휘에서 파생된 형태소들에 대해 동일한 의미를 확보하기 위함으로 추정된다. 특히 이 원리는 체코어처럼 문법범주를 실현함에 있어 복잡․다양한 형 태적 변화를 요하는 굴절어에 특수하게 적용되는 정서법 원리라고 할 수 있겠다. Although the first alphabet system had been in use in the area around Czech 1100 years ago, it is a general view that the Czech language has been developing for approximately 700 years. This view is based on the fact that long Czech texts which are written in virtual Czech initially originated from the mid-thirteenth century, in contrast to several Czech sentences or short texts which are recorded in marginal notes or gloss of Latin texts until that time. Those kinds of texts, however, was not written in Glagolitic alphabet, the first unique letter system for Slavonic languages, but in Latin alphabet. Czech renounced the Slavonic literary tradition for a political reason and introduced Latin alphabet created for the different language families into its orthographic system. That is why the first Czech orthography started in a primitive and so simplex shape and needed a little radical reforms on several occasions to adapt Latin alphabet to Czech sounds system. In this context, the history of Czech orthography comprehends not only the development of the rules of spelling in a narrow sense but also the question of how to develop previously used inefficient letter system.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introduce several principles governing Czech orthography and to describe the brief history of the orthography from the diachronic viewpoint focused on the 6 periods in development of the Czech orthographic system - Primitive orthography, Digraphic orthography, Diacritic orthography, Brethren orthography, Modern orthography, Czech orthography revised edition in 1993. Under consideration of the types of Czech orthography, we assume that Czech adopted the morphological principle of orthography as its dominant principle in order to preserve constant morphs of grammatical morphemes (for instance case markers, that is, case endings), even in a linguistic circumstance where those morphemes are realized phonetically differently.

      • KCI등재

        체코어의 좌향전위와 지시대명사

        김인천(Inchon Kim) 한국외국어대학교 동유럽발칸연구소 2018 동유럽발칸연구 Vol.42 No.3

        체코어는 기본적으로 SVO라는 무표적 어순의 언어이지만, 화제-초점 분(Topic-Focus Articulation)이라는 담화 형상성(discourse configurational language)이 지배적인 언어이다: 문장의 좌측 가장자리와 우측 가장자리에 있는 구조적 위치가 고유화제(proper topic), 대조화제(contrastive topic), 초점 (focus)이라는 특정한 담화 기능을 수행한다. 그러나 체코어 어순의 지배적 원리로 잘 알려진 소위 ‘기능문장관점(Functional Sentence Perspective)’에 따르면 화제는 단순히 발화구조에서 초점에 속하지 않는 나머지 부분으로 해석되는데 이러한 전통적인 이분법으로는 체코어 담화구조의 좌측에 나타나는 화제화를 효과적으로 설명하기 어렵다. 본고는 체코어 담화의 좌측 가장자리에 나타나는 언어 요소들의 화 제 자질을 점검하고자 [Spec, IP]을 전형적인 화제의 위치로 설정하고 전통적 개념의 화제를 세분화하여 좌측 가장자리가 화제만을 위한 절대적인 제약은 아니라는 주장을 하고자 한다. 본고는 또한 대용어 기능을 지닌 체코어의 지시대명사가 선행사와 지시적 결속관계의 유무에 따라 좌향전위 요소들의 화제성 자질 점검이 가능하며 동지시 관계에 있는 선행사는 절의화제가 될 수 없음을 밝힐 것이다. 결론적으로 기존의 선형적 배열의 개념보다는 구조적 위치(Structural position)라는 다른 관점에서의 접근이 협의의 화제를 정의하는 데 유의미한 논의를 제공한다고 판단한다. Czech linguists have long argued that Czech is assumed to be sensitive to Topic-Focus Articulation. According to such a traditional dichotomy of discourse, topic has been defined as the rests that do not belong to Focus. This kind of approach, however, hardly explains Czech topicalization of the left periphery of the Czech discourse structure. This paper tries to work towards a narrower definition of Czech topic, subdividing the types of topic such as proper topic, continuing topic, contrastive topic and focus. Assuming that the preposed [Spec, IP] is the structural position typical for topics, I try to analyze the close relation between individual topic and distributional constraints. In order to accomplish the goal of this paper certain diagnostics are necessary. Following Comrie(1997), I suggest that demonstrative pronouns in Czech require that their antecedents be non-topical and argue that elements which are not able to antecede a demonstrative pronoun in Czech are topical. Identifying the structural position of Czech topic, a disjunctive definition of topic can be proposed for Czech.

      • KCI등재

        체코어 소유여격(Dative of Possession)의 의미자질에 관한 연구

        김인천(Inchon Kim) 한국슬라브유라시아학회 2009 슬라브학보 Vol.24 No.4

        In the linguistic context, possession is a fundamental notion which may be defined as an asymmetric relationship between two referents, the possessor versus the possessee. It is a universal domain, that is, any human language can be expected to have conventionalized expression for it. Nevertheless, the linguistic possessive expressions don't seem to represent explicitly the cognitive nature of possession. The range of conceptual meaning of possession is too wide to be reduced to several possessive constructions. It can be represented by the various types of structure both within a particular language and in cross-linguistic comparison. There is a specific type of possessive construction in Czech. That is the so-called dative of possession, which appears, of course, not only in Czech but also in most of Slavic languages. According to the grammatical descriptions, the usage of this type of dative case in Slavic languages ranges from absent Ukrainian to widespread Czech. It is one of the types of free dative syntactically ungoverned by a verb. It is fundamentally the case category which is not assigned by a lexical property of a predicate. However, in some case it seems to be associated with the property of beneficiary and experiencer, the semantic roles of dative argument. Nevertheless, the dative of possession is generally considered to lack the prototypical semantic feature such as [+DIRECTIONAL to the object] and the peripheral feature [+BENEFACTIVE of the action or state of affairs]. It is rather assumed to have its proper feature [+POSSESSIVE]. This paper argues whether the dative of possession is used to express possession at all and if so whether it expresses solely possession or a more complex content, to what extent it possesses the proper feature [+POSSESSIVE] and which factors enables the appearance of this type of dative. In order to check the existence of the feature [+POSSESSIVE], four analytic manipulations are used as follows. (1) Compatibility between the dative of possession and the possessive determiners (2) Existence of the pragmatic feature [+EMPHATIC] differentiated from possessive determiners (3) Vagueness of boundary line between the dative of possession and dativus (in-)commodi (4) Co-occurrence (or double distribution) of both the dative of possession and possessive determiners. This paper proposes that unlike the possessive determiners, the dative of possession in Czech is assumed to have relatively week semantic feature of possession but the strong pragmatic feature [AFFECTEDNESS via POSSESSION] in other words, the speaker's empathy. The dative of possession which appears as the possessor of inalienable body parts shows relatively strong possessive feature.

      • KCI등재후보

        체코어 사람 이름에 대한 연구

        김인천(Kim, In-Chon) 한국외국어대학교 동유럽발칸연구소 2005 동유럽발칸연구 Vol.15 No.1

        언어의 역사적 친족성을 밝혀주는 언어계통학적 분류에 따르자면 인류가 사용했던 공통어족 (common language family)의 수는 불과 약 20 여개 안팎인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즉 원시고대시기에는 이 지구상에서 인류가 몇 개 안 되는 언어를 통하여 서로 의사소통을 수행했다는 것이다. 아마도 그런 측면에서 각 어족의 언어들은, 사람을 지칭하는 이름의 기원이나 그 이름들이 지닌 일반적인 의미 그리고 그 구성방법에 있어 서로 유사한 성격을 보이고 있는 것으로 예측된다. 이와 같은 맥락에서 본고는 체코어 이름이 가지는 일반적인 성질즉 이름이 지닌 언어기호로서의 의미와 그 구조적 특정을 기술하고 그 발달사를 개괄하며, 마지막으로 최근의 체코 사회가 보이는 이름에 대한 선호 추세를 통계자료를 통해 확인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와 같은 접근방법을 통해, 우리는 개괄적이나마 체코어 이름의 통시적 측면과 공시적 측면을 동시에 살펴볼 수 있을 것이다. 이름의 발달사가 가지는 기본적인 내용은 유럽의 다른 나라의 그것과 비슷할 것으로 예상되지만 그 순서와 사회적 변인 그리고 어떤 동기에 대한 반응 차원에서 차이를 보이기 때문에 연구방법으로서의 의미는 충분하다고 판단된다. 공산주의가 막을 내리고 서유럽이나 미국 그리고 아시아 아프리카와 같은 제3국과 교류가 증대되어, 1990년대 이후 현재까지 체코 사람들의 이름선택이나 그 선호도면에서 상당한 지각변동이 있었을 것 으로 기대되었지만, 체코통계청이 매년 1월 발표한 신생아 이름의 선호도는 오랜 역사를 통해 유지해온 체코인들의 사람 이름 짓는 전통이‘여전히 보수적임’을 주장하는 데 일정한 근거를 제시하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With regard to language-genealogical approach which enables us to inquire into the historical kinship among languages, it is assumed that there are twenty common language family or so. In other words, people at very old ages could communicate each other through only several languages. This is seemingly why the origin of names, their universal meaning and the way of formation are very similar between nations Under this consideration, the aim of present study is to examine any significance of name as a linguistic sign system, the structural features and the contents of their development and finally to check up the preference tendency of Czech Christian names through the 6-years materials of Czech Statistical Office which researches the preference for names of newborn babies every January of a year. The basic content of name history seems to be very similar to that of other European countries, however I assume that there may exist many different factors composing name development, thanks to the historical gradation of social variables and reaction to some political stimuli etc. Even though we expected any distinctive change in choice of Czech Christian names after November’s Revolution in 1989, as the result of examination of Czech Statistical Office showed explicitly, the preference tendency of Czech Christian names is still conservative.

      • KCI등재

        체코의 언어순수주의와 양층언어 상황

        김인천(Inchon Kim) 한국외국어대학교(글로벌캠퍼스) 동유럽발칸연구소 2019 동유럽발칸연구 Vol.43 No.2

        언어순수주의는 오늘날까지 체코의 언어학에서 가장 오랫동안 논쟁의 중심에 서 있는 사회언어학적 주제이다. 체코의 언어순수주의가 근대 표준 체코어의 형성과 발달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는 것은 주지의 사실 이지만, 이와는 상반되게 현재 체코 언어사회가 겪고 있는 양층언어 상황의 근원이기도 하다는 부정적인 평가 역시 공존하고 있다. 본고는 체코 언어순 수주의의 일반 언어학적 의미를 논하기 위해 먼저 세 가지의 유형의 순수 주의 -의고화, 엘리트주의, 외국혐오증-로 분류하고 이 유형들이 시대적 전개과정에서 어떻게 발현되었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18세기 중반의 초기 언어순수주의자들과 1930년대 초의 프라하학파에 의해 ‘오염되고 타락한 체코어’로 비판받는 17세기~18세기의 바로크시기의 체코어의 언어자료를 바탕으로 오늘날 표준 문어체코어의 지위를 위협하는 공통체코어의 유사성을 확인하는 것은 의미 있다고 사료된다. 체코의 양층언어 상황에 대한 균형 잡힌 접근을 위해, 한편으론 표준어 발달의 과정에서 나타난 언어순수주의의 과도한 개입과 그 통시적 배경을 밝히는 것이 중요하며 다른 한편으론 언어의 기능을 강조하며 표준어 육성을 강조한 1930년대 초 프라하학파의 언어문화이론에 지나치게 편향되지 않는 객관적 태도를 견지하는 것이다. Linguistic purism has long been a contentious topic in Czech sociolinguistics. On the one hand, is has been widely recognized for its important role in the development of modern Standard Czech (spisovná čeština). On the other hand, it has been criticized as a factor contributing to the evolution of Czech diglossia over the past 100 years. Indeed, the current Czech language situation is generally described as irrelevantly diglossic. This paper considers some of the key issues of Czech linguistic purism, which is ultimately rooted in the specific extralinguistic conditions under which standard Czech originated. Czech linguistic purism stemmed from concerns due to the decline in the use of Czech language during the Baroque period and its replacement by German as the major language of discourse among the educated classes during the Habsburg rule. To capture the specifics of Czech purism, this paper identifies three types of linguistic purism - Archaizing, Elitist, and Xenophobic – and explores the relationship between Baroque phonemic representation of written Czech and actual sounds of modern spoken Bohemian dialects. This combined approach enables to explain some of the dominant issues of Czech diglossia, and provides an objective position to deal with the linguistic tradition of Common Czech and Standard Written Czech.

      • KCI등재

        프라하 기능주의언어학파의 ‘언어문화이론’

        김인천(Inchon Kim) 한국외국어대학교 외국학종합연구센터 동유럽발칸연구소 2009 동유럽발칸연구 Vol.23 No.1

        1930년 대 초반에 프라하언어학파는 ‘언어문화(Language culture)’의 문제를 언어학 연구의 화두로 삼으며, 체코 언어사회 내에서 이미 오랫동안 불안정한 지위를 차지해 왔던 표준체코어를 육성할 이른바 ‘언어문화이론(Theory of Language Culture)’을 주창한다. 이 이론은, 1870년대에 체코어 보호의 목적으로 언어순수주의에 의해 만들어진 인위적인 언어규칙들을 제거하고 당대의 언어관습을 충분히 반영한 표준어규범의 성문화를 그 주요 목표로 삼았다. 이 이론의 핵심 원리들인 언어관습, 언어규범, 성문화 등은 한 언어권 내에 사용되고 있는 다양한 층위의 언어들의 육성보다는 특별히 언어의 통일성과 안정성을 중시하는 표준어의 우월적 지위를 확보하는 데 초점을 맞추었다. 이 이론 은 표준어만이 한 언어공동체의 수준 높은 언어문화를 이끌어 갈 수 있다고 보았는데 바로 이런 이유 때문에 언어문화이론을 표준어의 이론으로 부르기도 한다. 언어문화이론의 기본 골격을 이루는 언어의 공시성(Linguistic synchronicity) 원리는 언어의 순수성과 정확성을 결정짓는 하나의 규준으로 작용하였지만, 언어 공시성의 시간적 범위를 ‘최근 50년간의 언어관습’으로 제한하고 그 기간 동안에 훌륭한 작가의 명작에 사용된 체코어를 표준어의 규준으로 삼게 함으로써 이론의 경직성을 보여주었다. 이 학파는 또한 한 민족의 여러 가지 언어변이형 중에서 오직 표준어만이 다양한 의사소통의 분야에서 대표적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고 보고 표준어의 기능적 문체를 중시하였는데, 이는 프라하언어학파의 기능주의적 학풍을 잘 드러내주는 증거라 할 수 있다. 그러나 언어문화 이론의 원리에 따라 성문화된 표준어의 규범들은 사실 구어보다는 문어의 언어관습에 의존함으로써 체코어화자로 하여금 표준어를 적극적으로 사용하도록 유도하는 데 결국 실패하였다. 이러한 사실은 오늘날도 여전히 체코의 언어사회에 진행되고 있는 양층언어상황(Diglossia) 에 의해서도 입증될 수 있을 것이다. Prague Linguistic Circle was interested in the question of Language Culture, as a topic issue of Czech linguistic situation in the beginning of 1930s. In order to cultivate Standard Czech, they addressed primarily the unstable Czech language situation and founded the Theory of Language Culture. The theory aimed at removing mandatory language rules which Czech linguistic purists formulated in 1890s and at codifying the norm of standard language which adequately reflects contemporary language custom. The key principles of the theory such as language custom, language norm and codification etc. focused on consolidating prestige of standard language. Under consideration that only standard language is assumed to support linguistic uniformity and stability and to promote language culture of a language community, the theory took a serious view of functions of standard language, in this context the theory is sometimes labeled as the theory of standard language. The linguistic synchronicity which serves as a basic framework of the theory worked as a criterion for determining linguistic purity and accuracy, it showed however the rigidity of the theory since it confined the temporal scope to the recent 50 years’ language custom and limited the norm of Standard Czech to the Czech used mainly in ‘Good authors’ literature’. The linguists of the Prague School laid stress on the functional stylistics of standard language. This idea was based on the assumption that the only standard language performs the most effective function communication among all the other variants of the language. This demonstrates the fact that the theory is characterized mainly by functionalism. In the tradition of the theory of language culture, however, the codified norms of modern standard Czech still rely primarily upon the custom of written language rather than that of spoken language and consequently the written form of the language is not actively used by Czech native speakers. The chronic problem of language situation in Czech Republic, so called ‘Czech Diglossia’ is recently growing wors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