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econd Position Phenomena in Czech

        김인천(Inchon Kim) 아시아·중동부유럽학회 2002 동유럽발칸학 Vol.4 No.1

        대부분의 체코어 어순연구는 '주제-화제(Topic-Focus)'현상에 주목하여 기능문장관점(Functional sentence perspective)에서 이루어져 왔고 그 화용론적 접근이 주류를 이어왔던 것이 사실이다. 그러나 로망스어와 슬라브어에 주로 나타나는 소위 '제 2위치(second position)' 라 일컬어지는 언어특유의 현상은 기능문장관점을 포함한 현존하는 단일 언어이론의 테두리 안에서 일반화하기가 어려울 뿐 아니라 그 통사적 속성을 적절하게 기술할 수 없음이 밝혀지 고 있다. 이러한 어려운 점들은 주로 접어가 자립어로서의 성질과 한 단어 내에서 접사의 성질을 공유하고 다양한 이질적인 언어현상을 보이는 것에서 기인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게다가 개별 언어에 대한 개별 연구마다 접어의 정의를 달리하고 있는 것이 언어학적 일반화를 더욱 어렵게 만들고 있다. 본고는, 그럼에도 불구하고, 접어가 갖는 고정어순성과 그 인접과정은 엄격한 제한을 수반한다는 가정하에, 자유어순 언어인 체코어에서 엄격한 위치고정을 보이는 접어(clitics)에 대한 언어학적 접근방법의 문제점과 접어성 기준설정에 필요한 제약조건을 논의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접어는 그 음운론 특징상 비강세어로서 축약과정을 동반하여 인접어의 강세구조에 통합되는 것이 보통이다. 그리하여 접어가 인접어의 뒤에 접착되면 후접어라 하고 그 앞에 접착되면 전접어라고 한다. 이러한 관점에서 볼 때 체코어의 접어는 전접과 후접을 동시에 보이고 있으므로 접착방향이 중립적이라 해야 함이 옳을 것으로 본고는 제안한다. 본고는 또한 접어의 음운론적 접착과정과 통사론적 접어화(cliticization)를 구별한다. 음운론상 접어가 접착하는 언어단위는 한 단어이나 통사론적으로는 하나의 구(a phrase)나 혹은 절(a clause)이기 때문이다. 이로써 접어가 안착하는 문장내의 제2 위치는 구절구조의 개념이라는 사실이 자명하게 된다. 위에서 언급한 접어에 대한 기본적이고도 본질적인 논의를 바탕으로, 본고는 체코어가 보이는 세가지 접어, 즉 조동사, 대명사(인칭&재귀대명사) 그리고 의문첨사에 대한 다음과 같은 접어성 기준을 고찰한다. 1. 체코어의 být 'to be' 동사 형태들은 지정사와 조동사로서의 두 기능을 동시에 가지고 있으나, 일반동사 들처럼 어순에 제약을 받지 않을 때에는 지정사로서 기능하고 제2위치에 나타나야만 할 때에는 조동사접어로서 기능한다. 2. 체코어의 대명사는 대체로 장형&단형의 쌍을 이루는데, 단형만이 접어의 통사를 보이며 단일 형태만을 보이는 대명사는 '주제-화제' 원칙에 따라 그 접어성을 확인한다. 3. 체코어의 의문첨사는 구나 절이 아닌 단일 선행단어에만 후접(enclitic)이 가능하다라는 사실에 근거하여 조동사나 대명사와는 다른 통사를 보이는 것으로 규정한다.

      • KCI등재

        프라하 기능주의언어학파의 ‘언어문화이론’

        김인천(Inchon Kim) 한국외국어대학교 외국학종합연구센터 동유럽발칸연구소 2009 동유럽발칸연구 Vol.23 No.1

        1930년 대 초반에 프라하언어학파는 ‘언어문화(Language culture)’의 문제를 언어학 연구의 화두로 삼으며, 체코 언어사회 내에서 이미 오랫동안 불안정한 지위를 차지해 왔던 표준체코어를 육성할 이른바 ‘언어문화이론(Theory of Language Culture)’을 주창한다. 이 이론은, 1870년대에 체코어 보호의 목적으로 언어순수주의에 의해 만들어진 인위적인 언어규칙들을 제거하고 당대의 언어관습을 충분히 반영한 표준어규범의 성문화를 그 주요 목표로 삼았다. 이 이론의 핵심 원리들인 언어관습, 언어규범, 성문화 등은 한 언어권 내에 사용되고 있는 다양한 층위의 언어들의 육성보다는 특별히 언어의 통일성과 안정성을 중시하는 표준어의 우월적 지위를 확보하는 데 초점을 맞추었다. 이 이론 은 표준어만이 한 언어공동체의 수준 높은 언어문화를 이끌어 갈 수 있다고 보았는데 바로 이런 이유 때문에 언어문화이론을 표준어의 이론으로 부르기도 한다. 언어문화이론의 기본 골격을 이루는 언어의 공시성(Linguistic synchronicity) 원리는 언어의 순수성과 정확성을 결정짓는 하나의 규준으로 작용하였지만, 언어 공시성의 시간적 범위를 ‘최근 50년간의 언어관습’으로 제한하고 그 기간 동안에 훌륭한 작가의 명작에 사용된 체코어를 표준어의 규준으로 삼게 함으로써 이론의 경직성을 보여주었다. 이 학파는 또한 한 민족의 여러 가지 언어변이형 중에서 오직 표준어만이 다양한 의사소통의 분야에서 대표적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고 보고 표준어의 기능적 문체를 중시하였는데, 이는 프라하언어학파의 기능주의적 학풍을 잘 드러내주는 증거라 할 수 있다. 그러나 언어문화 이론의 원리에 따라 성문화된 표준어의 규범들은 사실 구어보다는 문어의 언어관습에 의존함으로써 체코어화자로 하여금 표준어를 적극적으로 사용하도록 유도하는 데 결국 실패하였다. 이러한 사실은 오늘날도 여전히 체코의 언어사회에 진행되고 있는 양층언어상황(Diglossia) 에 의해서도 입증될 수 있을 것이다. Prague Linguistic Circle was interested in the question of Language Culture, as a topic issue of Czech linguistic situation in the beginning of 1930s. In order to cultivate Standard Czech, they addressed primarily the unstable Czech language situation and founded the Theory of Language Culture. The theory aimed at removing mandatory language rules which Czech linguistic purists formulated in 1890s and at codifying the norm of standard language which adequately reflects contemporary language custom. The key principles of the theory such as language custom, language norm and codification etc. focused on consolidating prestige of standard language. Under consideration that only standard language is assumed to support linguistic uniformity and stability and to promote language culture of a language community, the theory took a serious view of functions of standard language, in this context the theory is sometimes labeled as the theory of standard language. The linguistic synchronicity which serves as a basic framework of the theory worked as a criterion for determining linguistic purity and accuracy, it showed however the rigidity of the theory since it confined the temporal scope to the recent 50 years’ language custom and limited the norm of Standard Czech to the Czech used mainly in ‘Good authors’ literature’. The linguists of the Prague School laid stress on the functional stylistics of standard language. This idea was based on the assumption that the only standard language performs the most effective function communication among all the other variants of the language. This demonstrates the fact that the theory is characterized mainly by functionalism. In the tradition of the theory of language culture, however, the codified norms of modern standard Czech still rely primarily upon the custom of written language rather than that of spoken language and consequently the written form of the language is not actively used by Czech native speakers. The chronic problem of language situation in Czech Republic, so called ‘Czech Diglossia’ is recently growing worse.

      • KCI등재

        체코의 언어순수주의와 양층언어 상황

        김인천(Inchon Kim) 한국외국어대학교(글로벌캠퍼스) 동유럽발칸연구소 2019 동유럽발칸연구 Vol.43 No.2

        언어순수주의는 오늘날까지 체코의 언어학에서 가장 오랫동안 논쟁의 중심에 서 있는 사회언어학적 주제이다. 체코의 언어순수주의가 근대 표준 체코어의 형성과 발달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는 것은 주지의 사실 이지만, 이와는 상반되게 현재 체코 언어사회가 겪고 있는 양층언어 상황의 근원이기도 하다는 부정적인 평가 역시 공존하고 있다. 본고는 체코 언어순 수주의의 일반 언어학적 의미를 논하기 위해 먼저 세 가지의 유형의 순수 주의 -의고화, 엘리트주의, 외국혐오증-로 분류하고 이 유형들이 시대적 전개과정에서 어떻게 발현되었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18세기 중반의 초기 언어순수주의자들과 1930년대 초의 프라하학파에 의해 ‘오염되고 타락한 체코어’로 비판받는 17세기~18세기의 바로크시기의 체코어의 언어자료를 바탕으로 오늘날 표준 문어체코어의 지위를 위협하는 공통체코어의 유사성을 확인하는 것은 의미 있다고 사료된다. 체코의 양층언어 상황에 대한 균형 잡힌 접근을 위해, 한편으론 표준어 발달의 과정에서 나타난 언어순수주의의 과도한 개입과 그 통시적 배경을 밝히는 것이 중요하며 다른 한편으론 언어의 기능을 강조하며 표준어 육성을 강조한 1930년대 초 프라하학파의 언어문화이론에 지나치게 편향되지 않는 객관적 태도를 견지하는 것이다. Linguistic purism has long been a contentious topic in Czech sociolinguistics. On the one hand, is has been widely recognized for its important role in the development of modern Standard Czech (spisovná čeština). On the other hand, it has been criticized as a factor contributing to the evolution of Czech diglossia over the past 100 years. Indeed, the current Czech language situation is generally described as irrelevantly diglossic. This paper considers some of the key issues of Czech linguistic purism, which is ultimately rooted in the specific extralinguistic conditions under which standard Czech originated. Czech linguistic purism stemmed from concerns due to the decline in the use of Czech language during the Baroque period and its replacement by German as the major language of discourse among the educated classes during the Habsburg rule. To capture the specifics of Czech purism, this paper identifies three types of linguistic purism - Archaizing, Elitist, and Xenophobic – and explores the relationship between Baroque phonemic representation of written Czech and actual sounds of modern spoken Bohemian dialects. This combined approach enables to explain some of the dominant issues of Czech diglossia, and provides an objective position to deal with the linguistic tradition of Common Czech and Standard Written Czech.

      • KCI등재

        체코어 소유여격(Dative of Possession)의 의미자질에 관한 연구

        김인천(Inchon Kim) 한국슬라브유라시아학회 2009 슬라브학보 Vol.24 No.4

        In the linguistic context, possession is a fundamental notion which may be defined as an asymmetric relationship between two referents, the possessor versus the possessee. It is a universal domain, that is, any human language can be expected to have conventionalized expression for it. Nevertheless, the linguistic possessive expressions don't seem to represent explicitly the cognitive nature of possession. The range of conceptual meaning of possession is too wide to be reduced to several possessive constructions. It can be represented by the various types of structure both within a particular language and in cross-linguistic comparison. There is a specific type of possessive construction in Czech. That is the so-called dative of possession, which appears, of course, not only in Czech but also in most of Slavic languages. According to the grammatical descriptions, the usage of this type of dative case in Slavic languages ranges from absent Ukrainian to widespread Czech. It is one of the types of free dative syntactically ungoverned by a verb. It is fundamentally the case category which is not assigned by a lexical property of a predicate. However, in some case it seems to be associated with the property of beneficiary and experiencer, the semantic roles of dative argument. Nevertheless, the dative of possession is generally considered to lack the prototypical semantic feature such as [+DIRECTIONAL to the object] and the peripheral feature [+BENEFACTIVE of the action or state of affairs]. It is rather assumed to have its proper feature [+POSSESSIVE]. This paper argues whether the dative of possession is used to express possession at all and if so whether it expresses solely possession or a more complex content, to what extent it possesses the proper feature [+POSSESSIVE] and which factors enables the appearance of this type of dative. In order to check the existence of the feature [+POSSESSIVE], four analytic manipulations are used as follows. (1) Compatibility between the dative of possession and the possessive determiners (2) Existence of the pragmatic feature [+EMPHATIC] differentiated from possessive determiners (3) Vagueness of boundary line between the dative of possession and dativus (in-)commodi (4) Co-occurrence (or double distribution) of both the dative of possession and possessive determiners. This paper proposes that unlike the possessive determiners, the dative of possession in Czech is assumed to have relatively week semantic feature of possession but the strong pragmatic feature [AFFECTEDNESS via POSSESSION] in other words, the speaker's empathy. The dative of possession which appears as the possessor of inalienable body parts shows relatively strong possessive feature.

      • KCI등재

        체코어의 좌향전위와 지시대명사

        김인천(Inchon Kim) 한국외국어대학교 동유럽발칸연구소 2018 동유럽발칸연구 Vol.42 No.3

        체코어는 기본적으로 SVO라는 무표적 어순의 언어이지만, 화제-초점 분(Topic-Focus Articulation)이라는 담화 형상성(discourse configurational language)이 지배적인 언어이다: 문장의 좌측 가장자리와 우측 가장자리에 있는 구조적 위치가 고유화제(proper topic), 대조화제(contrastive topic), 초점 (focus)이라는 특정한 담화 기능을 수행한다. 그러나 체코어 어순의 지배적 원리로 잘 알려진 소위 ‘기능문장관점(Functional Sentence Perspective)’에 따르면 화제는 단순히 발화구조에서 초점에 속하지 않는 나머지 부분으로 해석되는데 이러한 전통적인 이분법으로는 체코어 담화구조의 좌측에 나타나는 화제화를 효과적으로 설명하기 어렵다. 본고는 체코어 담화의 좌측 가장자리에 나타나는 언어 요소들의 화 제 자질을 점검하고자 [Spec, IP]을 전형적인 화제의 위치로 설정하고 전통적 개념의 화제를 세분화하여 좌측 가장자리가 화제만을 위한 절대적인 제약은 아니라는 주장을 하고자 한다. 본고는 또한 대용어 기능을 지닌 체코어의 지시대명사가 선행사와 지시적 결속관계의 유무에 따라 좌향전위 요소들의 화제성 자질 점검이 가능하며 동지시 관계에 있는 선행사는 절의화제가 될 수 없음을 밝힐 것이다. 결론적으로 기존의 선형적 배열의 개념보다는 구조적 위치(Structural position)라는 다른 관점에서의 접근이 협의의 화제를 정의하는 데 유의미한 논의를 제공한다고 판단한다. Czech linguists have long argued that Czech is assumed to be sensitive to Topic-Focus Articulation. According to such a traditional dichotomy of discourse, topic has been defined as the rests that do not belong to Focus. This kind of approach, however, hardly explains Czech topicalization of the left periphery of the Czech discourse structure. This paper tries to work towards a narrower definition of Czech topic, subdividing the types of topic such as proper topic, continuing topic, contrastive topic and focus. Assuming that the preposed [Spec, IP] is the structural position typical for topics, I try to analyze the close relation between individual topic and distributional constraints. In order to accomplish the goal of this paper certain diagnostics are necessary. Following Comrie(1997), I suggest that demonstrative pronouns in Czech require that their antecedents be non-topical and argue that elements which are not able to antecede a demonstrative pronoun in Czech are topical. Identifying the structural position of Czech topic, a disjunctive definition of topic can be proposed for Czech.

      • KCI등재

        체코어 정서법(正書法)의 원리와 발달사적 특징

        김인천(Kim Inchon) 한국외국어대학교 외국학종합연구센터 동유럽발칸연구소 2007 동유럽발칸연구 Vol.19 No.1

        오늘날의 체코 땅에서 시작한 문자의 역사는 대략 1100년이 넘은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실질적 의미의 현대 체코어의 발달사는 약 700 년 정도로 보는 것이 일반적인 견해이다. 이러한 사실은 최초의 체코어 문헌들 중에서 라틴어로 쓰인 문장이나 텍스트에 몇 개의 어휘나 짧은 문장 정도로 출현하는 체코어의 흔적이 아닌, 다소 긴 분량의 체코어 문헌이 나타난 시기를 13세기 중엽으로 보기 때문이다.1) 그리고 12세 기 초부터는 체코어가 자신의 최초의 문어 표현수단이었던 글라골 문 자의 사용을 포기하고, 언어 발생학적으로 다른 어군에 속하는 언어들 을 위해 만들어진 라틴문자를 완전 수용하기에 이르는데, 이러한 상황 은 이후에 진행될 수차례의 정서법(orthography)의 개혁을 예고하였 다: 체코어 텍스트 생성에 가장 적합한 라틴문자의 사용의 규칙을 만들 어 내기 위해 가장 원시적인 단계의 소위 “단순정서법 체계”부터 시작 하게 되었다. 이런 의미에서 볼 때 체코어의 정서법의 발달사는 단지 맞춤법과 직 접적인 연관이 있는 좁은 의미의 정서법의 역사만이 아닌, 문자의 사용 그리고 형태와 관련된 변천사, 즉 일정한 시대까지 사용되어온 문자를 다른 문자로 안정적으로 대체하는 문제를2) 다루는 정서법까지 포괄하 고 있다고 볼 수 있다. 이 논문은 체코어의 정서법을 지배하는 정서법의 원리들을 소개하 고, 그 생성에서부터 현대에 이르기까지 변천과정에 나타난 핵심 내용 들을 개괄적으로 논의함을 목적으로 한다. 체코어의 정서법에 대한 고찰을 통해, 우리는 체코어가 음소적 원리 를 정서법의 기본 원리로 삼고 형태론적 원리를 유표적(有標的)으로 적용한 근거를 찾게 된다. 이는 환경에 따라 달라질 수 있는 음성형태 들의 대해 시각적으로 동일한 문자 형태를 보존함으로써 한 어휘에서 파생된 형태소들에 대해 동일한 의미를 확보하기 위함으로 추정된다. 특히 이 원리는 체코어처럼 문법범주를 실현함에 있어 복잡․다양한 형 태적 변화를 요하는 굴절어에 특수하게 적용되는 정서법 원리라고 할 수 있겠다. Although the first alphabet system had been in use in the area around Czech 1100 years ago, it is a general view that the Czech language has been developing for approximately 700 years. This view is based on the fact that long Czech texts which are written in virtual Czech initially originated from the mid-thirteenth century, in contrast to several Czech sentences or short texts which are recorded in marginal notes or gloss of Latin texts until that time. Those kinds of texts, however, was not written in Glagolitic alphabet, the first unique letter system for Slavonic languages, but in Latin alphabet. Czech renounced the Slavonic literary tradition for a political reason and introduced Latin alphabet created for the different language families into its orthographic system. That is why the first Czech orthography started in a primitive and so simplex shape and needed a little radical reforms on several occasions to adapt Latin alphabet to Czech sounds system. In this context, the history of Czech orthography comprehends not only the development of the rules of spelling in a narrow sense but also the question of how to develop previously used inefficient letter system.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introduce several principles governing Czech orthography and to describe the brief history of the orthography from the diachronic viewpoint focused on the 6 periods in development of the Czech orthographic system - Primitive orthography, Digraphic orthography, Diacritic orthography, Brethren orthography, Modern orthography, Czech orthography revised edition in 1993. Under consideration of the types of Czech orthography, we assume that Czech adopted the morphological principle of orthography as its dominant principle in order to preserve constant morphs of grammatical morphemes (for instance case markers, that is, case endings), even in a linguistic circumstance where those morphemes are realized phonetically differently.

      • KCI등재

        Interference of Korean Syntax in Czech-Korean Interlanguage

        김인천(Kim, Inchon) 한국외국어대학교 동유럽발칸연구소 2013 동유럽발칸연구 Vol.33 No.-

        언어 유형론상 자신의 모국어와는 전혀 다른 체코어를 습득하는 한국학생들은 복잡한 체코어의 통사규칙을 배울 때 가장 큰 어려움을 겪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들은 체코어에 대한 언어지식이 전무한 단계에서 고급수준의 언어구사 단계로 진행하는 과정에서 소위 ‘한국어-체코어 중간언어’라는 자신들만의 특이한 언어를 발달시킨다. 즉 이 중간언어는 체코어 습득과정에서 한국학생들이 생성해낸 과도기적 언어형태로서 고유한 언어규칙을 갖고 있는 것이 특징이다. 모든 중간언어는 일련의 전형적인 오류 유형을 보이는데 그 오류의 가장 일반적인 근원은 모국어나 기타 학습자가 기존에 학습한 외국어일 가능성이 가장 높다. 한국학생들의 경우 가장 전형적인 오류는 전자의 경우 자신의 모국인 한국어 그리고 후자의 경우 영어에서 기인하는 것으로 잘 알려져 있다. 이 논문은 한국학생들이 체코어 습득 시, 문장을 구성할 때 나타나는 한국어 간섭을 연구대상으로 삼고 있다. 이러한 간섭현상을 밝히기 위해, 한국외국어대학교의 체코어 문법수업을 수강하는 학생들, 특히 초급과 중급 과정의 수강생들을 조사대상으로 삼았으며 그들이 직접 생성한 체코어 문장들에서 나타나는 6가지의 가장 일반적 오류유형을 분석하였다. 한국어-체코어 중간언어는, 한국학생들이 외국어를 학습할 때 실제 언어사용(Parole)에 입각해 언어지식을 습득하기 보다는 고립된 언어지식으로서의 언어체계(Langue)를 주로 학습하고자 하는 성향에서 비롯된 것으로 사료된다. Learning complicated and complex Czech syntactic rules presents one of the most serious problems and greatest challenges for Korean students when they start to acquire a language so completely different as Czech is from Korean. Korean students learning Czech develop a special language on their own which represents a transitional level between the stage of no knowledge and the stage of highly advanced knowledge of Czech, referred to as Korean-Czech interlanguage. This is gradually developing system of the language of Korean students which has its own set of rules. Naturally, a series of errors occur in any kind of interlanguage and the most common source of the errors appears to be attributed either to the mother tongue or to some other foreign language a learner had learned. For Korean students, the typical error source is Korean in the former case and English in the latter case. This paper considers the interference of Korean syntax in constructing Czech sentences. To identify this interference, authentic utterances of Korean students from Czech grammar classes (esp. for beginners and intermediate levels) at HUFS are used and 6 types of the most common errors are analyzed in this paper. The interference of Korean-Czech interlanguage is assumed to be resulted by the fact that Korean students learn the system (isolated knowledge of langue), but they lack experience and practice in speech (parole).

      • KCI등재

        Syntactic Conditions of the Non-projective Constructions in Czech

        Inchon Kim(김인천) 한국외국어대학교 동유럽발칸연구소 2017 동유럽발칸연구 Vol.41 No.1

        Recently non-projective structures have been widely studied across different languages. Non-projective constructions are common in natural languages, particularly frequent in morphologically rich languages with relatively free word-order like Czech. This paper investigates the issues of non-projective constructions in Czech. It illustrates several types of these constructions in Czech and discusses the factors and specific features causing deviations from projectivity such as motivation for these constructions. Movement of contrastive Topic to the initial position can be supposed that the flexible word order in Czech can be a decisive factor to require a non-projective left-moved node to be contrastive: it generally moves to the initial surface word-order position in the clause. 통사적 의존관계에 있는 문장의 구성성분들이 그 표면구조에서 서로 근접 위치에 자리하지 않고 불연속적으로 분포하는 소위 ‘통사적 비투사성’의 문제는 특히 최근에 들어 다양한 언어 유형에서 광범위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비투사적 구문은, 근본적으로 구절구조 규칙(Phrase-structure rules)에 의해 생성된 것으로 알려진 문장구조들에 대해 이론적 설명력을 보장해온 변 형문법이론(Transformational Theory)에 중대한 문제제기를 하고 있다. 소위‘의존문법(Dependency Grammar)’은 비투사구문에 분포한 직접구성성분(Immediate constituents)에 대해 근본적으로 다른 접근을 보이는데, 이는 구절구조문법에서 주장하고 있는 ‘정형절 동사가 모든 문장구조의 근원이며 주어-술어가 모든 문장의 최초의 분지 절점임’을 인정하지 않는다. 비투사구문은 자연언어 다양한 형태로 나타나는 매우 보편적인 통사적현상이며 특히 체코어와 같은 비교적 자유어순을 지닌 형태론이 발달한 언어에 매우 높은 빈도를 보이는 것이 특징이다. 이와 같은 관점에서 본 논문은 체코어의 비투사구문이 지닌 특수한 언어학적 문제들을 논의하고자 한다. 체코어에 나타나는 다양한 형태의 비투사구문의 유형을 분석하고 통사적 불연속성을 일으키는 주요한 요인들과 그 언어학적 의미들에 대해 분석하고자 한다.

      • KCI등재

        Types of Free Dative in Czech and Implications for Simplex Classification

        김인천(Kim, Inchon) 한국외국어대학교 동유럽발칸연구소 2008 동유럽발칸연구 Vol.21 No.1

        격은, 그 개념에 있어 현실 세계에 바탕을 두고 언어학적 의미를 구성하고 있 는 수, 시제, 인칭과는 달리 그 개념을 명료하게 정의하기가 어려운 명사의 문법 범주이다. 오늘날 격에 대한 연구가 가장 활발히 진행하고 있는 언어학파는 의 심할 바 없이 촘스키주의이다. 이들은 소위 지배·결속이론이라는 통사적 틀 속 에서 격을 한정하여 다루고 있으며 의미론이나 화용론적 접근은 원칙적으로 배 제하고 있다. 그러나 소위 자유여격이라는 격의 한 하위범주는 구조적 형상성보 다는 의미론이나 화용론과 밀접한 연관성을 지닌 문법범주이다. 자유여격은 격 배당자에 의해 지배를 받지 않으며 문장 내에서의 그 외현적 분포는 순수하게 의미와 화용적 동기로 말미암아 이루어지는 격이다: 자유여격의 유형 중 심성적 여격은 이러한 의미론과 화용론에 의존도가 가장 강하여 그 의미나 분포에 있어 전형적 자유여격의 특징을 보인다. 체코어는 자유여격이 존재하는 기타 슬라브 어들 중 그 유형이 매우 다양하고 자유여격과 지배여격을 구분하기가 상당히 어 려울 경우가 있다. 본 연구는 오랫동안 체코 언어학계가 사용해온 자유여격의 유형을 분류하는 방식을 보다 체계화하기 위한 한 방안으로 이분법적 분류방식을 제안한다. 이는 앞에서 언급한 자유여격의 일부 유형들이 지배의 성격을 일정정도 표출할 때 분 류체계에 발생할 수 있는 불일치성을 최소화하고자 다음과 같은 단순한 분류방 식을 모색한 것이다: 감정이입 여격 對비감정이입 여격 본 논문은 이러한 이분법적 분류방식의 합리성을 주장하기 위하여 각각 의미 론적 근거와 통사론적 근거를 제시할 것이다. 자유여격의 전형적 특징으로 알려 져 있는 자유로운 어순과 특히 접어그룹 속에서 아무런 어순상의 제약을 받지 않는 문장배치는 이러한 분류방식에 또 다른 근거를 제시할 수 있는 흥미로운 언어학적 현상일 될 수 있다. Case is the linguistic category hardly defined in a clear notion. Chomsky's approach to case is still dominant in recent trends of linguistics. Treatment of case in this framework is restricted almost entirely to discussions of syntax and is not considered under cognitive semantics or pragmatics. Free dative is the grammatical category which is involved in the semantics or pragmatics than structural configuration. This dative is not governed by its case assigner and its overt use in the sentence is motivated semantically or pragmatically: dativus ethicus as one of the uses of free dative is the typical example of strong dependence on semantics and pragmatics. There are various types of the free dative in Czech and in some cases it is difficult to recognize the boundary line between governed dative and free dative. This study tries to formulate the systematic classification of the types of free dative. To minimize the vagueness this paper suggests the simplex classification: Empathic dative vs. Non-empathic dative. It provides semantic and syntactic foundations for upholding the dichotomy. The final chapter discusses free word order within clitic clusters which is typical of the free dative.

      • KCI등재

        Ordering Constraints on Pronominal Clitics in Czech Ditransitive Constructions

        Inchon Kim(김인천) 한국외국어대학교 동유럽발칸연구소 2010 동유럽발칸연구 Vol.25 No.1

        ‘여격 대명사 접어 > 대격 대명사 접어’라는 어순은 이미 많은 언어에서 발견되는 하나의 언어 보편성이다. 이는 접어의 종류가 다양하게 나타나는 체코어에서, 복잡한 접어군(接語群)의 내적 어순을 지배하는 제약 중의 하나이기도 하다. 그러나 최근에 이중목적어 구문의 약자질(弱資質) 대명사의 어순을 통제할 수 있는 소위 ‘인칭-격 제약’이라는 새로운 이론적 접근이 등장하여 기존의 ‘DAT > ACC’라는 일반어순 규칙과 일정정도 상충을 일으키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본래 로망스어의 접어 어순을 적절하게 설명하기 위해 다소 엄격하게 적용되어 온 이 제약은, 이제 몇몇 신진 언어학자들을 중심으로 체코어를 비롯한 슬라브어에도 보편적으로 적용하려는 다소 무리한 시도로 인해 일반 언어학계에 주목을 받고 있다. 본 연구는, 인칭별 여격-대격의 조합이 나타나는 체코어 예문들의 분석을 통해, 대부분의 경우 체코어는 ‘인칭-격 제약’을 위반하고 있음을 입증하려고 한다. ‘인칭-격 제약’과 유사한 효과들이 나타나는 전형적인 접어의 유형으로는 {半접어, 半접어}, 또는 {純접어, 半접어}/{半접어, 純접어}의 조합이 가능하다. 하지만 이 또한 화용론적 측면에서 볼 때 그 언어 현실성이 현격하게 낮게 평가되고, 게다가 純접어 조합과 접어 인상구문은 소위 ‘수정 전략’에 따른 ‘대격 대명사 접어 > 여격 대명사 접어’라는 대체 어순을 허용하지 않는다는 사실이 본 연구의 주장을 뒷받침할 수 있겠다. ‘인칭-격 제약’은 어떤 엄격한 보편적 어순제약이라고 볼 수 없다. 이는 많은 언어에 보편적으로 적용되거나 한 언어의 접어어순을 절대적으로 지배할 수 있는 제약이 아니며 게다가 절대 위반되어선 안 되는 그런 어순제약도 아니다. 이는 단지 어떤 언어에 나타날 수도 있고 아닐 수도 있는 하나의 선호의 문제인 것이다. The universal sequence of pronominal clitics in DAT > ACC is found in many languages. This constraint governs the internal ordering of a Czech clitic cluster as well. However the recent restriction on the clitic ordering in ditransitive constructions, 'Person-Case Constraint' collides, to some extent, with the traditional acceptance of the sequence DAT > ACC. The constraint generated to properly explain the ordering of weak pronouns in Romance languages is assumed that Czech exhibits this constraint. The analysis of all the possible combinations of Czech clitics in Dative and Accusative case with all grammatical Persons says that in most cases, Czech violates this constraint even though it also displays Person-Case Constraint-like effect if clitics are combined in the set of {SEMI, SEMI}, or {PURE, SEMI}/{SEMI, PURE}. The pure-clitic combination and clitic climbing do not allow the alternative ordering ACC > DAT by ‘Repair Strategy’. Person-Case Constraint is not assumed to be a strict universal constraint. It is only as a preference rather than a universally inviolable constraint, which may or may not be reflected in a given languag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