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에 서식하는 고라니(Hydropotes inermis) 먹이식물의 미세조직분석법 적용 가능성 연구

        김의경 ( Eui Kyeong Kim ),박영철 ( Yung Chul Park ),원명 ( Won Myeong Kim ),종국 ( Jong Kuk Kim ) 한국환경생태학회 2012 한국환경생태학회지 Vol.26 No.2

        본 연구는 2006년 9월부터 10월까지 고라니가 주요하게 섭식하는 먹이식물에 대한 정보를 얻는데 있어 배설물에 포함된 식물세포의 미세조직분석 방법의 적용 가능성에 대해 조사하였다. 고라니 먹이식물의 미세조직분석을 위해 배설물로부터 고구마, 딸기, 콩, 칡 등 4가지 식물의 배설물 식물세포를 준비한 후 이들의 세포를 대조식물세포의 세포와 비교하여 검증하였다. 배설물 식물세포의 4가지 식물종의 세포는 모용의 기저 세포의 형태와 선단의 모양, 표피세포의 형태, 기공복합체의 구성 및 세포 모양, 장세포의 나열 형태와 세포에 포함되어 있는 결정체의 유무로 식물의 동정이 가능하였다. 배설물 식물세포와 대조식물세포를 비교 분석한 결과 배설물에서 나온 식물의 세포와 대조 식물세포에서 발견된 식물의 세포는 모용, 표피세포, 기공, 장세포가 모두 동일한 형태를 지니고 있었다. 이러한 방법을 적용하여 고라니의 섭식 식물종과 연관된 세포 도감을 작성한다면 향후 고라니 및 유사 초식동물들의 식이습성을 및 기후변화에 따른 행동생태 연구에 유용할 것이다.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application of microhistological analysis to collect information on food materials of korean water deer from september to October 2006. For microhistological analysis we extracted type-materials of 4 plant species (Ipomoea batatas, Rubus coreanus, Glycine max, and Pueraria thunbergiana) from fecal pellets of korean water deer (Hydropotes inermis) and then made preparations of the fecal materials for microscopic analysis. The fecal preparations were compared with reference preparation under the microscope. In microscopic analysis of fecal preparations, we could identify the four plant species by the followings: tip shape and morphology of trichomes, epidermal cell, morphological composition and shape of stomatal apparatus, arrangement of long-cell, and distribution of crystals in cells. According to the comparisons of the preparations, the morphology of trichome, epidermal cell and stomata are similar between both preparations of the fecal pellets and the references, respectively. This methodology will contribute to understanding feeding behavior and behavioural ecology by climate change of other hervibores as well as korean water deers.

      • KCI등재후보

        서식지 환경에 따른 고라니의 행동생태 연구

        김의경(Eui-Kyeong Kim),태근(Tae-Geun Kim),혜리(Hye Ri Kim),임상진(Sang Jin Lim),박영철(Yung Chul Park) 국립공원연구원 2021 국립공원연구지 Vol.12 No.2

        설악산국립공원 장재터 사람 거주지 인근 지역의 농경지에서 서식하는 고라니와 양구생태식물원의 산림 임연부 지역에서 서식하는 고라니의 행동권와 활동패턴을 조사하였다. 설악산국립공원 장재터에 서식하는 고라니의 행동권은 0.176㎢(Kermel 95%)이며 이중 중심지역은 0.039㎢(Kermel 50%)였다. 서식지가 잘 보전된 양구생태식물원 고라니의 행동권은 0.597㎢(Kernel 95%), 중심지역은 0.129㎢(Kernel 50%)였다. 고라니의 일일 행동권의 평균 면적은 장재터에 서식하는 고라니의 경우 0.041±0.031㎢였으며 평균 이동거리는 50m이하로 활동이 활발한 시간은 6시, 12시, 19시, 22시였다. 양구생태식물원에 서식하는 고라니의 일일행동권 평균 면적은 0.134±0.058㎢였고, 평균 이동거리는 100m이상으로 15시에 가장 활발한 활동을 나타냈고 13시부터 17시 사이에 활동이 집중되었다. 인위적 교란이 있는 설악산국립공원 장재터에 서식하는 고라니와 서식지가 잘 보전된 양구생태식물원에 서식하고 있는 고라니의 행동권 및 행동 특성은 차이를 나타냈다. Home range and daily activity have been monitored in a water deer (Hydropotes inermis) which lives in farm place near Jangjaeteo of Seoraksan National Park and another water deer which inhabits the forest edge of the mountains in Yanggu Eco-Botanical Garden. The home range of the water deer in Jangjaeteo is 0.176㎢ (Kermel 95%) with core area of 0.039㎢ (Kermel 50%), whereas home rang and core area of the water deer in Yanggu Eco-Botanical Garden is 0.597㎢ (Kernel 95%) and 0.129㎢ (Kernel 50%), respectively. Average area of daily home range of the water deer in Jangjaeteo was 0.041±0.031㎢ and average distance of daily migration range was under 50m and the time when the water deer has shown high activity was 6:00, 12:00, 19:00, and 22:00. The average area of daily home range of water deer in Yanggu Eco-Botanical Garden was 0.134±0.058㎢ and average distance of migration range was higher than 100m. They become active mainly from 13:00 to 17:00 with highest activity at 15:00. Use pattern of home range and daily activity pattern exhibited difference between the water deer which lives in the disturbed habitats in Jangjaeteo and that which inhabits well-conserved habitats in Yanggu Eco-Botanical Garden.

      • 조선 왕릉의 육상 포유류상 조사

        김의경(Eui-Kyeong Kim),혜리(Hye-Ri Kim),박영철(Yung-Chul Park) 국립공원연구원 2010 국립공원연구지 Vol.1 No.3

        본 연구는 2010년 7월부터 9월까지 조선왕릉 3개 지역(사릉, 장릉, 융·건릉)에 서식하고 있는 포유류의 현황을 조사하였다. 이번 조사 지역에 서식이 확인된 포유류는 두더지(Mogera robusta), 족제비(Mustela sibirica), 너구리(Nyctereutes procyonoides), 개(Canis familialis), 고양이(Felis catus), 청설모(Sciurus vulgaris), 다람쥐(Tamias sibiricus), 등줄쥐(Apodemus agrarius), 고라니(Hydropotes inermis), 멧토끼(Lepus coreanus)로 총 5목 8과 10종이다. 모든 조사지역에서 발견된 포유류는 다람쥐, 청설모, 두더지, 고라니 였다. 소형 포유류인 등줄쥐의 밀도는 장릉이 0.65개체로 가장 높았다. We surveyed terrestrial mammal fauna in the royal tombs of the Joseon Dynasty (Sareung, Jangneung, Yungneung and Geolleung) from July to september 2010. In the survey we found 10 mammal species. They belonged to eight families and five orders, which consist of Mogera robusta, Mustela sibirica, Nyctereutes procyonoides, Canis familialis, Felis catus, Sciurus vulgaris, Tamias sibiricus, Apodemus agrarius, Hydropotes inermis, and Lepus coreanus. Three species of Mogera robusta, Hydropotes inermis, Sciurus vulgaris and Tamias sibiricus were found in all survey area. Results of the survey showed that population density of Apodemus agrarius was highest in the Jangneung (0.65 individual per 100 m2).

      • 제1분과 : 국립공원 ; 국립공원의 야생동물 로드킬 발생 특성 연구

        김의경 ( Eui Kyeong Kim ),태근 ( Tae Geun Kim ) 한국환경생태학회 2013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지 Vol.2013 No.2

        로드킬(Road-kill)은 야생동물의 서식 지역에 개설된 도로를 횡단하거나 이동하는 중에 야생동물이 주행중인 차량과의 충돌에 의하여 죽거나 다치는 현상으로 국립공원을 관통하는 도로가 개설됨에 따라 야생동물의 서식지가 단절됨으로써 야생동물이 먹이 획득, 번식 등 서식지간 이동을 위해 도로를 이용하는 과정에서 로드킬이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국립공원에서 발생하고 있는 야생동물 로드킬의 자료 분석을 통해 로드킬을 효과적으로 저감할 수 있는 관리방안을 마련하고자 실시하였다. 국립공원 내를 통과하는 도로 중 로드킬 발생 위험이 높은 16개 공원 41개 노선을 대상으로 2006년부터 2012년까지 실시된 야생동물 로드킬 모니터링 데이터 중 포유류, 조류, 양서류, 파충류에 대해 연도별, 월별, 구간별 로드킬 발생현황을 분석하고 분석 결과에 따른 로드킬 발생 위험도를 5등급으로 구분하였으며 로드킬 위험도가 가장 높은 5등급구간을 대상으로 로드킬 저감을 위한 관리방안을 제시하였다. 국립공원에서 2006년부터 2012년까지 발생한 로드킬의 전체 발생현황은 포유류 2,074개체, 조류 351개체, 양서류2,330개체, 파충류 782개체로 총 5,537개체이며 전체 로드킬 분석결과 양서류의 로드킬이 2,330개체로 가장 많이 발생하였으나 2006년 986개체가 발생한 이후 국립공원관리 공단의 자체적인 저감 시설물인 생태통로 조성이후 급격히 감소하였고 포유류의 로드킬 발생은 매년 일정한 개체수가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으며 전체 포유류 2,074개체 중 다람쥐가 1,240개체(59.8%)로 가장 많이 로드킬 당하였다. 로드킬 발생 위험도가 V등급(매우높음)인 구간은 월악산국립공원 지방도 597호선, 오대산국립공원 국도 6호선, 덕유산국립공원 국도 37호선, 지리산국립공원 지방도 861호선(남부사무소), 오대산국립공원 지방방도 446호선, 지리산국립공원 지방도 861호선(북부사무소), 속리산국립공원지방도 517호선, 내장산국립공원 군도 16호선(백암사무소)으로 나타났으며 로드킬 저감을 위한 로드맵 작성 결과 저감 대책 구간 2순위인 오대산국립공원의 국도 6호선은 2009년부터 최근까지 로드킬이 발생이 가장 많은 지역으로 소형포유류의 로드킬 발생 저감을 위한 시설물 설치가 우선필요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각 분류군별 로드킬 발생 특성을 생태학적 특성에 따라분석한 결과 포유류의 로드킬은 다람쥐의 번식기인 5월말부터 6월 그리고 새끼들이 산림내 활동을 시작하는 분산시기 및 겨울철 동면을 준비하기 기간인 9월부터 10월 사이에 로드킬 이 가장 많이 발생하였으며 양서류의 로드킬 발생은 산란을 위해 이동하는 3-5월에 가장 많이 발생하고 북방산개구리가 가장 많이 로드킬 당하는 4월에 발생률이 가장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파충류의 로드킬 발생은 뱀류가 대사활동에 필요한 열을 이용하기 위해 도로의 아스팔트에 머무는 시간이 많은 8월부터 10월에 집중적으로 발생하며 가을철인 9월에 로드킬 발생률이 가장 높았고 조류의 로드킬 발생은 여름철새가 도래하는 4월부터 번식기 이후인 8월에 집중적으로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립공원에서 발생하고 있는 야생동물의 로드킬을 저감하기 위해서는 야생동물의 생태특성 및 분류군별 대상종에 따른 저감 방안 마련과 기관간 협의를 통한 차량의 속도제한 방안 마련이 검토되어야 하며 로드킬 저감을 위한 시설물 설치 및 차량 속도 제한 등의 저감 대책 마련 이후의 지속적인 모니터링 실시를 통하여 가장 효율적인 저감 방안에 대한 효과 분석 연구가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 KCI등재후보

        잣나무임지 내 청설모(Sciurus vulgaris coreae)의 행동권 및 일일 행동 특성

        김의경(Eui-Kyeong Kim),유병호(Byung-Ho Yoo),원명(Won-Myeong Kim),박영철(Yung-Chul Park),종국(Jong-Kuk Kim) 국립공원연구원 2011 국립공원연구지 Vol.2 No.2

        본 연구는 청설모에 의한 잣구과 피해를 방지하고 효율적인 개체군 밀도 유지를 위한 과학적인 기초자료를 마련하기 위해 2003년 3월부터 2004년 6월까지 우리나라 잣나무림에 서식하고 있는 청설모(Sciurus vulgaris)의 행동 특성에 대한 연구를 실시하였다. 청설모의 행동권은 2±1 ha였으며 세력권은 1.4±0.7 ha로 잣나무림 내 안정적인 세력권을 형성하고 있었다. 서식지내에서의 일일 활동 시간은 여름철과 가을철에 오전 과 오후에 각각 1회씩 활동지수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실험실내 최초 활동시간은 월별 일출 시간에 따라 최초의 활동시간도 조금씩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서식지별 ha당 서식밀도는 잣나무 임지에서 1.1개체로 임도 지역의 0.9개체 보다 조금 높게 나타났다. This study investigates the behavioral characteristics of Sciurus vulgaris coreae inhabiting in pine forest in Korea from March, 2003 till June, 2004 to prevent damage on pine cones caused by Sciurus vulgaris coreae and establish scientific foundational data to maintain the density of population efficiently. Sciurus vulgaris coreae home range was 2±1 ha, and their scope of power was 1.4±0.7 ha, so they built a stable scope of power in the pine cone forest. Regarding the daily activity hours in the habitat, they showed a high activity index separately once in the morning and in the afternoon during summer and winter. About the initial activity hours in the lab, there was slight difference of initial activity hours by the time of sunrise of each month. And the population density per ha in the habitat was 1.1 population in the pine forest, so it was slightly higher than 0.9 population of the forest road.

      • KCI등재후보

        백두대간 내 국립공원에 서식하는 육상 포유류상

        김의경(Eui-Kyeong Kim) 국립공원연구원 2010 국립공원연구지 Vol.1 No.2

        본 연구는 백두대간을 포함하는 국립공원에 서식하고 있는 포유류의 분포현황을 파악하기 위해 기존에 발표되었던 국립공원의 문헌을 인용하여 조사하였다. 백두대간 내 국립공원의 포유류는 총 6목 15과 44종으로 조사되었으며 공원내에 서식하고 있는 포유류의 목별 구성은 식육목(4과 12종)과 쥐목(2과 12종)이 27.3%로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였다. 환경부 지정 멸종위기종은 12종으로 급인 늑대(Canis lupus), 여우(Vulpes vulpes), 반달가슴곰(Ursus thibetanus), 수달(Lutra lutra), 표범(Panthera pardus), 사향노루(Mochus moschiferus), 산양(Neamorhaedus caudatus), 붉은박쥐(Myotis formosus)과 급인 담비(Martes flavigula), 무산쇠족제비(Mustela nivalis), 삵(Prionailurus bengalensis), 하늘다람쥐(Pteromys volans)가 서식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The study surveyed distribution of mammalia species which inhabit of Korea national parks in baekdudaegan by previous reports of Korea national park. The Mammalia surveyed 44species, 15 families, 6 orders in national parks in baekudaegan. The most composition radio of orders of Korea navtional parks in baedudaegan showed Carnivora(12 species, 27.3%) and Rodentia(12species, 27.3%). The Endangered species designated from Ministry of Environment investigated 11 species(Level I 8species : Canis lupus, Vulpes vulpes, Ursus thibetanus, Lutra lutra, Panthera pardus, Mochus moschiferus, Naemorhaedus caudatus, Myotis formosus; Level II 4species : Martes flavigula, Mustela nivalis, Prionailurus bengalensis, Pteromys volans).

      • KCI등재

        교무업무시스템에서의 개인정보보호를 위한 역할기반 접근 제어 확장

        보선(Bo-Seon Kim),의경(Eui-Kyeong Hong) 한국정보과학회 2008 정보과학회 컴퓨팅의 실제 논문지 Vol.14 No.2

        사용자가 많은 대규모 기업 조직 시스템이나 전자정부시스템에서 사용자의 정보 객체에 대한 접근을 제한하는 효과적인 방법으로 역할기반 접근 제어(RBAC: Role based Access Control)를 들 수 있다. 이는 사용자에게 정보 객체의 접근권한을 직접 부여하는 것이 아니라 조직에서 정의된 역할을 부여함으로써 정보 객체에 접근한다는 개념이다. RBAC는 개인정보에 대한 접근 제어는 가능하나 법제도적으로 규정하고 있는 자기정보결정권 및 조직의 개인정보에 대한 관리감독 규제의 개념은 반영되어 있지 않다. 본 논문에서는 교무업무시스템에 저장되어 있는 학생자료에 대한 접근 제어 및 개인정보보호 수단으로 RBAC 확장모델을 제시하고자 한다. RBAC 시스템에 개인정보 접근권 및 참여권을 반영하기 위하여 자료권한과 자료권한 배정 구성요소를 추가하고, 이를 통해 개인정보의 흐름 및 관리 감독체제의 구축이 가능하도록 설계한다. 또한 RBAC 구성요소별 개인정보보호 개념을 추가하고, 확장된 모델을 바탕으로 시스템 구현 사례와 기존 RBAC와의 비교 평가를 통해 시스템의 중요성과 차별성을 제시한다. RBAC(Role based Access Control) is effective way of managing user's access to information object in enterprise level and e-government system. The concept of RBAC is that the access right to object in a system is not directly assigned to users but assigned by being a member of a role which is defined in a organization. RBAC is utilized for controling access range of privacy but it does not support the personal legal right of control over information and right of limited access to the self. Nor it contains the way of observation of privacy flow that is guided in a legal level. In this paper, extended RBAC model for protecting privacy will be suggested and discussed. Two components of Data Right and Assigning Data Right are added to existed RBAC and the definition of each component is redefined in aspect of privacy preservation. Data Right in extended RBAC represents the access right to privacy data. This component provides the way of control over who can access which privacy and ensures limitation of access quantity of privacy. Based on this extended RBAC, implemented examples are presented and the evaluation is discussed by comparing existed RBAC with extended RBAC.

      • KCI등재
      • 임가의 소득격차와 임가 특성과의 관계

        보경 ( Bo-kyeong Kim ),동현 ( Dong-hyun Kim ),김의경 ( Eui-gyeong Kim ) 한국산림경제학회 2018 산림경제연구 Vol.25 No.2

        소득불평등의 문제점은 소득이 높은 집단의 소득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소득이 낮은 집단의 소득은 지속적으로 감소한다는 것에 있다. 이 연구의 목적은 사회경제적 특성에 따른 소득격차가 전체 임가소득의 소득격차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2007년과 2015년의 양극분위비율 변화를 살펴 보았다. 그 결과 60대 이상의 임가, 부업임가, 밤나무재배업, 버섯재배업, 10ha 이상의 산림을 소유한 임가의 소득격차가 전체 임가소득의 소득격차에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roblem of income inequality is that the income of the high income group is steadily increasing and the income of the low income group is steadily decreasing. This study aims to clarify how the income gap of socioeconomic characteristics affects the income gap of forestry household income. For this purpose, examined the changes in top-bottom quintile ratio of 2007 and 2015. The research results shows that the income gap over the forestry households of ‘60 age over’, ‘side-business’, ‘chestnut tree’, ‘Mushroom cultivation’ and ‘10ha over owned’ has a significant effect on the income gap of whole forestry household income.

      • GIS를 활용한 국립공원의 종 다양성에 관한 생물기후학적 영향 분석

        태근(Tae Geun Kim),정종철(Jong-Chul Jeong),김의경(Eui-Kyeong Kim),조영환(Young Hwan Cho) 국립공원연구원 2012 국립공원연구지 Vol.3 No.4

        본 연구는 국립공원의 종 다양성에 대한 생물기후학적 영향을 평가하기위해 종 다양성지수와 생물기후변수자료의 단순상관분석을 통해 수행하였다. 종 다양성지수는 2 km × 2 km 정방형 면적에 포함되는 국립공원에서 1998년부터 2008년까지 조사된 생물종 수와 개체수에 Point to Grid 방법을 적용하여 산출된 Shannon-weaver 지수값을 이용하였다. 기후변수로는 기온과 강수량 자료(1970~2010)에 공간분석기법을 적용하여 변환한 19개의 생물기후 변수자료를 이용하였다. 생물 분류군의 구분 없이 산출된 전체 종 다양성 지수는 기온과 음의 상관성을 갖고 강수량에 양의 상관성을 갖지만 전반적으로 생물기후변수와 상관성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달리 분류군별 구분하여 계산된 종 다양성 지수는 생물기후변수에 따라 매우 다양한 형태의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이와 같이 상관계수의 크기와 방향을 보면 분류군 전체를 대상으로 한 결과보다 분류군별 상관관계가 생물기후변수별 상대적으로 높고 다양한 형태로 나타났다. 이는 분류군마다 생물종에 적합한 지역의 기후환경이 다를 수 있다고 판단된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국립공원에서 생물종이 서식하는 지역의 기후환경 특성에 따른 생물다양성 변화에 대한 이해를 도울 수 있고 기후변화가 생태계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는 기초자료로 활용가능하리라 기대된다. In order to evaluate the effect of bioclimate on the biodiversity of national parks, this study conducted a simple correlation analysis of the species biodiversity index and bioclimate variables data. Regarding the species biodiversity index, This study used Shannon-weaver index values that were calculated by applying the Point to Grid method to the number of species and individual that were surveyed in national parks from 1998 to 2008. 19 bioclimate variables data that were converted by applying a spatial analysis technique to temperature and rainfall data (1970~2010) were used. The species diversity index that was calculated without classifying taxonomic groups appeared to be positively correlated with rainfall but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temperature, while there have no correlation with the bioclimate variables overall. Meanwhile, the species diversity index that was calculated according to taxonomic group showed very diverse types of correlation according to the bioclimate variables. As such, in looking into the size and direction of correlation, the correlation with each taxonomic group appeared to be relatively higher and more diverse according to bioclimate variables than results from the entire taxonomic group. This is assumed to be because the climate environment of a region appropriate for the species may be different according to taxonomic group. Such research results should help to provide an understanding of the variability of biodiversity according to the climate-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of a region inhabited by species in national parks and may be utilized as basic data for evaluating the effect of climate change on an ecosyste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