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기억상실형 경도인지장애 환자 담화의 전체통일성 분석 및 관련 인지기능

        김보선(Bo Seon Kim),용범(Yong Bum Kim),향희(HyangHee Kim)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018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Vol.23 No.4

        배경 및 목적: 전체통일성 측정은 통일성의 유지 정도에 따라 각 발화에 점수를 주어 평균을 산정하는 방법, 전체통일성을 저해하는 발화를 오류로 보아 그 비율을 산정하는 방법, 담화의 전체통일성 유지 정도에 따라 전체점수를 주는 방법이 있으며, 이 중 효율적인 측정 법에 대한 결론을 도출하기 어렵다. 따라서 본 연구 목적은 세 가지 전체통일성 측정법을 여러 담화과제에 일관적으로 적용하여 기억상 실형 경도인지장애(amnestic mild cognitive impairment, aMCI) 환자와 정상노년층의 발화를 비교하고, 세 가지 측정법 중 aMCI와 정상군 간 차이가 있는 측정법이 무엇인지를 모색하고, 전체통일성과 관련된 인지기능을 조사한다. 방법: 정상노년층 20명과 aMCI 환자 20명을 대상으로 공분산분석을 통해 전체통일성 수행 정도를 비교하였다. 또한, 로지스틱 회귀분석으로 민감도와 특이도를 이용한 절단값을 구하였다. 편상관분석을 통해 전체통일성에 관여하는 인지기능도 조사하였다. 결과: 세 가지 측정법 중 전체통일성 지수와 오류 비율이 환자군과 정상군 간 차이가 있었으며, 로지스틱 회귀분석으로 위 두 측정법의 변별정확도를 확인하였다. 환자군의 전체통일성은 즉각기억 및 의미유창성 점수와 관련이 있었다. 논의 및 결론: 담화상에서 부적절한 자기중심적 발화, 앞 내용의 반복이 많이 포함되 며, 30% 이상의 오류비율을 보일 경우 aMCI일 가능성이 높다. 또한, 절단값 이하의 수행은 의미-화용론적인 손상, 단기기억 및 집행기 능의 감퇴를 반영한다. Objectives: Global coherence measures include a mean score of utterances according to the degree of theme maintenance, a method of estimating the ratio of utterances that inhibit coherence, and a subjective rating score given whole discourse (i.e., a global coherence index, an error rate, a subjective rating score).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to compare scores of three measures between patients with amnestic mild cognitive impairment (aMCI) and the normal elderly; to find out adequate global coherence measure among them; and to investigate cognitive functions which are associated with global coherence. Methods: Analysis of covariance was used for the group comparison between 20 patients with aMCI and 20 normal elderly. Measures were investigated through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and receiver operating characteristic curve, and then cut-points were computed with sensitivity and specificity. Partial correlation analysis was used for finding out cognitive functions related with global coherence. Results: Significant group differences were found in a global coherence index and an error rate. Th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resulted in significantly lower global coherence index and significantly higher error rate of aMCI compared to the normal elderly. Cognitive functions which were associated with three measures were immediate recall and semantic verbal fluency. Conclusion: Discourses of aMCI are liable to be irrelevant, egocentric, and repetitive, or have more than 30% error utterances. Scores under the cut-points imply communicative and semanticpragmatic declines of language use, and reduced memory and executive functions. These linguistic and cognitive impairments are reflected in global coherence of aMCI.

      • KCI등재

        읽기 및 쓰기 중재가 치매환자의 어휘산출 능력에 미치는 영향

        김보선 ( Kim Bo-seon ),이미숙 ( Lee Mi-sook ) 대구대학교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2019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Vol.58 No.2

        치매환자의 진행적인 언어감퇴 때문에 치료 현장에서의 중재와 치매시설에서 활용할 수 있는 중재방법을 연결하는 치매 언어중재 프로그램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의 목적은 첫째, 본 연구에서 고안된 읽기 및 쓰기 중재절차를 진행하면서 시간이 경과됨에 따라 그 수행력을 비교하여 중재효과를 알아보고자 한다. 둘째, 읽기 및 쓰기 중재가 치매환자의 어휘산출 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본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경도 및 중등도의 치매진단을 받은 환자 7명이었으며, 읽기와 쓰기 중재가 가능한 문해력이 있는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본 치매환자들을 대상으로 읽기 및 쓰기를 활용한 5단계로 구성된 중재가 시행되었다. 사전-사후 비교 설계를 위해 중재 전과 후에 의미유창성 검사(동물이름대기)와 K-BNT-15(Short Form of the Korean Version-the Boston Naming Test)가 실시되었다. 연구 결과, 중재절차가 반복됨에 따라 읽기 및 쓰기 중재의 정반응률이 증가하여, 본 중재의 학습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의미유창성과 K-BNT-15의 사전-사후 검사 결과 유의미하게 수행력이 증가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경도 및 중등도의 문해력이 있는 치매환자에게 적용 가능한 읽기와 쓰기를 활용한 중재절차를 제시하였고, 그 효용성을 어휘산출 능력의 향상을 통해 입증하였다. 이에 본 절차를 적용하여 임상에서의 중재 자료로 읽기와 쓰기를 활용함과 동시에, 치매환자의 사회참여도 증진 및 자아상을 회복시키는 역할도 기대해 볼 수 있을 것이다. Due to progressive language decline in people with dementia, there is a growing need for a language intervention program in facilities as well as in clinical settings for people with dementia.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1) to investigate the learning effect of reading and writing intervention designed in this study on the performance of reading and writing protocol over time; and 2) to examine the effect of reading and writing intervention on the word retrieval abilities of dementia. The participants were 7 patients who were diagnosed with mild to moderate dementia and could read and write. A five-step intervention protocol was conducted for participants during 6 months. For the pretest-posttest design, a semantic verbal fluency test (animal) and the short form of the Korean version-the Boston Naming Test (K-BNT-15) were conducted. As a result, the average proportion of correct responses by months increased, indicating that this protocol had a learning effect over time. In addition, the performance of the verbal fluency test and K-BNT-15 significantly increased. This study presented an intervention protocol using reading and writing that is applicable to people with mild to moderate dementia, and its efficiency was verified by improved word retrieval ability. Therefore, this protocol can be applied to intervention for people with dementia, who can make use of remained reading and writing abilities, and expected to improve social participation and recovery of self-image of people with dementia.

      • KCI등재

        치매환자 담화분석의 최근 연구동향

        김보선(Bo Seon Kim),향희(HyangHee Kim) 한국콘텐츠학회 2015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5 No.9

        담화분석은 치매환자의 발화특성을 알아보거나, 환자군을 변별하는 데 있어서 그 효용성이 입증되었다. 그러나 기존의 담화연구들에서 활용된 과제, 전사법, 측정요인들이 서로 상이하므로, 체계적이고 일관적인 분석이 이루어지지 않아 해석을 도출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본 연구는 치매환자의 담화과제, 전사법, 측정요인들을 조사하여 향후 담화분석에 도움이 되고자 하는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에, 스코퍼스(Scopus)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2005년부터 2014년도까지 치매 환자의 담화를 분석한 연구들이 조사되었다. 그 결과, 첫째, 치매환자를 대상으로 가장 많이 쓰인 담화과제는 ‘주제에 대해 이야기하기’이었다. 둘째, 전사과정에서 일관된 전사규약(transcription conventions)을 적용하는 경우, 좀 더 신뢰성 있는 전사자료를 얻을 수 있었다. 셋째, 담화측정요인들은 담화처리모델에 따라 통일성, 응집성, 생산성, 명제?통사?사전분석, 유창성의 영역들로 범주화되며, 각 범주는 담화처리단계(즉, 개념형성단계, 명제처리단계, 자연언어단계)에 속하였다. 결론적으로, 향후의 담화연구는 치매유형 및 특징에 따라 담화과제를 선정하고, 분석의 신뢰성을 위해 일관된 전사규약을 적용해야 할 것이다. 또한, 담화처리이론에 바탕을 둔 측정을 통해, 담화연구의 해석이 체계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할 수 있다. Discourse analysis is useful for examining discourse characteristics of dementia patients and differentiating them from normal adults. However, inconsistent tasks, transcription methods and measures have been utilized, thus analyses were inevitably unsystematic.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asks, transcription methods and measures of discourse studies in dementia. Studies on dementia discourses written in English were collected via Scopus database containing abstracts and citations from 2005 to 2014, and were analyzed in detail. From the results, the most frequently used task was ‘storytelling-topic’. It was observed that use of consistent transcription conventions rendered more reliable transcription data. Measures could be categorized into coherence, cohesion, productivity, propositional?syntactic?lexical analysis, and fluency, and each category belonged to discourse processing levels (i.e., processing of conceptual networks, propositions, and natural language units). In conclusion, future research warrants not only utilization of discourse tasks depending on dementia types and features, but also application of consistent transcription conventions. Additionally, measures based on the discourse processing theory would enable us to systematically interpret discourse studies.

      • KCI등재

        교무업무시스템에서의 개인정보보호를 위한 역할기반 접근 제어 확장

        김보선(Bo-Seon Kim),홍의경(Eui-Kyeong Hong) 한국정보과학회 2008 정보과학회 컴퓨팅의 실제 논문지 Vol.14 No.2

        사용자가 많은 대규모 기업 조직 시스템이나 전자정부시스템에서 사용자의 정보 객체에 대한 접근을 제한하는 효과적인 방법으로 역할기반 접근 제어(RBAC: Role based Access Control)를 들 수 있다. 이는 사용자에게 정보 객체의 접근권한을 직접 부여하는 것이 아니라 조직에서 정의된 역할을 부여함으로써 정보 객체에 접근한다는 개념이다. RBAC는 개인정보에 대한 접근 제어는 가능하나 법제도적으로 규정하고 있는 자기정보결정권 및 조직의 개인정보에 대한 관리감독 규제의 개념은 반영되어 있지 않다. 본 논문에서는 교무업무시스템에 저장되어 있는 학생자료에 대한 접근 제어 및 개인정보보호 수단으로 RBAC 확장모델을 제시하고자 한다. RBAC 시스템에 개인정보 접근권 및 참여권을 반영하기 위하여 자료권한과 자료권한 배정 구성요소를 추가하고, 이를 통해 개인정보의 흐름 및 관리 감독체제의 구축이 가능하도록 설계한다. 또한 RBAC 구성요소별 개인정보보호 개념을 추가하고, 확장된 모델을 바탕으로 시스템 구현 사례와 기존 RBAC와의 비교 평가를 통해 시스템의 중요성과 차별성을 제시한다. RBAC(Role based Access Control) is effective way of managing user's access to information object in enterprise level and e-government system. The concept of RBAC is that the access right to object in a system is not directly assigned to users but assigned by being a member of a role which is defined in a organization. RBAC is utilized for controling access range of privacy but it does not support the personal legal right of control over information and right of limited access to the self. Nor it contains the way of observation of privacy flow that is guided in a legal level. In this paper, extended RBAC model for protecting privacy will be suggested and discussed. Two components of Data Right and Assigning Data Right are added to existed RBAC and the definition of each component is redefined in aspect of privacy preservation. Data Right in extended RBAC represents the access right to privacy data. This component provides the way of control over who can access which privacy and ensures limitation of access quantity of privacy. Based on this extended RBAC, implemented examples are presented and the evaluation is discussed by comparing existed RBAC with extended RBAC.

      • KCI등재

        인지-의사소통장애 간편검사 개발을 위한 예비연구: 연령별 담화 수행과 인지기능의 상관성

        김보선 ( Kim Bo-seon ),이미숙 ( Lee Mi-sook ) 대구대학교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2020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Vol.59 No.4

        노년층의 담화 수행에 관여된 인지기능을 살펴보는 것은 인지-의사소통장애와 관련된 언어결함을 파악하고, 향후 중재를 위해 중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55세 이상의 정상 중·노년층을 대상으로 담화 수행과 관련 인지기능을 조사하였다. 이를 위해, 인지-의사소통장애 간편검사(Brief test of Cognitive-Communication Disorders, BCCD)의 하위문항인 담화 문항의 점수를 연령별로 비교하고, 연령별로 담화 수행력에 관여된 인지기능을 조사하였다. 본 연구는 55-64세 162명, 65-74세 146명, 75세 이상 160명의 총 468명을 대상으로 통일성, 응집성, 명제, 쉼에 따른 담화총점과 세 집단의 주의력, 시공간력, 기억력, 조직화 능력, 추론력, 문제 해결력, 집행 기능의 점수를 연령별로 비교하였다. 또한, 다중회귀분석을 통해 7개 인지기능이 담화 수행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고, 유의미한 인자와 담화 하위 점수와의 관계를 편상관분석을 이용하여 조사하였다. 65세를 기점으로 담화 수행력은 저하되었다. 55-64세 집단의 담화 수행은 조직화 능력이 관련되었으며, 65-74세 집단은 조직화 능력과 문제 해결력이 담화 수행을 예측하는 주요 인자였다. 75세 이상 집단에서는 조직화 능력, 문제 해결력과 더불어 기억력이 담화 수행에 영향을 미치는 인지기능이었다. 정상 중·노년층에서는 65세를 기점으로 통일성, 응집성, 명제의 수가 저하되었으며, 55세 이상의 중·노년층의 담화 수행에서는 필요한 정보를 일련의 의미 단위로 묶고, 밀접한 정보를 연관시키는 능력이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 또한, 이러한 능력과 더불어, 60대 이상에서는 과제를 인식하고 해결하기 위한 전략이 담화 수행에 필수적이다. 70대 이상의 노년층에서는 관련 정보를 일시적으로 저장하고 운용하는 능력도 담화 수행에 필요하다. Examining the cognitive functions involved in the discourse ability in the elderly is important for identifying language impairments related to cognitive-communication disorders and for future intervention.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discourse performance and related cognitive functions in normal adults aged 55 or older. To this end, the scores of the discourse item, which is the sub-item of the Brief test of Cognitive-Communication Disorders (BCCD) is compared by age, and cognitive functions involved in discourse performance are investigated. This study was conducted on 468 normal adults aged 55 years or older. For 162 participants aged 55-64, 146 aged 65-74, and 160 aged ≥75, the total discourse scores, sub-scores of coherence, cohesion, proposition, and pauses, and the scores of cognitive functions of attention, visuospatial ability, memory, organization, reasoning, problem solving, and executive function were compared by age. In addition, the effects of seven cognitive functions on discourse performance were investigated through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relationship between significant cognition factors and discourse sub-scores was investigated using partial correlation analysis. At the age of 65, discourse performance declined. In the 55-64 year old group, organization was related to discourse performance, and in the 65-74 year old group, organization and problem-solving ability were the main factors predicting discourse performance. In the ≥75 years old, the ability of organization and problem-solving, as well as memory, were cognitive functions that influenced discourse performance. The scores of coherence, cohesion and propositions declined from the age of 65, and the ability of grouping information into a series of meanings and associating related information had an important effect on discourse performance of the elderly aged 55 years or older. In addition, for those in 60s or older, strategies for recognizing and solving tasks are essential for discourse performance. For those in 70s or older, the ability to temporarily hold and manage related information is also necessary to conduct discourse tasks.

      • KCI등재

        Subjective Language Complaints: Are They Reflected in Objective Language Test Performance?

        김보선(Bo Seon Kim),이미숙(Mi Sook Lee),향희(Hyang Hee Kim)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015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Vol.20 No.2

        배경 및 목적: 주관적 언어호소(subjective language complaints, SLCs)는 노년층에서 자주 보고되고 있으나, SLCs와 여러 언어 기능 사이의 관계는 연구되지 않았다. 이에 본 연구는 SLCs가 여러 객관적 언어 검사의 수행력과 관계가 있는지, 그리고 SLCs가 어떤 인구통계학적 요인들과 관련되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방법: 376명의 정상노년층(평균 연령 74.21±6.56)을 대상으로 두 개 질문으로 이루어진 SLCs와 인구통계학적 정보를 수집했다. 또한, 본 노년층의 생성이름대기, 문장 이해하기, 한국판 보스톤 이름대기 검사 단축형(15-item Korean version-the Boston Naming Test, K-BNT-15) 결과와 SLCs의 관계를 다중회귀를 통해 분석하였다. 결과: SLCs는 K-BNT-15 결과를 반영할 수 있었으며, 노년층의 나이, 교육연수, 우울증, 직업유무와 관련이 있었다. 논의 및 결론: 본 결과는 SLCs가 노년층에서 가장 자주 호소되는 단어인출의 어려움을 반영하며, 교육과 직업을 통한 언어적 노출 및 사회적 상호작용이 노년층의 언어감퇴에 대한 인식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점을 시사한다. Objectives: Subjective language complaints (SLCs) are frequently reported among the el-derly. However, SLCs and their relationship with various language functions have not been extensively investigate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wo-fold: to explore whether SLCs can be related to performance in various objective language tests and to determine which demographic variables are associated with SLCs. Methods: This study gathered responses from 376 elderly participants (mean age, 74.21 ± 6.56 years) to two questions regarding SLCs and demographic information. We also analyzed the relationship between SLCs and verbal fluency, sentence comprehension, and naming ability (15-item Korean version of the Boston Naming Test [K-BNT-15]) with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Results: The data re-vealed that SLCs are associated with K-BNT-15 performance. Such demographic variables as age, education, depressive symptoms, and job status were related to SLCs. Conclusion: The results indicate that SLCs reflect a difficulty in word retrieval, which is one of the most frequently reported language complaints of the elderly; however, varying linguistic expo-sure and social interaction through education and employment may reduce the perceived language decline.

      • KCI등재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