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플라톤의 ‘nous’개념

        김윤동(Kim Youn Dong) 대한철학회 2016 哲學硏究 Vol.137 No.-

        소크라테스는 아낙사고라스의 nous 개념에서 드러난 기계론적 세계관의 한계를 극복하여 목적론적 세계관을 수립하였다. 이를 철학적 유산으로 물려받은 플라톤은 목적론의 범위를 우주론에까지 확장하였다. 그의 만년의 우주론적 저작 「티마이오스」는 목적론적 세계관의 완결판이라고 할 수 있다. 이 우주는 창조자의 창조작업에 의한 결과물로서, 이전의 무질서하고 혼돈 가운데 있는 물질적 질료에 기하학적 비례가 부여됨으로써 질서 있고 조화로운 상태가 되었다. 우주의 창조자 혹은 제작자인 데미우르고스가 이렇게 아름다운 우주를 만들게 된 동기는 자신의 선함(to agathon)을 모든 것이 닮도록 하려는 것이었다. 따라서 그는 영원하고 완전한 선의 이데아를 본으로 삼아 비한정적인 물질적 재료들에게 적도(to metrion)를 한정시킴으로써 선하고 아름다운 우주를 탄생시킨 것이다. 이런 점에서 우주의 제작자 데미우르고스는 측정술(metrētikē)을 행사하는 탁월한 장인(匠人)이라고 할 수 있다. 그의 구체적인 작업에서 우주 몸체가 물·불·공기·흙이라는 4원소를 통해서 만들어지고, 다음으로 우주혼이 만들어지는데, 여기에 적용되는 수학적 비례가 대단히 난해하다. 여하간 우주몸체 안에 우주혼이 들어감으로써, 운동하고 살아있는 생명체로서의 우주가 탄생하게 되고, 플라톤은 이것을 살아있는 신(神)이라고 명명하였다. 그런데 플라톤은 nous가 혼과 떨어져 있을 수 없다고 말함으로써, nous와 혼의 관계 그리고 데미우르고스의 정체성을 둘러싸고 많은 논쟁을 불러일으키게 되었다. 결론적으로 말해서 플라톤은 「티마이오스」를 통해서, 이 우주가 신(神)의 목적론적 계획 아래 만들어졌으며, 신의 선함(좋음)과 아름다움을 가장 많이 닮은 유일한 천구(天球)임을 보여주고 있다. 따라서 우주 안에 깃든 질서와 조화를 인간이 마땅히 본받을 때, 개인과 국가의 선이 자연스럽게 이루어질 것임을 말하고 있다. 개인과 국가는 우주가 그러하듯이 선한 nous의 통치와 지배 아래 있을 때, 궁극적으로 신의 목적과 계획을 성취할 수 있을 것이다. Plato learned of teleology from his teacher Socrates and expanded it to its application in cosmology. His cosmological work Timaeus was the final edition of teleological view. The motive that Demiurge created the cosmos was in resemblance of his goodness. He then modeled the idea of the Good imposing limit to the Forms of Good in a material world. In this sense, Demiurge was an excellent creator and created the Good cosmos. The cosmic body was made from four elements (water, fire, air, earth) and the cosmic soul entered the cosmic body and the cosmic intelligence (nous) entered the cosmic soul. According to these steps, this cosmos was created and named a living god. In conclusion, Plato asserts that this cosmos was created by God’s teleological project, and resembles the goodness of a god. When man followed the order and balance in the cosmos, the good of the individual and the state would be accomplished.

      • 제4세대 전쟁에서의 물리.정신.도덕적 수준에 대한 연구 (베트남 전쟁과 이라크 전쟁 사례를 중심으로)

        김윤동 ( Yun Dong Kim ) 미래군사학회 2013 한국군사학논총 Vol.2 No.2

        In spite of the continual tactical victory, the United States which has the world best military power based on the high technology at that time couldn’t win the strategic victory in their grasp in the Vietnam War. The United States had repeated the nightmare like the Vietnam War in Iraq since the 9/11 attacks. The United States got the victory in the major battles with the cutting-edge military power - the stealth, the UAV, the latest-model tank. However, they couldn’t help withdrawing from the Iraqi stability operations with over 3000 killed and wounded for 8 years. Like this, the 4th generation warfare theory has started to attract public attention happening the cases that the powerful nations couldn’t win the war against the weak nations. Since it has been called as “the 4th generation warfare” in 1989 by William Lind, there was a lot of researches and discussions on this subject. I tried to make up for the insufficient points in the 4th generation theory by investigating the background, definition, characteristics etc. In the 4th generation warfare, the enemy attacks the will of political decision makers directl y. Because of that, it is difficult to explain the aspect of the 4th generation warfare based on the original level of war. In many cases, the overwhelming physical power isn’t connected to the operational, strategi c victories. In addition, the inhumane, immoral acts of individual soldier affect the result of w ar easily. In order to explain and to study deeply the aspect of the 4th generation warfare, this paper an alyzes the 4th generation warfare theory based on the new level of war presented by Lind. It will b e analysed the cases of the Vietnam and the Iraq war as the 4th generation warfare. In conclusion, this study shows that the support of population as well as the use of the min imized and appropriate military power at the moral level is the key point for the successful w ar.

      • SCOPUSKCI등재

        광릉 삼림군집내 주요 수종의 직경계분포에 (直徑階分布) 관하여

        김윤동 (Yoon Dong Kim) 한국식물학회 1977 Journal of Plant Biology Vol.20 No.4

        In this sampling obtained 7,108 measurements for all trees larger than 2.5㎝ (1.0 inch) dbh from seven stands in Kwhangnung. In terms of similarity indices seven stands are classified into three kind of forest coniferous, mixed, and broadleaved forest communities. For ten major tree species in a three forest communities the size distributions are studied. Two forms of size distributions were observed ; (1) linear relationships of log numbers of stem vs. size indicating stablesize distributions; (2) convex to bell shaped size distributions reflecting declining populations with a low natality rate. Survivorship analyses showed that successional trends seem to be: Pinus densilflora→Quercus aliena and Q. serrata→Carpinus laxiflora→C. erosa→Acer pseudosieboldianum var. Koreanum. These results agree with the results from ordination method. An alternate pathways that Pinus koraiensis seems to be replaced by C. laxiflora were observed. It seems that successional trend is not unidirection, but rather multi-directional.

      • KCI등재

        플라톤의 〈파이드로스〉편에 나타난 영혼의 문제

        김윤동(Kim Yoon-Dong) 대한철학회 2007 哲學硏究 Vol.103 No.-

        플라톤은 〈파이돈〉 편에서 영혼의 불멸성을 이데아와 영혼간의 유사한 성질에 근거하여 증명한다. 즉 영혼의 단일성, 불가분성, 독립성, 비가 시성에서부터 불멸성을 도출하고자 한다. 이 과정에서 영혼과 육체는 대립적 관계를 보여주며, 양자는 반대적 성질로 말미암아 불편한 동거로 일관한다. 영혼은 죽음의 연습을 통해 육체와 결별할 날만을 기다린다. 이에 반해 〈파이드로스〉편의 영혼불멸증명은, 영혼이 영원히 운동하고 스스로 운동하는 것으로서 모든 운동의 원인이라는 사실을 통해 수행된다. 영혼은 육체에 운동과 생명을 부여하는 실재이다. 따라서 영혼과 육체는 상호 불가분리적인 유기체를 이룬다. 이를 뒤따르는 신화는 영혼이 물질, 즉 영혼 없는 것에 대해 돌봄과 다스림의 임무를 지니고 있음을 보여준다. 이리하여 〈파이돈〉에서의 이데아계와 현상계, 영혼과 육체의 분리는 〈파이드로스〉에서 화해와 통일의 국면으로 전환된다. Plato demonstrates immortality of soul in 〈Phaedo〉, based on resemblance between Idea and soul. Namely he wants to get immortality from simplicity, indivisibility. independence, invisibility of soul. In this process, soul and body show opposite relation, and both survive in inconvinient condition. Soul waits only the day of departure through exercise of death. On the contrary, the demonstration of soul’s immortality in 〈Phaedrus〉 consists of the facts that soul as eternal-moving and self-moving entity is cause of all movements. Soul is reality that gives motion and life into body. So soul and body become inseparable organic body together. The myth in 〈Phaedrus〉 shows that soul ought to care and order to souless matter. So separation between Ideas and phenomena, and between soul and body in 〈Phaedo〉 converts to reconsiliation and unity in 〈Phaedrus〉.

      • KCI등재

        플라톤의 공간 문제

        김윤동(Kim, Yoon-dong) 대한철학회 2018 哲學硏究 Vol.145 No.-

        플라톤은 티마이오스 에서 자신의 우주론을 개진하면서, 우주제작자 제작의 본(本) 제작의 재료 제작의 장소 같은 핵심 개념들을 다루고 있다. 이 우주는 창조자인 데미우르고스가 영원히 존재하는 이데아를 본(本)으로 삼아, 무질서하고 혼란 가운데 있는 물질들에 도형과 수(數)의 원리에 따라 형태를 부여함으로써 제작된 것이다. 이 과정은 지성(nous)이 필연(anankē)을 설득하는 작업이며, 필연의 승복에 의해 양자는 결합하게 되어 우주를 탄생시키게 된다. 그런데 플라톤은 모든 생성물들을 자기 안에 받아들이는 ‘셋째 종류’ 즉 ‘공간’(chōra)을 우주생성 이전부터 존재하는 것으로 상정한다. 이것은 ‘어렵고 분명치 않은 종류’로서 ‘가장 포착하기 힘든 것’이기 때문에, 이에 관한 논의는 ‘그럼직한 이야기’(eikōs logos)에 그칠 뿐이라고 한다. 따라서 플라톤은 다양한 비유 즉 ‘수용자’, ‘유모’, ‘어머니’, ‘금’, ‘새김바탕’, ‘향유의 기초제’, ‘공간’, ‘자리’ 등을 통해 공간의 성격을 구명하려고 한다. 아리스토텔레스부터 현대의 학자들에 이르기까지 플라톤의 공간(chōra)에 관한 무수한 해석이 나왔는데, 대체로 세 가지 유형으로 정리할 수 있다. 첫째, 플라톤의 ‘공간’(chōra)은 ‘빈 공간이다.’, 둘째, 그의 공간은 아리스토텔레스의 ‘제1질료’와 유사하다, 셋째, ‘공간’과 ‘질료’의 양 측면을 모두 가진다. 만일 ‘코라’가 ‘빈 공간’ 내지 ‘허공’(kenon)이라면 결국 무한한 공간이 될 것이다. 이것은 플라톤의 하나뿐인 유한한 우주와 상치된다. 그리고 ‘코라’는 생성물을 수용하는 것뿐만 아니라 생성에 영양과 힘을 제공한다. 다른 한편, ‘코라’는 ‘제1질료’와 유사하지도 않다. ‘코라’가 데미우르고스의 우주제작 이전에 존재 생성(제작 이전)과 함께 이미 있었으므로, ‘코라’ 자체는 제작의 대상이 아니다. 반면 ‘제1질료’는 4원소의 구성요소로서 기체(基體)이다. 모든 생성물들을 자기 안에 담고 있는 ‘자리’로서의 공간성과 ‘어머니’처럼 생성물들에 영양과 힘을 제공하는 질료성이 공존한다는 해석이다. 플라톤은 여기서 논리적 일관성을 결여하게 된다. 그 이유는 우주의 시작에서 한 축이 되는 ‘공간’을 논의할 때, ‘그럼직한 이야기’의 한계를 벗어날 수 없기 때문이다. 플라톤 자신이 명료하게 밝혀내지 못한 ‘공간’ 개념을 무리하게 해명하려는 시도는 또 다른 우(愚)를 범하게 될 것이다. Plato said that our cosmos was created from the union of nous and anankē in Timaeus. In addition to this, ‘the third kind’, namely chōra, exists already with genesis before the birth of the cosmos. Plato explains this chōra with several metaphors. That is, ‘receptacle’, ‘mother’, ‘gold’, ‘space’, ‘place’ etc. From Aristotle to contemporary scholars, generally three types of interpretations are presented. First, chōra is a kind of a ‘void.’ Secondly, chōra is Aristotle’s protē hylē. Thirdly, chōra has two aspects of space and matter. I will accept the third opinion. Plato’s chōra has both a spatial aspect and material aspect. Chōra is a place that accommodates all sensible things in itself. On the other hand, chōra seems to be a mother who nourishes sensible things like a child. In this, Plato lacks a logical consistency. The research of chōra can not deviate from the limits of eikōs logos.

      • KCI등재

        플라톤의 <법률> 편에 있어서 '야간회의'

        김윤동(Kim Yun dong) 대한철학회 2014 哲學硏究 Vol.131 No.-

        ㅁ 플라톤의 최후의 저작인 <법률>편은 '야간회의'를 설립하는 것으로 종결된다. 그는 이 회의체가 '나라의 닻'이고, 나라를 이 '신성한 회의체'에 맡겨야 한다고 언급하지만, 단편적인 설명과 표현의 애매성으로 말미암아 연구가들의 상반된 해석을 낳게 한다. 상당수의 학자들에 의하면, 야간 회의와 <법률>의 다른 법적 기구들과의 상호연관성과, 입법 권한의 여부가 불명확하다는 것이다. 따라서 이들은 '야간회의'의 필요성과 중요성을 약화시키는 방향으로 나아간다. 말하자면 차선의 국가를 그려내는 <법률>에서 철학의 요소가 결여되어있기 때문에, 플라톤이 나중에 이의 보완을 위해서 첨가한 장치일 뿐이라는 해석이다. 이에 반해 다른 한 편에서는 '야간회의'야말로 플라톤 정치철학의 정점이며 완성이라는 견해를 내놓는다. 회의체의 구성원들에게 철학적 인식을 강조한 것은 플라톤이 <법률>에서도 결코 이데아를 포기하지 않았다는 증거라는 것이다. 이런 측면에서 <국가>의 '철인왕'과 <법률>의 '야간회의' 사이에 연속성을 발견하게 된다. 그렇다면 전자는 <국가>에서 <법률>에 이르는 플라톤의 정치사상이 연속성을 결여하고 있다는 입장이고, 후자는 연속성을 인정하는 편에 서 있음을 알 수 있다. 결국 인치(人治)가 아니라 법치(法治)를 내세우는 <법률>에서 '야간회의'의 애매한 위상이 논란의 여지를 남길 수밖에 없다. <Laws> is Plato's last great philosophical work. 'Nocturnal Council' is located in the end of this work. Many scholars interpret 'Nocturnal Council' into opposite directions. According to one interpretation, this Council is a kind of an addition to supplement the philosophical elements. So this is Plato's 'after-thought'. But another interpretation is that 'Nocturnal Council' is a climax in Plato's political thought. Plato didn't abandon the theory of Idea in <Laws>. In this respect, we find a coherence between <Republic> and <Laws>.Finally, a vague position of 'Nocturnal Council' in <Laws> remains an opposite interpretations each other.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