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KCI등재

        Early Bowel Complications Following Radiotherapy of Uterine Cervi)( Carcinoma

        김원동,Kim, Won-Dong The Korean Society for Radiation Oncology 1999 Radiation Oncology Journal Vol.17 No.2

        목적 : 저자는 자궁경부암으로 외부 방사선치료와 고선량 강내치료를 받은 신선 증례에서 급성 장관 방사선 합병증에 대하여 관찰하고 이와 연관된 여러 인자들을 밝히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 1994년 4월부터 1998년 12월까지 충북대학교병원 치료방사선과에서 근치적 방사선치료를 시행한 56례를 대상으로 급성 장관 합병증에 대하여 후향적 분석을 실시하였다. 모든 환자는 본과의 치료원칙에 따라 4cm 미만의, 병기 IB1 와 IIA 경우는 41.4Gy의 체외조사후 30Gy의 강내조사를 A점 기준으로 실시하였으며 그 이외에는 50.4Gy의 체외조사후 24Gy의 강내조사를 실시하였다. 급성 장관 합병증의 기준으로는 EORTC/RTOG morbidity criteria를 이용하였으며 이 기준에 따라 치료 첫날부터 90일까지 발생한 합병증을 급성으로 간주하였다. 급성 합병증의 빈도 및 경중을 파악하였으며 급성 장관 합병증과 연관된 여러 치료전 임상 요인을 밝히기 위하여 단변수 분석과 다변수 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총 66 명의 환자 중 30명(46$\%$)에서 급성 장관 합병증이 발생하였고 그 중 25명(38$\%$)은 grade 1, 2의 경미한 합병증이었으며 4명(6$\%$)은 grade 3, 1명(2$\%$)은 grade 4의 중증 합병증이었다. 거의 모든 합병증은 방사선 치료 시작 3주 후에 발생하였으며 누적 발생빈도는 10주에 41$\%$였다. 고연령과 복부 및 골반부 수술 과거력이 급성 장관 합병증과 유관한 인자였으며 3명의 환자에서는 급성 장관 합병증으로 전체 치료기간이 약 2주 증가하였으며 결국 3명 모두 골반 내 재발을 경험하였다. 결론 : 46$\%$의 환자가 급성 장관 합병증을 경험하였으며 대부분은 경미하여 임상적인 문제를 야기하지 않았다. 다만 고연령 및 수술병력이 있는 환자에서는 급성 장관 합병증으로 인하여 방사선치료에 대한 환자의 순응도(compliance)가 낮아질 수 있으므로 보다 더 적극적인 주의가 필요하다고 하겠다. Purpose : This study evaluated early bowel complications in cervix cancer patients, following external radiotherapy (ERT and high dose rate intracavitary radiation (HDR ICR). Factors affecting the risk of developing early bowel complications and its incidence are analyzed and discussed Materials and Methods : The study is the retrospective review of 66 patients who received radiotherapy at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from April 1994 to December 1998. The patients underwent 41.4 or 50.4 Gy ERT according to FIGO stage and tumor size, then A point dose was boosted to 71.4 or 74.4 Gy using a remotely controlled afterloading Buchler HDR ICR. The EORTC/RTOG morbidity criteria were used to grade early bowel complications, which are valid from day 1, the commencement of therapy, through day 90. The actuarial incidence, severity of complications were investigated and clinical pretreatment factors relevant to complications were found through univariate (Wilcoxon) and multivariate (Cox proportional hazard model) analysis. Results : Of the 66 patients, 30 patients (46$\%$) developed early bowel complications; 25 patients (38$\%$) with grade 1 or 2, 4 patients (0$\%$) with grade 3 and 1 patient (2$\%$) with grade 4. The complications usually began to occur 3 weeks after the commencement of radiotherapy. The actuarial incidence of early bowel complications was 41$\%$ at 10 weeks. The early bowel complications were associated significantly with an old age and a history of previous abdomino-pelvic surgery. All three patients who had a protracted overall treatment time (about 2 weeks) due to severe bowel complication, suffered from pelvic recurrences. Conclusion : Forty six percent of patients experienced early bowel complications, most of which were grade 1 or 2 and relieved spontaneously or by medication. The patients with an old age or a previous surgery have a high probability of early complications and they may be less compliant with planned radiotherapy. So more careful precaution is necessary for these patients.

      • 원전 사용후연료 저장 및 공론화

        김원동,Kim, Won-Dong 한국원자력산업회의 2007 원자력산업 Vol.27 No.4

        한국수력원자력(주)는 20기의 원자력발전소를 운영하고 있으며, 원전에서 발생되는 전기로 우리나라 총전력의 약 40%를 담당하고 있는데 이 과정에서 필연적으로 사용후연료가 발생하게 된다. 사용후연료는 재활용 여부에 따라 자원 또는 폐기물로 간주되는 성격을 지니고 있다. 그러나 우리나라는 사용후연료에 대해서는 아직 확실한 방침이 정해지지 않아 이의 저장 시설이 필요하며 현재 원자력발전소 내 사용후연료 저장조와 건식 저장 시설에 임시 저장하고 있다. 사용후연료는 2006년 말 기준으로 8,670톤이 저장되어 있고, 발전소 내에 설치된 기존 시설의 저장 능력이 포화되는 것에 대비하여 조밀 저장대 설치, 호기 간 이송, 공동 저장, 습식 저장 시설 확장 및 건식 저장 시설 추가 건설을 통해 단계적으로 저장 능력을 확장하여 2016년까지 발생되는 사용후연료를 저장할 계획이다. 그러나 제253차 원자력위원회(2004. 12. 17)에서 2016년 이후 사용후연료 관리 방침에 대해서는 중간 저장 시설의 건설 등을 포함하여 충분한 논의를 거쳐 국민적 공감대하에서 추진하기로 결정됨에 따라 현재 공론화 방안 연구와 대내외적인 공론화가 진행되고 있다.

      • SCOPUSKCI등재

        Radiation Therapy in Malignant Tumors of the Parotid Gland

        김원동,박찬일,김광현,Kim, Won-Dong,Park, Charn-Il,Kim, Kwang-Hyun The Korean Society for Radiation Oncology 1994 Radiation Oncology Journal Vol.12 No.1

        1979년 3월부터 1989년 7월사이에 서울대학교병원 치료방사선과에서 55명의 환자가 이하선에 생긴 악성종양으로 치료를 받았다. 이 환자들을 대상으로 방사선 치료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저자들은 후향성조사를 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8명의 환자는 수술이 불가능하거나 재발한 경우로 방사선 치료만 받았으며 나머지 47명에게는 수술후 방사선 치료를 추가하였다. 이 환자들의 중앙추적기간은 48개월이었다. 조직학적으로는 mucoepidermoid ca가 25명으로 제일 많았으며 malignant mixed tumor와 adenoid cystic ca가 각각 12명, 6명이었다. 모든 환자에 있어서 국소치유율은 10년에 65.7%였으며 수술과 방사선 치료를 병합한 군이 방사선 단독 치료군보다 양호한 결과를 나타내었다(71.8% 대 28.6%). 조직학적 grade 및 종양의 크기, 임파절의 전이 여부가 국소치유율을 결정하는 요인이었으며 안면신경의 절제유무는 국소치유율에 영향을 주지 못했다. 원격전이는 환자의 23.6%에서 일어났으며 주로 high grade 병변에서 폐를 침범하였다. 전체생존율은 10년에 72.2%였으며 5년이후에는 plateau를 이루었다. 무병생존율은 10년에 49.4%였으며 수술과 방사선 치료를 병합한 군과 low grade 병변에서 좀 더 양호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결론적으로 이하선 악성종양의 치료에 있어서 이하선 절제술과 적절한 방사선치료를 병합함으로써 수술 혹은 방사선 단독 치료군보다 국소치유율의 향상 및 안면신경의 기능유지를 도모할 수 있으며 환자의 생존율을 높이기 위해서는 원격전이시 보다 효과적으로 작용하는 항암제의 개발이 시급하다 하겠다. A retrospective analysis was performed on 55 patients with malignant parotid tumor who were treated with radiation therapy between March, 1979 and July, 1989. Of these patients, 8 patients received radiation therapy(RT) alone and 47 patients were treated with combined operation and radiation therapy(OP + RT). The follow-up period of the survivors ranged from 1 to 129 months with a median of 48 months. The common histologic types were mucoepidermoid carcinoma (25 cases), malignant mixed tumor(12 cases), adenoid cystic carcinoma(6 cases). The 5 and 10 year local control rate were 69.8% and 65.7% in all patients. In OP+RT group, prognostic factors related to local control were histologic grade, tumor size, lymph node metastasis. Resection of facial nerve did not affect the local control rate significantly(p=0.129). Distant metastasis developed in 23.6% of patients, mostly to the lung. Actuarial overall survival rate was 72.2% at 10 years and formed plateau after 5 years. Disease-free (NED) survival rate was 49.4% at 10 years and was better achieved in OP+RT group and low grade lesions. Based on our result, a well planned postoperative RT following parotidectomy is highly efficacious in controlling malignant tumors of the parotid gland and preservation of facial nerve.

      • KCI등재후보
      • KCI등재
      • KCI등재

        미국 북서부지역의 공동체지원농업에 대한 사회학적 탐색과 시사점

        김원동(Won Dong Kim) 한국농촌사회학회 2014 農村社會 Vol.24 No.1

        이 연구의 목적은 오리건 주 포틀랜드 광역생활권의 공동체지원농업 사례들을 중심으로 미국 북서부지역 CSA의 현실과 특징을 사회학적으로 이해해 보고 향후 CSA의 지속적인 성장을 위한 시사점을 도출해 보려는데 있다. 주된 연구 결과를 정리해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미국 CSA 초기와는 달리 지금은 회원들이 영농 활동에 자신의 노동력을 제공하는 사례가 거의 없다. 그로 인해 오늘날 미국 북서부지역의 CSA는 회원의 노동력 제공을 통한 체험의 공유 부재와 그에 따른 결속력 약화, CSA의 저소득층 배제와 중간 계급적 편향성 등과 같은 구조적 맹점을 특징으로 내장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둘째, CSA는 비경제적 가치 추구에 몰입된 영농방식이라기보다는 지역공동체 지향적이고 친환경적 영농을 추구하되 그에 필요한 경제적 측면을 동시에 중요시하는 영농방식이라는 특징을 갖는다. 셋째, CSA 농가들은 먹거리를 유기농법에 의해 재배함에도 불구하고 공식적인 유기농 인증을 받지 않은 경우가 대부분이다. 이는 회원들의 신뢰에 힘입어 공식적 인증의 필요성을 느끼지 못하기 때문이기도 하지만 현행 인증 제도에 문제가 있기 때문이기도 하다. 이 같은 미국 CSA의 현실과 특징은 CSA의 지속적인 성장을 위해 무엇보다도 CSA에 내재해 있는 가치에 대한 CSA 운영 농민과 회원 모두의 진지한 성찰과 의식적 재무장, 회원의 노동력 제공 제도의 재도입과 확산을 위한 농민과 회원 모두의 지속적인 노력, 정부의 정책적 지원을 통한 CSA 회원 교육 전담 중간지원조직의 설립과 운영, CSA 농가에 대한 정부의 보조금지원정책의 마련, 유기농 인증제도의 획기적인 개선 등과 같은 조치들이 요구됨을 시사해 준다. This study aims to sociologically understand the reality and characteristics of Community Supported Agriculture in the Northwestern United State and draw implications for sustained growth of that from these findings. To do this, I focused on CSA operators in the Portland Metropolitan Area, Oregon. The major results in the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ly, There are now few CSA farms which members provide their labors in farming activities, as opposed to those in the early stages of CSAs. Today, CSAs in the Northwest are structurally characterized by some serious problems such as absence of common experiences through farm-work among members and weak solidarity, exclusion of low-income families from CSAs and a middle class bias. That’s the reality. Secondly, CSAs are not farming that CSA operators only devote themselves to the pursuit of non-economic values. CSAs want to achieve community- oriented and environmentally-friendly farming and take count of economic sustainability for it at the same time. This is another characteristics of CSAs in the northwest. Thirdly, most of CSA farms don’t have official organic certificate, doing organic agriculture. The reasons for this situation are that they don’t need to get official certificate owing to their members’ credit on them and they think there are se rious shortcomings in current certification system, too. We can draw important suggestions for sustained growth of the northwestern CSAs from these findings of this research. That is, they are earnest reflections on inherent values of CSA and rearmament in consciousness from both sides of CSA operators and members, their continuous efforts for re-introduction and spread of CSA members’ work-share system, government policies for establishment of public education organization for CSA members, government grant for CSA farms, an epoch- making improvement of organic certification system.

      • KCI등재

        도농통합형 생활공동체 형성과 지속가능성의 매개 공간으로서의 농민시장

        김원동(Won Dong Kim) 한국농촌사회학회 2011 農村社會 Vol.21 No.2

        이 연구의 목적은 농민시장이 어떤 측면에서 도농통합형 생활공동체의 형성과 지속가능성의 매개공간으로 기능하는지를 구체적으로 분석해 보는데 있다. 이 같은 목적을 실현하기 위해 미국 오리건주 포틀랜드 지역의 농민시장을 사례지역으로 선택하여 여기에 참여하는 판매인(특히 농민판매인), 소비자, 시장관리인, 장터 연주자 등을 주된 대상으로 심층면접을 실시하였다. 이번 조사에서 확인된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농민시장의 성립 전제인 "지역먹거리"의 "지역" 개념 자체에 공동체 의식이 내재해 있다. 여기서 말하는 "지역"은 해당 지역의 규모나 지리적 위치, 먹거리 시장의 여건 등에 따라 상대적으로 규정되는 일종의 생활권역의 개념으로 인식된다. 포틀랜드 지역의 경우, 주(州) 내에서는 농민시장으로부터 대체로 100마일 이내의 지역, 그리고 주 경계를 이루고 있는 워싱턴주에 있는 일부 근거리 지역 정도가 자신의 지역으로 간주된다. 둘째, 농민시장에서 거래되는 먹거리는 품질이 우수하고, 소비자들도 이에 대해 확고한 신뢰감을 갖고 있다. 농민시장이 도농통합의 형성과 지속가능성을 매개할 수 있는 것은 그러한 사회적 자본을 축적하는 공간으로 기능하기 때문이다. 셋째, 농민시장은 사회 제반 현안에 대해 참여자들 간의 상호토론이 전개되는 공론의 장인 동시에 흥겨운 생음악이 연주되는 가운데 서로가 즐겁게 어울릴 수 있는 공간이다. 농민시장이 도농주민들 간의 공동체의식을 함양하고 다지는 가교가 될 수 있는 것은 바로 이런 점 때문이다. 넷째, 농민시장은 기성세대 뿐만 아니라 후속세대를 상대로 한 사회화의 기능을 수행한다. 농민시장이 도농공동체의 "형성" 못지않게 그 "지속가능성"을 뒷받침하는 잠재력을 지닌 공간으로 기능한다는 것은 이런 측면에서다. This paper is aimed at concretely analyzing in what respects farmers` markets function as kind of space intermediating the formation and sustainability of urban-rural integrated community. To do this, I selected farmers` markets in the city of Portland, the U.S. State of Oregon for the case study, and then conducted in-depth interviews on people participating at farmers` markets. They are vendors(especially, farmers-vendors), consumers, market managers, market musicians living in Portland and neighborhood area. The major results in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ly, the main premise of the farmers` markets is a "local food". In this context the term of the "local" has a conceptual connotation of the community-consciousness. The "local" as a component of community is recognized as a relative concept of sort of everyday life-zone depending on size, geographical place or characteristics of food market of a specific region. In portland, people roughly regard regions in State of Oregon within 100 miles from farmers` markets and surrounding regions of Portland in State of Washington as their own local area. Secondly, there are high-quality farm produce and consumers` firm trust on that in farmers` markets. These factors make farmers` markets function as an intermediating space for the formation and sustainability of urban-rural integrated community. Thirdly, farmers` markets play an important role as a public sphere where participants at farmers` market make conversation on social problems each other. At the same time, farmers` markets are a space bringing people together pleasantly in live music. In these respects, farmers` markets function as a bridge, which is encouraging and strengthening the community-consciousness between urban and rural residents. Fourthly, farmers` markets function as a socialization-space for present and future generations. This function of farmers` markets is a decisive factor, which contributes to potentially support not only the formation but also "sustainability" of urban-rural integrated commun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